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이호진, 횡령·배임 혐의로 검찰 수사 중
금융계열사 대주주 적격성 문제될 수도
대기업집단 지정 시 지배구조 ‘흔들’


이호진 전 태광그룹 회장이 지난해 5월 서울중앙지법에서 열리는 구속 전 피의자 심문(영장심사)을 받기 위해 법정으로 들어서고 있다. /연합뉴스

이호진 전 태광그룹 회장이 지난해 광복절 특사로 사면됐지만 곧바로 계열사를 이용한 비자금 조성 혐의로 검찰 수사를 받게 되면서, 흥국생명 등 금융계열사의 ‘오너 리스크’가 지속되고 있다.

태광그룹 금융계열사의 지배구조는 이 전 회장이 각 금융사의 최대주주에 오른 병렬적 구조다. 이 전 회장은 흥국생명 지분 56.3%를 보유해 산하 흥국화재를, 흥국증권 지분 68.75%를 보유해 산하 흥국자산운용을, 고려저축은행 지분 30.5%를 보유해 산하 예가람저축은행을 각각 지배하고 있다. 하나의 금융사만 지배하면 산하 금융계열사 다수를 간접지배하는 수직 구조와는 정반대인 것이다.

이 전 회장은 직접지배 외에도 태광그룹의 지주사 역할을 하는 티알엔을 통해서도 지배력을 행사하고 있다. 티알엔은 이 전 회장과 그의 자녀 이현준씨 지분이 90%가 넘는 가족회사다. 티알엔이 대한화섬과 태광산업을 지배하고, 두 회사가 다시 금융계열사 지분을 일부 보유하고 있다. 이 전 회장의 보유지분을 통한 직접지배와 티알엔을 이용한 간접지배가 동시에 이뤄지고 있는 셈이다.

하지만 이 전 회장에 대한 사법리스크가 또다시 변수로 떠올랐다. 서울경찰청은 지난해 9월 이 전 회장을 특정경제범죄 처벌 등에 관한 법률상 횡령·배임 혐의로 검찰에 송치했다. 경찰은 이 전 회장이 수십억원에 달하는 비자금을 조성했다고 판단했다.

이 전 회장에게 유죄가 선고되면 문제가 되는 것은 저축은행계열사다. 상호저축은행법에 따르면, 대주주 적격성 유지요건 중 하나가 사회적 신용이기 때문이다. 대주주인 이 전 회장이 적격성을 충족하지 못하면 의결권은 지분 10%로 제한된다. 금융 당국은 10% 초과 지분을 매각하라고 명령할 수도 있다.

의결권이 제한되면 고려저축은행의 실질적인 최대주주는 지분 23.2%를 보유한 이 전 회장의 조카 이원준씨가 된다. 이원준씨는 이임용 창업주의 장남 이식진 전 태광그룹 부회장의 첫째 아들로, 태광그룹 장자다. 이 전 회장의 아들 이현준씨는 흥국증권 우선주 43만주를 제외하면 금융계열사 지분이 하나도 없다.

그래픽=손민균

흥국생명과 흥국화재 등 보험계열사에 대한 지배력은 문제가 되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보험계열사의 대주주 적격성 유지요건은 저축은행과 달리 조세범처벌법·공정거래법·금융 관련 법령 위반에 한정돼 있다. 이 전 회장의 특경법상 횡령·배임 혐의가 유죄로 판단돼도 적격성 유지에는 문제가 없다는 뜻이다.

태광그룹이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대기업집단)으로 지정되는 것도 이 전 회장의 지배력에는 악영향을 미친다. 공정거래위원회에 따르면, 지난해 태광그룹의 공정자산 규모는 9조6630억원으로, 대기업집단 지정요건인 10조4000억원과 큰 차이가 나지 않는다. 태광그룹 자산총액은 2020년 8조1460억원에서 시작해 2023년을 제외하고는 매년 5000억원 이상 증가했다. 이 추세라면 앞으로 5년 내 대기업집단으로 지정될 수 있다.

