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러당 북한돈 가치 반년 만에 4분의 1로
지난해 5월 말 8000원→지난달 10일 4만원
화폐개혁 소문에 북한돈 팔고 달러 사재기
지난해 5월 말 8000원→지난달 10일 4만원
화폐개혁 소문에 북한돈 팔고 달러 사재기
서울 중구 하나은행 위변조대응센터에서 관계자가 달러를 정리하는 모습. 이한결 기자
북한 원화 가치가 이달 들어 달러당 4만원까지 폭락한 것으로 집계됐다. 한국 환율로 1만4500대인 10달러를 바꾸려면 북한 돈 40만원을 내야 한다는 얘기다.
지난해 말부터 화폐개혁 소문이 돌면서 북한 원화를 팔고 달러를 사려는 움직임이 급증한 결과로 분석됐다.
“연내 화폐개혁 있다” 확산에 돈 가치 폭락
17일 데일리NK 재팬과 미국 정부 산하 자유아시아방송(RFA) 보도를 종합하면 북한 일부 지역 시장에서 지난달 10일 기준 1달러 가치가 4만원에 달한 것으로 전해졌다.
달러당 북한 원화 가치는 지난해 5월 말 8000원이었다. 돈 가치가 반년 만에 4분의 1로 떨어진 셈이다.
데일리NK가 정기적으로 실시하는 조사에서는 이달 5일 기준 평양, 신의주, 혜산 등 북한 주요 도시에서 1달러가 2만2100~2만2000원으로 파악됐다.
신의주 시장에서는 지난해 12월 1달러가 3만8000원에 달했다가 연초부터 급격히 원화 강세로 전환되면서 이달 12일 기준 1만6000원까지 회복했다고 데일리NK 재팬은 설명했다.
북한 원화 가치가 폭락한 시기는 지난해 11월 말이라고 한다. RFA 소식통은 “12월 중 화폐개혁이 있을 것”이라는 소문이 퍼지면서 북한 원화를 팔고 달러를 사려는 움직임이 크게 늘었기 때문이라고 진단했다.
15년 전 화폐개혁에 전 재산 날린 트라우마
북한은 과거 5차례 화폐제도 개정을 단행했다. ‘화폐개혁’은 2009년 11월 30일 시행된 5차 디노미네이션(화폐 단위 절하)과 구·신권 교환을 가리킨다.
당시 북한 정부는 구권 100원을 신권 1원으로 교체했다. 구권을 은행에 맡기면 신권으로 인출할 수 있도록 하면서 그 허용 한도를 가구당 10만원으로 제한했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연설하는 모습. 평양 조선중앙통신, 연합뉴스
데일리NK 재팬은 “평생을 절약해 모은 재산 대부분이 한순간에 휴짓조각이 된 것”이라며 “전국 시장에서 물건이 사라지고 극심한 인플레이션이 발생했다”고 전했다. 이어 “절망감에 모든 것을 버리고 탈북하는 사람도 속출했다”며 “그로부터 십수 년이 지났지만 당시의 사건은 북한 주민에게 트라우마로 남아 있다”고 설명했다.
이런 경험이 지난해 말 화폐개혁 소문에 많은 사람을 달러 매수로 내몰았다는 게 데일리NK 재팬의 해설이다.
대대적 임금 인상에 통화 공급 20배 급증
이 매체는 평안남도 소식통을 인용해 평양 외곽 물류 중심지인 평성에서도 지난해 12월 1달러가 거의 4만원까지 치솟았다고 전했다. 소식통은 화폐개혁 소문 외에도 지난해 단행된 대폭 임금 인상을 원인으로 꼽았다.
북한 당국은 지난해 4월 공장 노동자 월급을 1800원에서 5만원으로 올렸다. 교사, 의사, 사무원 월급도 함께 인상되면서 통화 공급량이 20배 이상 늘었다. 이후 달러 강세와 원화 약세가 뚜렷해지기 시작했다고 한다.
지난해 4월 달러당 8000원이었던 북한 원화 가치는 한 달 뒤인 5월 9500원으로 뛰었다. 이때 당국은 일명 ‘돈데꼬’로 불리는 암달러상의 달러 사재기가 원화 약세 원인이라며 단속을 강화했다.
그러자 이번에는 달러 공급량이 줄면서 지난해 9월 1달러가 1만7000원으로 급등했다. 여기에 화폐개혁 소문까지 더해지면서 11월에는 2만5000원, 12월 중순에는 4만원에 육박했다.
당국 “화폐개혁 없다”… 주민 “못 믿어”
북한 당국은 연초 동네 조직 ‘인민반’을 통해 “화폐개혁이 있다는 소문은 유언비어”라고 통지하며 급격한 원화 약세에 제동을 걸었다. 달러값은 2만2000원에 이어 1만6000원까지 낮아지며 물가도 점차 하락한 것으로 전해졌다.
신의주 시장에서 지난해 12월 1만원까지 뛰었던 ㎏당 쌀값은 현재 7300원까지 내려갔다고 한다.
데일리NK 재팬은 “하지만 북한 주민들은 기본적으로 정부의 말을 믿지 않는다”며 “화폐개혁 소문은 계속 남아 있다”고 전했다. “화폐개혁을 하지 않겠다고 말해 원화 폭락을 막고 민심을 안정시킨 뒤 화폐개혁을 강행하는 게 아니겠느냐”고 말하는 사람도 있다고 매체는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