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틱톡 금지법' 시행 앞두고 운영 중단
트럼프 "취임일 법 유예" 공식화하자
19일 서비스 재개... 정상 이용 가능
트럼프 "취임일 법 유예" 공식화하자
19일 서비스 재개... 정상 이용 가능
18일 미국에서 틱톡 애플리케이션을 켰을 때 뜬 공지 화면. 틱톡 금지법 시행에 따라 미국 내 서비스를 중단한다고 알리고 있다. EPA 연합뉴스
이른바 '틱톡 금지법' 시행을 몇 시간 앞두고 미국 서비스 운영을 중단한 중국계 짧은 동영상(쇼트폼) 플랫폼 '틱톡'이 19일(현지시간) 서비스를 복구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자가 20일 취임 즉시 틱톡 금지를 유예할 수 있는 조처를 취하겠다고 공식화한 데 따라서다.
19일 미국 서부시간 오후 1시(한국시간 20일 오전 6시) 기준 틱톡은 정상적으로 접속 및 이용이 가능한 상태다. 틱톡 측은 이날 엑스(X·옛 트위터) 계정에 올린 성명에서 "우리 서비스 제공업체들과의 합의에 따라 틱톡은 서비스 복구 절차를 진행 중"이라고 밝혔고, 그 후 몇 시간 만에 서비스가 정상으로 돌아왔다. 다만 애플과 안드로이드 애플리케이션(앱) 마켓에서 틱톡 앱을 새로 내려받는 것은 아직 불가능하다.
틱톡 측은 "트럼프 대통령(당선자)이 우리 서비스 제공업자들에게 어떠한 처벌도 받지 않을 것이라는 확신을 준 것에 대해 감사하다"고 밝혔다. 이어 "트럼프 대통령(당선자)과 협력해 미국에서 틱톡을 유지할 수 있는 장기적인 해결책을 모색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틱톡은 이날 복구된 틱톡 앱에 접속하면 가장 먼저 뜨는 영상을 통해서도 같은 입장을 전했다. 해당 영상에서 추 쇼우즈 틱톡 최고경영자(CEO)는 서비스 재개 사실을 전하며 "트럼프 대통령의 약속에 감사함을 전하고 싶다"고 말했다.
19일 서비스가 복구된 틱톡에 접속했을 때 가장 먼저 뜨는 영상의 한 장면. 추 쇼우즈 틱톡 최고경영자(CEO)가 미국 서비스 복구 사실을 전하며 "트럼프 대통령의 약속에 감사함을 전하고 싶다"고 밝히고 있다. 틱톡 캡처
틱톡의 미국 내 서비스는 지난 18일 밤 중단됐다. 지난해 4월 미국 연방 의회를 통과한 틱톡 금지법의 효력 발생을 앞두고 서비스를 전면 중단한 것이다. 틱톡 금지법은 틱톡 모기업인 중국 바이트댄스가 미국 사업권을 미국 내 기업에 매각하지 않을 경우 이달 19일부로 틱톡 앱신규 다운로드 등을 금지하는 것을 골자로 하고 있다. 해당 법은 '신규 다운로드'만을 금지하고 있으나, 틱톡 측은 여기서 더 나아가 18일 밤을 기해 기존 이용자들까지 이용할 수 없도록 서비스를 완전히 중단시켰다. 해당 법에 대한 미국인들의 여론 악화를 노리고 전면 중단이라는 극단적 조치를 취한 것이라는 해석이 나왔다. 미국 내 틱톡 이용자는 약 1억7,000만 명이다.
예상대로 이용자들 사이에서 불만이 들끓자, 결국 취임을 하루 앞둔 트럼프 당선자가 나섰다. 트럼프 당선자는 이날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 트루스소셜에 올린 글에서 틱톡 금지법에 명시된 틱톡 미국 사업권의 매각 기간을 늘리는 행정명령을 20일(대통령 취임일) 낼 것이라며 "그렇게 함으로써 우리는 국가안보를 보호하는 합의를 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또 미국의 관련 사업자들에게 틱톡 서비스가 중단되지 않도록 할 것을 요청하면서 이들에게 틱톡 금지법에 따른 법적 책임을 묻지 않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