대기업집단으로 지정되면 태광그룹 지배구조의 핵심인 티알엔을 지주사로 전환하는 방안이 거론된다. 하지만 지주사 체제로 전환되면, 금산분리 원칙에 따라 비금융계열사는 금융계열사 지분을 보유할 수 없게 된다. 티알엔과 티알엔 자회사인 대한화섬·태광산업이 보유한 지분을 매각해야 하는 것이다. 이 전 회장이 티알엔을 통해 행사했던 간접지배가 흔들릴 수밖에 없다.

대한화섬은 흥국생명 지분 10.43%와 고려저축은행 지분 20.2%, 예가람저축은행 지분 22.16%를 보유하고 있다. 태광산업도 흥국화재 지분 39.13%와 고려저축은행 지분 20.2%를 보유하고 있다.

조선비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9018 연판장 압박에… 대통령경호처 차장 사의 new 랭크뉴스 2025.04.16
49017 널뛰기 장세 속 줄지않는 신용융자… 개미들, 빚내서 정치 테마주 산다 new 랭크뉴스 2025.04.16
49016 ‘현금 10조’ 쌓아둔 네카오, AI 인프라 투자↓… “美 빅테크와 기술 격차 더 벌어질 수도” new 랭크뉴스 2025.04.16
49015 [단독] 실업급여 반복 수급 49만여 명…20회에 걸쳐 1억 가까이 받기도 new 랭크뉴스 2025.04.16
49014 “공식 계정 맞아?” ‘러브라이브’ 안철수… ‘아이언맨’ 김동연도 new 랭크뉴스 2025.04.16
49013 "경빈이 수저 아직 찬장에···" 아들 잃은 세월호 유족 인숙씨는 왜 아직도 소송 중인가 new 랭크뉴스 2025.04.16
49012 무조건 이재명만 막자?‥반성 없는 '빅텐트'론 new 랭크뉴스 2025.04.16
49011 ⑤“권력자 잘못 명명백백히 밝히는 사회 되어야”···다시, 광장 지킨 세월호 유족 [광장에서 시민에게 듣는다] new 랭크뉴스 2025.04.16
49010 [삶] 韓당국에 항의 15일간 단식한 佛입양인 장성탄씨 부인 로리안 new 랭크뉴스 2025.04.16
49009 400만 여행 커뮤니티 스토리시티, AI 여행 앱 ‘여다’ 4년 만에 서비스 종료 new 랭크뉴스 2025.04.16
49008 수면유도제 먹고 '쾅쾅'…음주만큼 위험한 약물운전 2년새 두배 new 랭크뉴스 2025.04.16
49007 대단지 이점에도…통합 재건축 시도 곳곳서 잡음 new 랭크뉴스 2025.04.16
49006 車 관세·LNG 빅딜 성사되나…정부, 곧 알래스카 현장 실사 [Pick코노미] new 랭크뉴스 2025.04.16
» »»»»» [보험사 지배구조] 흥국생명·화재, 오너 사법리스크가 최대 ‘악재’ new 랭크뉴스 2025.04.16
49004 "넷플릭스 한국 콘텐츠 시청시간 전세계 2위…영국·일본 제쳐" new 랭크뉴스 2025.04.16
49003 홍준표 "혼란기엔 나같은 스트롱맨 필요, 태종 이방원 역할할 것" [대선주자 릴레이 인터뷰①] new 랭크뉴스 2025.04.16
49002 애플, 지난달 인도서 2조8천억원어치 아이폰 공수…역대 최대 new 랭크뉴스 2025.04.16
49001 "전주에서도 배민 B마트를"… 퀵커머스 시장 불붙는다 new 랭크뉴스 2025.04.16
49000 "돈 주고 후보 선출 떠넘긴 꼴" "사실상 주사위 던지기"...불만 쌓이는 여론조사 경선 new 랭크뉴스 2025.04.16
48999 젠슨황, 두 달만에 무릎 꿇렸다…“치매도 고친다” 양자컴 진격 new 랭크뉴스 2025.04.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