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인공지능모델 딥시크의 스마트폰용 앱 아이콘. AP연합뉴스
고성능 저비용 인공지능(AI) 모델로 세계를 놀라게 한 중국 스타트업 딥시크가 공산당의 권력 장악력을 위협할 수도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뉴욕타임스(NYT)는 2일(현지시간) 딥시크가 중국이 AI를 더 저렴하고 모든 사람이 쉽게 이용하도록 만들 수 있다는 점을 보여줬지만, 언젠가는 자국의 이익과 권력 장악을 위협할 정도로 파괴적일 수 있다고 지적했다.
중국은 2017년 구글 알파고가 바둑천재 커제 9단을 이기는 장면을 경외감을 갖고 지켜보면서 큰 충격을 받았다. 중국 정부는 2030년까지 AI에서 세계를 선도한다는 대담한 계획을 세웠고 관련 기업과 연구자들에게 거액의 지원을 약속했다. 오픈AI가 챗GPT를 출시한 2022년부터는 딥시크 같은 벤처기업이 나올 수 있도록 AI에 대해 방임적인 태도를 취했다.
중국 AI를 연구하는 카네기 국제평화재단의 연구원 맷 쉬핸은 “(이제 중국에) AI가 양날의 검이 될 수 있다”고 짚었다. AI 연구에서 상당한 성과를 거둔 만큼 방임에서 규제와 통제로 돌아설 수 있다는 취지다. 그는 “공산당의 핵심 본능은 통제에 있다. 중국이 AI 역량에 대한 자신감을 회복함에 따라 이들 회사에 직접적인 접근 방식을 취하려는 충동을 억제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고 말했다.
중국 당국은 2023년 챗봇이 사용자에게 하는 말을 통제하기 위한 규칙을 발표했다. 이를 통해 사회주의 핵심 가치를 반영하고 국가 권력을 훼손하는 정보를 피하도록 요구했다. 딥시크 챗봇도 ‘시진핑은 누구인가’ 등 민감한 질문에 제대로 답변하지 못한다. 중국 공산당과 정부의 입장을 충실히 대변하거나 앵무새처럼 허위 정보를 반복해서 퍼트리곤 한다.
NYT는 딥시크도 당의 간섭에 익숙하다고 전했다. 딥시크는 원래 AI모델을 훈련시켜 중국 주식 시장에 투자하도록 했지만, 당국이 규제에 나서자 2023년 고급 AI로 타깃을 전환했다.
미국 워싱턴의 싱크탱크인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 AI정책 전문가 바라스 하리타스는 “중국의 AI는 궁극적으로 정부가 위험을 완화할 수 있다고 결정하는 한도 내에서만 발전할 수 있다”며 “과도한 규제와 사회주의적 핵심 가치를 고수할 필요성이 AI의 잠재력을 무력화할 위험이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