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출석 요구 불응 등 부정적 영향
윤 ‘텔레그램 삭제’ 주장 등 먹혀
내란 우두머리 혐의로 체포된 윤석열 대통령의 구속 전 피의자심문(영장실질심사)이 종료된 지난 18일 서울 마포구 서울서부지법에서 윤 대통령측 윤갑근 변호사가 취재진의 질문을 받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윤석열 대통령 구속을 놓고 여권에서는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와의 형평성을 문제 삼고 있다. 윤 대통령 구속전 피의자심문(영장실질심사)은 2023년 열린 이 대표 사건보다 빨리 종료됐고 결과도 달랐다. 별개의 사건을 직접 비교하기는 어렵지만 윤 대통령이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 출석 요구에 불응했던 점, 이 대표 사건과 비교하면 윤 대통령의 계엄 선포 행위 등 사실관계가 비교적 명확한 점 등이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윤 대통령 영장심사는 서울서부지법에서 18일 오후 2시부터 6시50분까지 4시간50분간 진행됐다. 다른 대형 부패 사건에 비하면 심문 시간이 짧았다. 이 대표는 2023년 9월 백현동 개발 특혜 의혹, 쌍방울 대북송금 등 혐의로 9시간17분간 영장심사를 받았다. 서초동의 한 변호사는 19일 “부패·경제범죄 사건의 경우 최종 책임자가 금품 또는 지시나 보고를 실제 받았는지 등을 놓고 치열하게 다투지만 윤 대통령 사건은 그럴 필요가 없다”고 했다.

법조계에선 하급자가 사실관계와 혐의를 인정하는지, 피의자가 수사기관 출석에 응했는지 등이 영향을 미쳤을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윤 대통령의 경우 비상계엄 선포 장면이 생중계됐고 다수의 군 장성은 윤 대통령의 국회의원 체포 지시 등이 있었다고 진술한다. 윤 대통령은 검찰과 공수처의 출석 요구에 모두 불응했다. 공수처는 윤 대통령이 텔레그램 계정을 삭제하고, 계엄 후에도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을 만난 점 등을 증거인멸 정황으로 제시했는데, 법원은 이 같은 주장을 받아들인 것으로 보인다.

반면 이 대표는 검찰 수사의 부당성을 주장하면서도 윤석열정부에서 총 여섯 차례 피의자 신분으로 출석했다. 백현동 개발 의혹 관련 하급자인 정진상 전 당대표실 정무조정실장, 대북송금 사건 관련 이화영 전 경기도 평화부지사는 이 대표의 관여 여부 등을 부인한다. 이 때문에 당시 법원은 이 대표의 인식이나 공모 여부, 관여 정도에 다툼의 여지가 있다고 판단했다. 또 이 대표가 주변 인물에 직접 개입했다고 단정할 자료는 부족한 점, 당대표 신분 등을 고려할 때 증거인멸 염려를 단정하기 어렵다고 봤다.

윤 대통령 측 석동현 변호사는 “법원이 이재명도 구속하지 않았는데 현직 대통령을 구속한 건 어불성설”이라고 주장했다. 하지만 김선택 고려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는 “윤 대통령이 저지른 범죄는 내란죄로 다른 범죄와 비교할 수 없다. 이 대표 사건과는 성격, 죄질이 완전히 다르기 때문에 사법부가 나름의 기준을 갖고 판단한 것”이라고 말했다.

국민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 »»»»» 이재명과 형평성 문제삼는 여권… 법조계 “尹 사건은 비교적 명확” 랭크뉴스 2025.01.20
35991 김 여사, 尹 면회 못한다… 공수처, 증거인멸 우려 접견 제한 랭크뉴스 2025.01.20
35990 방패 뺏기고 피 흘린 경찰‥뒤늦게 "엄정 대응" 랭크뉴스 2025.01.20
35989 틱톡, 미국 서비스 중단 하루 만 복구... "트럼프 대통령에 감사" 랭크뉴스 2025.01.20
35988 [단독] 더 센 트럼프 온다…"이게 최대 걱정" 10대 그룹의 고백 랭크뉴스 2025.01.20
35987 난데없는 ‘카톡 검열’ 주장에 카카오 “불가능” 일축 랭크뉴스 2025.01.20
35986 코로나 검사만 14번 받고 떠난 유엽군의 아버지가 백서를 쓰는 이유[코로나 5년①] 랭크뉴스 2025.01.20
35985 번호 달린 수용자복 입고 ‘머그샷’···3평 독방에 갇힌 윤석열 랭크뉴스 2025.01.20
35984 윤석열 쪽, 또 “엉터리 영장”…5전5패→구속적부심 수순 랭크뉴스 2025.01.20
35983 불복에 불복에 불복…법원 상대 ‘5전5패’ 윤석열, 6번째는 구속적부심 예상 랭크뉴스 2025.01.20
35982 트럼프, 워싱턴서 승리 집회…“틱톡금지 유예 행정명령 내릴 것” 랭크뉴스 2025.01.20
35981 자존감 깎아내리는 부모, 돈 안 갚는 오빠… 가족과 절연해야 할까요 [정우열의 회복] 랭크뉴스 2025.01.20
35980 “대통령 시계 삽니다”…5만원에도 안 팔리더니 지금 얼마? 랭크뉴스 2025.01.20
35979 '尹 한배' 김용현, 계엄후 첫 모습 드러낼까…헌재 출석 관심 랭크뉴스 2025.01.20
35978 김종인 "차기 대선서 개헌 못박고, 총선때 개헌안 통과해야" ['포스트 87' 지혜를 구하다] 랭크뉴스 2025.01.20
35977 “현 대통령제 뜯어고쳐야” 尹 구속된 날 개헌론 띄운 여권 랭크뉴스 2025.01.20
35976 [단독] 수능 만점도, 의대 진학 2위 고교도 '미달'···자사고 '특수'는 없었다 랭크뉴스 2025.01.20
35975 “보조금 준대도 지방은 안 갈래”… 지난해 지방 이전 기업은 한 곳 뿐 랭크뉴스 2025.01.20
35974 틱톡 美 서비스 재개… "트럼프에 감사" 랭크뉴스 2025.01.20
35973 돈에 눈이 멀어···중국에 넘어갈 뻔한 ‘삼성전자의 30년’ 랭크뉴스 2025.0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