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성훈 대통령경호처차장(왼쪽)과 이광우 경호본부장이 지난달 24일 오전 서울 서대문구 경찰청 국가수사본부 특별수사단에 출석하고 있다. /뉴스1
경찰이 3일 대통령경호처의 김성훈 차장과 이광우 경호본부장 자택을 압수수색해 비화폰과 개인 휴대전화를 확보했다고 밝혔다.
경찰청 국가수사본부 비상계엄 특별수사단 관계자는 이날 정례 브리핑에서 오전 중 이뤄진 이들의 주거지 압수수색 과정에서 개인 휴대전화와 업무용 휴대전화를 압수했다고 전했다.
김 차장과 이 본부장은 지난달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와 경찰의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체포영장 집행을 저지해 특수공무집행방해 및 대통령 등의 경호에 관한 법률(대통령경호법)상 직권남용 혐의를 받고 있다.
경찰은 오전 중 이들의 경호처 사무실에도 수사관을 보내 압수수색을 시도하고 있다. 경호처와의 마찰을 피하기 위해 관계자들과 압수수색 관련 협의에 나설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달 24일 발부된 압수수색 영장에는 경호처 내 비화폰 서버 등이 대상으로 적혀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비화폰은 도감청·통화녹음 방지 프로그램이 설치된 보안 휴대전화다. 따라서 관련 서버 자료를 확보해야 수사가 용이하게 이뤄질 수 있다.
앞서 경찰은 지난달 김 차장과 이 본부장에 대한 구속영장을 신청했으나 검찰이 보완수사를 요구하며 모두 반려했다. 경찰 특수단 관계자는 “범죄 혐의가 소명됐고 증거인멸 우려가 있는 상황에서 검찰이 보완수사를 요구한 데 대해 유감”이라면서 향후 적극적으로 구속영장을 재신청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지난달 임의제출 형식으로 확보한 박종준 전 경호처장 휴대전화에 대해서는 디지털 포렌식이 완료됐다면서 “(분석 결과 김 차장과 관련해) 어느 정도 의미 있는 것이 나왔다”고 전했다.
박 전 처장도 특수공무집행방해와 형법상 직권남용 혐의를 받고 있다. 다만 물리력을 행사해서라도 영장 집행을 저지해야 한다고 주장한 김 차장·이 본부장과 다르게, 박 처장은 윤 대통령에 대한 수사의 필요성은 인정해 상대적인 온건파로 분류됐다. 그는 지난달 3일 1차 체포영장 집행 저지 이후 사직하고 소환을 통보한 경찰에 출석했다.
한편, 경찰은 내란죄 혐의로 공수처에 이관했던 이상민 전 행정안전부 장관 관련 사건을 다시 넘겨받아 수사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 전 장관은 공수처에서 계엄 당시 한겨레, 경향신문, MBC 등 언론사 단전·단수를 지시한 의혹에 대해 조사를 받고 있었다. 경찰은 해당 의혹을 증언한 허석곤 소방청장에 대해 공수처가 참고인 조사를 한 자료를 넘겨받아 살펴본 뒤 이 전 장관에 대한 소환 여부를 결정할 방침이다.
이 관계자는 한덕수 국무총리에 대한 추가 조사 일정도 조율 중이라면서 “국무회의에 참석했으니 추가로 확인할 게 있다”고 말했다.
특별수사단은 현재 비상계엄 사태와 관련해 53명을 입건했다. 계엄 전 문상호 전 정보사령관을 만난 사실이 드러난 원천희 국방정보본부장이 내란 혐의로 추가 입건됐다.
경찰은 노상원 전 정보사령관의 ‘선거관리위원회 장악 계획’과 관련해 입건한 구삼회 육군 2기갑여단장과 방정환 국방부 혁신기획관을 지난달 22일 검찰에 송치했다. 이로써 특수단이 검찰에 송치한 계엄 관련 인물은 8명으로 늘어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