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 ▶
검찰 공소장의 결론은, 윤석열 대통령이 군과 경찰을 동원해서 지역의 평온을 해치는 폭동을 일으켰다는, 즉 내란의 우두머리라는 겁니다.
경고성 계엄을 했다는 윤 대통령의 계획과 지시 내용은 구체적이었고, 검찰은 이 내용들은 낱낱이 적시했습니다.
이준희 기자입니다.
◀ 리포트 ▶
계엄 선포 직후 김용현 당시 국방장관은 전군주요지휘관 회의를 주재하면서 "대통령님의 뜻을 받들어 임무 명령을 하달한다"고 말했다고 검찰은 파악했습니다.
계엄이 윤 대통령의 뜻으로 시작됐음을 검찰이 공소장을 통해 확인한 겁니다.
5분에 불과했던 계엄 전 국무회의에서의 윤 대통령 발언도 검찰은 주목했습니다.
윤 대통령은 "내가 결단한 것이고 대통령이 책임을 지고 하는 것"이라고 했습니다.
검찰은 국회와 선관위 장악, 선관위 전산 자료 압수, 국회의원들의 계엄 해제 의결 저지 등 계엄의 핵심 내용에 대한 윤 대통령의 '순차 지시'가 있었다는 점도 적시했습니다.
윤 대통령이 비상계엄의 국면마다 직접 개입한 정황도 다시 확인됐습니다.
계엄 당일 조지호 전 경찰청장에게 6차례 전화해 "국회 들어가려는 국회의원들 다 체포해, 잡아들여"라고 지시했고, 홍장원 당시 국정원 1차장에게도 전화했습니다.
[홍장원/전 국가정보원 1차장(지난달 22일)]
"'다 잡아들여라, 이번에 싹 다 정리해라' 아까 말씀드린 대로 그 말씀 이후에 '방첩사를 적극 지원하라'고…"
이진우 당시 수방사령관에게는 "본회의장으로 가서 4명이 1명씩 둘러업고 나오라고 해", "총을 쏴서라도 문을 부수고 들어가서 끌어내라"고 지시했습니다.
곽종근 당시 특전사령관에게도 "문짝을 도끼로 부수고서라도 안으로 들어가서 다 끄집어내라"고 했습니다.
윤 대통령측은 오늘 공개된 공소장이 김용현 전 장관의 공소장과도 다르고, 사실과 다른 부분도 너무 많다고 했습니다.
[윤석열 대통령(지난달 21일)]
"<계엄해제결의를 위해 국회에 모인 국회의원들 끌어내라고 지시한 적이 있으십니까?> 없습니다."
윤 대통령이 헌재 탄핵심판에서 강조했던 경고성 계엄, 평화적 계엄 등 언급은 101쪽짜리 공소장 어디에도 등장하지 않았습니다.
평화롭던 대한민국 일상을 단번에 깨뜨린 12·3 비상계엄 사태, 검찰은 그 시작점으로 내란 우두머리 피의자 윤석열 대통령을 지목하고 있습니다.
MBC뉴스 이준희입니다.
영상편집 : 허유빈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email protected]
▷ 카카오톡 @mbc제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