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재부, 2월 최근 경제동향 발표
정부 “주요국 관세부과 현실화… 통상환경 불확실성 확대”
정부가 경기 둔화에 대한 진단을 한층 더 비관적으로 조정했다. 지난달 ‘고용 둔화’ 표현을 추가한 데 이어 이번 달에는 소비·건설투자 회복 지연과 미국 관세 부과 현실화까지 거론하며 경기 하방 압력을 강조했다.
기획재정부는 14일 발표한 ‘2월 최근 경제동향(그린북)’에서 “소비·건설투자 등 내수 회복이 지연되고, 취약 부문을 중심으로 고용 애로가 지속되는 가운데, 대내외 불확실성 확대에 따른 경제 심리 위축 등으로 경기 하방 압력이 증가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 1월에는 ‘고용 둔화’를 경기 하방 요인으로 추가한 데 이어 이달에는 소비·건설투자 부진까지 포함하면서 경제 상황에 대한 우려를 더욱 강하게 반영한 것이다.
글로벌 경제에 대한 평가도 지난달 ‘통상환경 변화 가능성’에서 이번 달에는 ‘주요국 관세 부과 현실화’로 보다 구체화했다. 이는 미국이 추진하는 자동차 관세 인상 가능성과 반도체·전기차 등 전략 산업에 대한 보호무역 기조 강화 등을 염두에 둔 것으로 해석된다.
정부는 이에 대응하기 위해 1분기 ‘민생·경제 대응 플랜’을 통해 가용 수단을 총동원해 일자리, 서민 금융, 소상공인 지원 대책을 신속히 마련·추진할 계획이다. 또한 미국의 관세 부과로 인한 국내 기업 피해 지원, 첨단전략산업기금 설치 등 통상 리스크 대응책도 마련할 방침이다.
정부 진단대로 최근 소비와 투자 등 내수 지표는 정국 혼란과 건설 경기 부진 등의 영향으로 악화하는 모습이다.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소매 판매는 전월보다 0.6%, 전년 동월보다 3.3% 감소했다. 건설투자는 전월보다 1.3% 증가했지만, 전년 동월 대비로는 8.3% 줄었다.
소비 둔화 조짐도 나타났다. 1월 카드 국내 승인액은 전년 동월 대비 1.7% 증가하는 데 그쳤으며, 이는 전월(5.4%) 대비 크게 낮아진 수치다.
두 달 연속 고용 관련 부정적인 표현이 경기 진단에 담긴 것도 주목할 대목이다. 지난달 ‘고용 둔화’라는 진단이 이번 달에는 ‘고용 애로 지속’으로 바뀌면서, 고용 시장이 구조적 어려움을 겪고 있음을 나타냈다.
1월 취업자는 전년 동월 대비 13만5000명 증가했지만, 증가 폭은 둔화했다. 특히 건설업 취업자는 16만9000명 감소해 2013년 산업분류 개편 이후 가장 큰 폭으로 줄었다. 제조업 취업자도 7개월 연속 감소세를 이어갔으며, 청년층 취업자는 21만8000명 줄어 2021년 1월 이후 최대 감소폭을 기록했다.
특히 1월 전산업 기업심리지수(CBSI)는 85.9로 전월보다 1.4포인트 하락하며 기업들이 경기 전망을 더 비관적으로 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출은 조업일수 감소 등의 영향으로 전년 동월 대비 10.3% 감소했다.
물가는 석유류 가격 상승 폭 확대 등으로 전년 동월 대비 2.2% 상승했다. 식료품·에너지를 제외한 근원물가는 1.9% 올랐다. 소비자심리지수(CSI)는 91.2로 전월보다 3.0포인트 상승했지만, 여전히 기준선(100)을 밑돌며 경기 둔화 우려를 반영했다.
정부 “주요국 관세부과 현실화… 통상환경 불확실성 확대”
정부세종청사 중앙동 전경. /뉴스1
정부가 경기 둔화에 대한 진단을 한층 더 비관적으로 조정했다. 지난달 ‘고용 둔화’ 표현을 추가한 데 이어 이번 달에는 소비·건설투자 회복 지연과 미국 관세 부과 현실화까지 거론하며 경기 하방 압력을 강조했다.
기획재정부는 14일 발표한 ‘2월 최근 경제동향(그린북)’에서 “소비·건설투자 등 내수 회복이 지연되고, 취약 부문을 중심으로 고용 애로가 지속되는 가운데, 대내외 불확실성 확대에 따른 경제 심리 위축 등으로 경기 하방 압력이 증가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 1월에는 ‘고용 둔화’를 경기 하방 요인으로 추가한 데 이어 이달에는 소비·건설투자 부진까지 포함하면서 경제 상황에 대한 우려를 더욱 강하게 반영한 것이다.
글로벌 경제에 대한 평가도 지난달 ‘통상환경 변화 가능성’에서 이번 달에는 ‘주요국 관세 부과 현실화’로 보다 구체화했다. 이는 미국이 추진하는 자동차 관세 인상 가능성과 반도체·전기차 등 전략 산업에 대한 보호무역 기조 강화 등을 염두에 둔 것으로 해석된다.
정부는 이에 대응하기 위해 1분기 ‘민생·경제 대응 플랜’을 통해 가용 수단을 총동원해 일자리, 서민 금융, 소상공인 지원 대책을 신속히 마련·추진할 계획이다. 또한 미국의 관세 부과로 인한 국내 기업 피해 지원, 첨단전략산업기금 설치 등 통상 리스크 대응책도 마련할 방침이다.
조성중 기획재정부 경제분석과장이 14일 오전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2025년 2월 최근 경제동향을 발표하고 있다. /뉴스1
정부 진단대로 최근 소비와 투자 등 내수 지표는 정국 혼란과 건설 경기 부진 등의 영향으로 악화하는 모습이다.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소매 판매는 전월보다 0.6%, 전년 동월보다 3.3% 감소했다. 건설투자는 전월보다 1.3% 증가했지만, 전년 동월 대비로는 8.3% 줄었다.
소비 둔화 조짐도 나타났다. 1월 카드 국내 승인액은 전년 동월 대비 1.7% 증가하는 데 그쳤으며, 이는 전월(5.4%) 대비 크게 낮아진 수치다.
두 달 연속 고용 관련 부정적인 표현이 경기 진단에 담긴 것도 주목할 대목이다. 지난달 ‘고용 둔화’라는 진단이 이번 달에는 ‘고용 애로 지속’으로 바뀌면서, 고용 시장이 구조적 어려움을 겪고 있음을 나타냈다.
1월 취업자는 전년 동월 대비 13만5000명 증가했지만, 증가 폭은 둔화했다. 특히 건설업 취업자는 16만9000명 감소해 2013년 산업분류 개편 이후 가장 큰 폭으로 줄었다. 제조업 취업자도 7개월 연속 감소세를 이어갔으며, 청년층 취업자는 21만8000명 줄어 2021년 1월 이후 최대 감소폭을 기록했다.
특히 1월 전산업 기업심리지수(CBSI)는 85.9로 전월보다 1.4포인트 하락하며 기업들이 경기 전망을 더 비관적으로 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출은 조업일수 감소 등의 영향으로 전년 동월 대비 10.3% 감소했다.
물가는 석유류 가격 상승 폭 확대 등으로 전년 동월 대비 2.2% 상승했다. 식료품·에너지를 제외한 근원물가는 1.9% 올랐다. 소비자심리지수(CSI)는 91.2로 전월보다 3.0포인트 상승했지만, 여전히 기준선(100)을 밑돌며 경기 둔화 우려를 반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