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헌법재판소가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의 마은혁 재판관 후보자 불임명 관련 권한쟁의·헌법소원 심판 선고를 연기한 3일 오후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 모습. 헌재는 우원식 국회의장이 낸 권한쟁의심판의 변론을 재개해 오는 10일 오후 2시에 변론을 진행하고 김정환 변호사가 낸 헌법소원 심판 선고는 무기한 연기했다. 연합뉴스

헌법재판소가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의 마은혁 헌법재판관 후보자 ‘불임명’에 대한 위헌 여부를 판단하는 선고기일을 연기하고 변론을 재개하기로 했다. 헌재 결정에 대한 여권 전체의 불복 기류가 거세지자 최 대행 쪽의 방어권을 충분히 보장해 절차적 흠결을 최소화하겠다는 취지로 해석된다.

헌재는 3일 낮 12시께 최 대행의 마 후보자 불임명에 관한 권한쟁의심판의 변론을 오는 10일 재개하고, 헌법소원 사건의 선고기일을 연기한다고 밝혔다. 헌재는 애초 이날 오후 2시부터 두 사건의 선고기일을 열기로 했다. 두 사건의 선고는 권한쟁의심판 변론이 마무리된 뒤 같은 날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재판관들은 이날 오전 평의를 열어 추가 변론을 거쳐 이번 사건의 결론을 내리기로 결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법무법인 도담의 김정환 변호사는 최 대행이 마 후보자를 임명하지 않아 충실한 헌법 재판을 받을 권리를 침해당했다며 헌법소원을 제기했다. 우원식 국회의장 역시 국회가 선출한 헌법재판관 후보자를 최 대행이 임명하지 않는 것은 국회의 권한 침해라며 권한쟁의심판을 청구한 바 있다.

이에 헌재는 지난달 22일 첫 변론을 열고 이틀 뒤 2월3일을 선고기일로 지정했다. 최 대행은 재판을 다시 열어달라며 변론재개를 신청했지만 헌재는 이를 기각했다. 이어 헌재는 지난달 31일 최 대행 쪽에 국회 몫 헌법재판관 추천 과정의 사실관계를 확인해 서면으로 제출해달라고 요청했고, 최 대행은 자료 제출의 시일이 촉박하다며 재차 변론재개를 신청했다.

최 대행은 또 지난 1일 ‘우 의장이 국회의 의결을 거치지 않고 권한쟁의심판을 제기한 것은 위법’이라는 취지의 의견서도 제출했다. 국회 쪽 역시 3일 오전 우 의장의 권한쟁의심판 청구가 절차적으로 아무런 문제가 없다는 반박 의견서를 헌재에 냈다. 헌재는 이러한 양쪽의 주장을 변론에서 다룰 필요가 있다고 보고 이날 선고기일을 연기한 것으로 보인다.

이어 헌재는 ‘여야 합의가 없어 마 후보자를 임명하지 않은 것’이라는 최 대행의 주장과 관련한 입장을 6일까지 제출하라고 양쪽에 요청했다. 최 대행 쪽에서는 추경호·권성동 전·현직 국민의힘 원내대표의 진술서 등을 제출할 계획이며, 국회 쪽도 관련 입증 자료를 낼 것으로 보인다.

다만 헌재가 변론재개 등 절차적 정당성을 충분히 확보한 뒤 마 후보자 불임명이 위헌이라는 결정을 내리더라도 최 대행에게 임명을 강제할 방법은 없는 상황이다. 이 때문에 법조계에서는 마 후보자의 지위를 임시로 인정하는 가처분 신청을 국회가 제기하거나 ‘마 후보자 불임명’을 사유로 최 대행의 탄핵을 추진해야 한다는 이야기가 나온다.

최 대행 쪽 관계자는 헌재가 마 후보자를 임명해야 한다는 결정을 내릴 경우 어떻게 할 것이냐는 질문에 “헌재 선고가 나온 뒤 선고문의 내용과 의미를 정확히 파악하는 게 먼저라는 게 일관된 입장”이라고 밝혔다. 정부 한 관계자는 “헌재 결정은 존중해야 한다”면서도 “선고와 관련한 다양한 쟁점과 의견 검토는 필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여당과 보수층의 반발을 의식해 여론을 살피고 임명 여부를 결정하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한겨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2029 尹, 권성동·권영세·나경원 접견에서 "나치도 선거로 정권 잡아" 랭크뉴스 2025.02.03
42028 전한길 강사 행보 놓고 수험생들 갑론을박…일부는 탈퇴도 [이런뉴스] 랭크뉴스 2025.02.03
42027 "비트코인 10년안에 '0' 된다" 노벨경제학상 교수 섬뜩한 경고 랭크뉴스 2025.02.03
42026 ‘딥시크 쇼크’…“중국 공산당에 독이 될 수도” 랭크뉴스 2025.02.03
42025 민주당 박선원, 트럼프 미 대통령 노벨평화상 후보로 추천 랭크뉴스 2025.02.03
» »»»»» ‘마은혁 불임명 선고’ 미룬 헌재...절차 완결성 갖추려 신중 행보 랭크뉴스 2025.02.03
42023 “서울 신축 아파트 살고 싶은데 공급 없다”…이달 서울 분양 제로 랭크뉴스 2025.02.03
42022 트럼프발 ‘관세전쟁’… 韓증시·환율 덮쳤다 랭크뉴스 2025.02.03
42021 방심위, 제주항공 여객기 폭발 장면 그대로 방송한 MBC 중징계 랭크뉴스 2025.02.03
42020 20년만의 결혼…쉬시위안 사망에 구준엽 “괜찮지 않다” 랭크뉴스 2025.02.03
42019 국힘 '투톱' 尹 접견에…박지원 "당사 서울구치소로 옮기라" 랭크뉴스 2025.02.03
42018 '내란 수괴' 윤 대통령, 20일 첫 재판... 출석 여부 관심 랭크뉴스 2025.02.03
42017 [단독] 김용현 “대통령님 뜻 받들어 명령 하달…불응하면 항명죄” 랭크뉴스 2025.02.03
42016 대만 배우 서희원 사망에 소식에 구준엽 “가짜뉴스 아냐” 애통 랭크뉴스 2025.02.03
42015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 인도行… 올해 첫 해외 현장 경영 랭크뉴스 2025.02.03
42014 뉴욕행 美여객기 날개에 불 붙어…“오마이갓” 승객들 대피 [현장영상] 랭크뉴스 2025.02.03
42013 "1명보다 못한 108명" 與 자조 터졌다…전한길 뜨자 복잡한 속내 랭크뉴스 2025.02.03
42012 "한국 음식에는 '마약' 들어있다고?"…시장 갔다가 깜짝 놀란 외국인 관광객 랭크뉴스 2025.02.03
42011 네이버, 매출 10조 달성에 역대급 성과급 잔치…연봉의 최대 50% 랭크뉴스 2025.02.03
42010 이재용 2심도 무죄…검찰증거 인정 안하고 "재량·통상범위"(종합) 랭크뉴스 2025.02.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