내란 우두머리 혐의를 받고 있는 윤석열 대통령이 점차 고립되고 있다. 탄핵소추, 체포에 이어 구속 가능성이 제기되는 상황이다. 대통령경호처 직원들은 윤 대통령 체포를 막지 않았고, 윤 대통령 주변을 떠나는 참모들도 늘어나고 있다. 여당도 자체 특검법을 발의하는 등 윤 대통령 탄핵 이후 정국에 대비하기 시작했다. 윤 대통령이 부정선거 등 극단적 주장을 이어갈수록 고립의 정도는 더 심화할 것으로 관측된다.
여당인 국민의힘은 천천히 윤 대통령과 선을 긋고 있다. 국민의힘은 17일 ‘비상계엄 특검법’을 자체적으로 발의했다. 전날 권성동 원내대표는 울먹이며 자체안 발의의 필요성을 의원총회에서 설명한 바 있다. 한 국민의힘 관계자는 통화에서 “권 원내대표의 모습이 국민의힘의 스탠스를 상징적으로 보여준다”고 말했다. “지지자들에겐 헤어지고 싶지 않다고 말하면서 실제로는 멀리해야 한다”는 것이다. 국민의힘 내에선 ‘대통령은 지켜야 한다’, ‘다시 탄핵은 안 된다’는 보수층의 여론을 수용해 윤 대통령 지키기 움직임을 보였지만, 장기적으론 결별할 수밖에 없다는 관측이 나온다.
특히 조기대선 가능성이 커진 만큼 윤 대통령과의 결별은 불가피하다. 다른 여당 관계자는 기자에게 “국민들 다수의 뜻은 윤 대통령도 탄핵해야 하지만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도 정치권에서 나가야 한다는 것”이라며 “균형론이 작동하고 있어서 윤 대통령이 잘 정리되면 대선에서도 희망이 있다”고 말했다.
앞서 지난 14일 윤 대통령이 체포되던 당시 정진석 비서실장을 제외하곤 수석급 이상의 참모들은 관저에 오지 않았던 것으로 전해졌다. 이를 두고 여권에선 일종의 선긋기라는 해석도 나왔다. 정치 유불리에 따라 참모진들의 행보가 갈라지는 셈이다.
수사의 유불리에 따라 참모진들의 이탈 움직임도 나타나고 있다. 윤 대통령이 체포가 성공할 수 있었던 배경에는 경호처의 이탈이 결정적이었다. 경호처 내부에서 체포영장 집행을 무력으로 막으려는 윤 대통령의 ‘무법자’ 행태를 비판하는 목소리들이 많았고, 이 목소리는 언론에도 노출됐다. 여권 관계자는 “폐쇄적인 경호처 내부의 일들이 다수 보도된 것은 외부에 알리겠다는 의지가 강했다는 의미”라며 “예상보다 훨씬 빠르게 경호처가 정상화되는 과정이었다”고 말했다.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와 경찰의 공무집행방해에 따른 체포 가능성도 경호처에겐 압박으로 작용한 것으로 해석된다.
계엄의 ‘설계자’이자 윤 대통령의 최측근인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의 움직임도 심상치 않다. 윤 대통령 측에선 국회의 활동 등 정치 활동을 금지하는 내용을 담고 있는 포고령 1호를 김 전 장관이 작성했고 윤 대통령은 제대로 검토하지 못해 그대로 발표됐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김 전 장관 측은 윤 대통령에게 제대로 보고가 됐고 윤 대통령이 검토했다고 맞서고 있다. 수사 과정이 진행되면서 윤 대통령과 김 전 장관이 멀어지고 윤 대통령이 더욱 고립될 가능성도 있다.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달 12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대국민 담화를 하고 있다. 대통령실 제공
여당인 국민의힘은 천천히 윤 대통령과 선을 긋고 있다. 국민의힘은 17일 ‘비상계엄 특검법’을 자체적으로 발의했다. 전날 권성동 원내대표는 울먹이며 자체안 발의의 필요성을 의원총회에서 설명한 바 있다. 한 국민의힘 관계자는 통화에서 “권 원내대표의 모습이 국민의힘의 스탠스를 상징적으로 보여준다”고 말했다. “지지자들에겐 헤어지고 싶지 않다고 말하면서 실제로는 멀리해야 한다”는 것이다. 국민의힘 내에선 ‘대통령은 지켜야 한다’, ‘다시 탄핵은 안 된다’는 보수층의 여론을 수용해 윤 대통령 지키기 움직임을 보였지만, 장기적으론 결별할 수밖에 없다는 관측이 나온다.
특히 조기대선 가능성이 커진 만큼 윤 대통령과의 결별은 불가피하다. 다른 여당 관계자는 기자에게 “국민들 다수의 뜻은 윤 대통령도 탄핵해야 하지만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도 정치권에서 나가야 한다는 것”이라며 “균형론이 작동하고 있어서 윤 대통령이 잘 정리되면 대선에서도 희망이 있다”고 말했다.
앞서 지난 14일 윤 대통령이 체포되던 당시 정진석 비서실장을 제외하곤 수석급 이상의 참모들은 관저에 오지 않았던 것으로 전해졌다. 이를 두고 여권에선 일종의 선긋기라는 해석도 나왔다. 정치 유불리에 따라 참모진들의 행보가 갈라지는 셈이다.
수사의 유불리에 따라 참모진들의 이탈 움직임도 나타나고 있다. 윤 대통령이 체포가 성공할 수 있었던 배경에는 경호처의 이탈이 결정적이었다. 경호처 내부에서 체포영장 집행을 무력으로 막으려는 윤 대통령의 ‘무법자’ 행태를 비판하는 목소리들이 많았고, 이 목소리는 언론에도 노출됐다. 여권 관계자는 “폐쇄적인 경호처 내부의 일들이 다수 보도된 것은 외부에 알리겠다는 의지가 강했다는 의미”라며 “예상보다 훨씬 빠르게 경호처가 정상화되는 과정이었다”고 말했다.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와 경찰의 공무집행방해에 따른 체포 가능성도 경호처에겐 압박으로 작용한 것으로 해석된다.
계엄의 ‘설계자’이자 윤 대통령의 최측근인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의 움직임도 심상치 않다. 윤 대통령 측에선 국회의 활동 등 정치 활동을 금지하는 내용을 담고 있는 포고령 1호를 김 전 장관이 작성했고 윤 대통령은 제대로 검토하지 못해 그대로 발표됐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김 전 장관 측은 윤 대통령에게 제대로 보고가 됐고 윤 대통령이 검토했다고 맞서고 있다. 수사 과정이 진행되면서 윤 대통령과 김 전 장관이 멀어지고 윤 대통령이 더욱 고립될 가능성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