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검찰, 내란 부화수행죄 적용 여부 고심
국무위원들 "계획 몰랐고 尹 일방 통보"
"일부는 동의" 김용현 헌재 주장과 배치
관건은 부처 후속조치 등 가담 고의 유무
한덕수(맨 왼쪽) 국무총리가 지난달 22일 국회에서 열린 윤석열 정부의 비상계엄 선포를 통한 내란 혐의 진상규명 국정조사특별위원회 제5차 전체회의 1차 청문회에서 선서하고 있다. 이상민 전 행안부 장관은 선서를 거부하며 앉아 있다. 뉴시스


12·3 불법계엄 사태를 수사 중인 검찰이 계엄 당일 국무회의에 참석했던 국무위원들의 기소 여부를 놓고 고심 중이다. 참석자들은 사전에 계엄 내용을 몰랐고, 알게 된 뒤에는 반대 의사를 밝혔으며, 윤석열 대통령의 일방적 통보로 실질적인 논의도 없었다는 입장이다. 다만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은 '일부 국무위원들이 동의했다'고 주장하고 있어 정확한 사실관계 확인이 필요하다.

지난해 12월 3일 오후 10시 17분 계엄 선포 전 국무회의는 대통령실에서 5분 남짓 진행됐다. 한덕수 국무총리, 최상목 기획재정부 장관, 이상민 전 행정안전부 장관, 조태열 외교부 장관,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 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 김영호 통일부 장관, 오영주 중소벤처기업부 장관, 박성재 법무부 장관, 김용현 전 장관, 조태용 국가정보원장 등 11명이 참석했다. 대다수 국무위원들은 "계엄에 반대했지만 윤 대통령 뜻을 꺾을 수 없었다"는 취지로 검찰과 경찰에서 진술했다. 김 전 장관은 그러나 지난달 23일 윤 대통령의 헌법재판소 탄핵심판 변론기일에 출석해 "국무위원 몇몇이 동의했다"고 주장했다.

공범을 폭넓게 인정하는 내란죄 특성상 모의를 적극적으로 말리지 않거나, 소극적으로 동조한 사람도 처벌 대상이 될 수 있다. 특히 부화수행(줏대 없이 다른 사람 주장을 따라 행동함)이나 단순 가담자도 5년 이하 징역 또는 금고에 처해진다. 다만 국무위원들의 진술대로 사전에 계엄 선포 계획을 몰랐고, 윤 대통령의 일방적 통보를 들었을 뿐이라면 내란 가담으로 보긴 무리라는 의견이 적지 않다. '일체의 정치활동 금지' 등을 담은 포고령 내용은 물론 국회 봉쇄와 정치인 등 주요 인사 체포 계획도 계엄 선포 후에 알게 됐다는 게 참석자들의 주장이다. 부장검사 출신 한 변호사는 "부화수행 혐의가 성립하려면 내란에 가담하겠다는 고의가 있어야 하는데, 위법적 포고령이나 국회 봉쇄, 정치인 체포 등 계엄 내용을 알지 못한 상태에서 반대 의사까지 분명히 냈다면 법적 책임을 묻기 어려울 것"이라고 내다봤다.

참석자들의 주장에 따르면, 국무회의는 개의·폐회 선언, 안건 설명도 없는 '날림' 수준이었다고 한다. 한 총리는 윤 대통령이 당초 국무회의를 생각지도 않고 있다가, 국무위원들 의견을 듣자는 설득에 간신히 정족수만 채우고 '간담회' 형식으로 진행됐다고 경찰에 진술했다. 회의록을 작성하는 행안부 의정관도 자리에 없었다.

법조계에선 계엄 선포 후 후속 조치 여부에 따라 형사처벌 대상이 결정될 것이란 해석도 나온다. 김용현 전 장관은 당시 최상목 장관에게 전달된 '비상입법기구' 쪽지 외에도 한 총리와 행안·외교부 장관, 경찰청장에게 건넬 쪽지도 작성했다고 주장하고 있다. 최상목·조태열 장관은 쪽지를 받았다고 인정했지만 다른 국무위원들은 부인하고 있다. 검찰 출신의 한 변호사는 "국무회의 당시 반대 의견을 냈다고 해도 이후 자신의 부처로 돌아가 계엄 사무에 필요한 후속 조치를 점검하고 지시했다면 내란에 동조한 것으로 해석할 여지가 있다"고 짚었다. 실제로 이상민 전 장관은 소방청에 연락해 언론사 단전·단수를 지시한 혐의를 받고 있다.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37125 트럼프 캐-멕-중 전면관세 서명, 캐 보복 "미국 가지 마라" 랭크뉴스 2025.02.02
37124 “유럽도 시간 문제”… 트럼프의 관세 전쟁에 떠는 시장 랭크뉴스 2025.02.02
» »»»»» "계엄 반대했다"는 국무위원들... 후속조치 가담했다면 처벌 가능성 랭크뉴스 2025.02.02
37122 “희망지역 한 번, 1년만”…한계 여전한 육군 난임 지원 랭크뉴스 2025.02.02
37121 경북 영덕서 패러글라이딩하던 50대 바다에 추락 사망 랭크뉴스 2025.02.02
37120 가장 많이 일해도 가장 가난한 한국 노인들‥'용돈 연금' 해결책은? 랭크뉴스 2025.02.02
37119 내일부터 ‘입춘’ 한파…이번 겨울 들어 가장 추워 랭크뉴스 2025.02.02
37118 '단전단수·문건 의혹'에 불리한 내용은 쏙 뺐나? 랭크뉴스 2025.02.02
37117 최상목 “헌재 결정 존중할 것”…즉각 임명은 안할듯 랭크뉴스 2025.02.02
37116 ‘관세전쟁’ 한국도 다음 타깃될까? 랭크뉴스 2025.02.02
37115 샤오미는 20억 내밀었다…딥시크 이끈 '95년생 천재 여성' 화제 랭크뉴스 2025.02.02
37114 스피커 줄 서는 尹 '옥중정치'... 與 권영세·권성동 3일 접견 랭크뉴스 2025.02.02
37113 제천 주택서 50대 여성 숨진채 발견…전 남편은 야산서 사망 랭크뉴스 2025.02.02
37112 기어이 ‘관세 전쟁’ 트럼프의 속내…38년 전 광고엔 대놓고 랭크뉴스 2025.02.02
37111 ‘투자 구루’ 하워드 마크스 “앞으로 10년, 빌려주는 자산에 투자하라” 랭크뉴스 2025.02.02
37110 ECB 정책위원 "트럼프 관세로 유로화 약화 예상" 랭크뉴스 2025.02.02
37109 '우클릭' 이재명의 고비... 노동계 반발하는 '주52시간 예외'도 넘어서나 랭크뉴스 2025.02.02
37108 "헌법재판소 휩쓸 것" 극우 주장에 與 "좌파와 싸우자!"로 화답 랭크뉴스 2025.02.02
37107 尹은 정말로 수사 잘했나…"한동훈 꼭 필요" 이런 평가, 왜 랭크뉴스 2025.02.02
37106 트럼프 "반도체 등에도 관세 부과, 그건 2월18일 일어날 것" 랭크뉴스 2025.02.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