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3 비상계엄 사태’와 관련해 재판 증인으로 나온 김형기 특수전사령부 1특전대대장은 자신의 내란 우두머리 혐의 재판에 출석한 윤석열 전 대통령 앞에서 “사람에게 충성하지 않는다”고 말했습니다.
김 대대장은 오늘(21일) 오후 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25부(부장판사 지귀연) 심리로 열린 윤 전 대통령의 ‘내란 우두머리’ 혐의 2차 공판에 증인으로 출석해, 재판부가 발언권을 주자 “꼭 드리고 싶은 말이 있다”면서 이같이 말했습니다.
‘사람에게 충성하지 않는다’라는 발언은 지난 2013년 당시 수원지검 여주지청장이었던 윤 전 대통령이 서울고검 국정감사장에서 의원과 질의응답 과정에서 한 말로, 윤 전 대통령을 검사 시절 스타로 만들었던 유명한 발언이기도 합니다.
김 대대장은 윤 전 대통령 앞에서 “23년간 군인으로 일했는데, 바뀌지 않는 건 국가와 국민을 지키는 것이다”라며 “12월 4일 받았던 임무(정치인 끌어내기)를 어떻게 수행하겠냐”고 말했습니다.
김 대대장은 이어 “누군가는 제게 항명이라고 하는데, 저는 항명이 맞다”면서 “저는 사람에게 충성하지 않고, 조직에 충성했다”고 밝혔습니다.
이어 “저희 조직은 철저하게 상명하복을 기본으로 운영된다”면서 “상급자 명령에 하급자가 복종하는 건 국가와 국민을 지키라는 임무가 부여했을 때만 국한된다”고 설명했습니다.
김 대대장은 “국민에게 많은 사랑을 받으며 임무를 수행했는데, 지난해 12월 4일 받은 임무를 제가 어떻게 그런 임무를 수행할 수 있는가?”라면서 “차라리 항명죄로 처벌해달라”고 강조했습니다.
그러면서 “그날 그 자리에서 부하들은 아무 일도 하지 않았고, 그렇기 때문에 아무도 위험하지 않았다”면서 “그 덕분에 민주주의를 지켰다고 생각한다”고 밝혔습니다.
끝으로 김 대대장은 “군이 정치적인 수단으로 이용되지 않게끔 질책과 비난을 통해서 군을 감시해 주시기를 바란다”고 덧붙였습니다.
윤 전 대통령은 눈을 감고 있다가, 김 대대장 마지막 발언에 눈을 떠서 증인 쪽을 응시했습니다.
■ 제보하기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email protected]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네이버, 유튜브에서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김 대대장은 오늘(21일) 오후 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25부(부장판사 지귀연) 심리로 열린 윤 전 대통령의 ‘내란 우두머리’ 혐의 2차 공판에 증인으로 출석해, 재판부가 발언권을 주자 “꼭 드리고 싶은 말이 있다”면서 이같이 말했습니다.
‘사람에게 충성하지 않는다’라는 발언은 지난 2013년 당시 수원지검 여주지청장이었던 윤 전 대통령이 서울고검 국정감사장에서 의원과 질의응답 과정에서 한 말로, 윤 전 대통령을 검사 시절 스타로 만들었던 유명한 발언이기도 합니다.
김 대대장은 윤 전 대통령 앞에서 “23년간 군인으로 일했는데, 바뀌지 않는 건 국가와 국민을 지키는 것이다”라며 “12월 4일 받았던 임무(정치인 끌어내기)를 어떻게 수행하겠냐”고 말했습니다.
김 대대장은 이어 “누군가는 제게 항명이라고 하는데, 저는 항명이 맞다”면서 “저는 사람에게 충성하지 않고, 조직에 충성했다”고 밝혔습니다.
이어 “저희 조직은 철저하게 상명하복을 기본으로 운영된다”면서 “상급자 명령에 하급자가 복종하는 건 국가와 국민을 지키라는 임무가 부여했을 때만 국한된다”고 설명했습니다.
김 대대장은 “국민에게 많은 사랑을 받으며 임무를 수행했는데, 지난해 12월 4일 받은 임무를 제가 어떻게 그런 임무를 수행할 수 있는가?”라면서 “차라리 항명죄로 처벌해달라”고 강조했습니다.
그러면서 “그날 그 자리에서 부하들은 아무 일도 하지 않았고, 그렇기 때문에 아무도 위험하지 않았다”면서 “그 덕분에 민주주의를 지켰다고 생각한다”고 밝혔습니다.
끝으로 김 대대장은 “군이 정치적인 수단으로 이용되지 않게끔 질책과 비난을 통해서 군을 감시해 주시기를 바란다”고 덧붙였습니다.
윤 전 대통령은 눈을 감고 있다가, 김 대대장 마지막 발언에 눈을 떠서 증인 쪽을 응시했습니다.
■ 제보하기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email protected]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네이버, 유튜브에서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