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마포구 서부고용복지플러스센터에서 구직자들이 채용게시판을 살펴보고 있다. 성동훈 기자
지난달 취업자가 한 달 만에 다시 증가했지만, 제조업·건설업의 고용 부진은 지속됐다. 특히, 건설업 취업자는 2013년 관련 통계 집계 이후 가장 큰 폭으로 일자리가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이 14일 발표한 ‘1월 고용동향’을 보면 지난달 15세 이상 취업자는 2787만8000명으로 작년 같은 달보다 13만5000명 증가했다. 지난해 12월 일자리 사업 일시 종료 등 영향으로 5만2000명 줄어들었지만 한 달 만에 다시 증가세로 전환했다.
이는 직접·노인 일자리 사업이 재개된 데 따른 영향이 크다. 실제 보건업·사회복지서비스업이 11만9000명 늘며 증가세를 견인했다. 전문과학·기술서비스업(9만8000명), 정보통신업(8만1000명) 등도 취업자가 늘었다.
반면, 건설업 취업자는 16만9000명 줄며 2013년 관련 통계 집계 이후 가장 큰 폭으로 줄었다. 건설업 취업자는 건설 경기 불황 영향으로 9개월째 줄고 있으며 감소 폭도 확대되는 모습이다.
내수 침체로 도·소매업 취업자 수도 9만1000명 줄며 11개월째 감소세를 이어갔다. 여기에 반도체를 제외한 대부분의 업종 부진으로 양질의 일자리로 꼽히는 제조업(-5만60000명) 취업자 수도 줄었다.
연령별로 보면 정부 일자리 사업 재개로 60세 이상에서 취업자가 34만명 증가했다. 그러나 20대(20만5000명)와 40대(7만1000명)와 50대(1만4000명)에서는 취업자가 줄었다.
15~64세 고용률(OECD비교기준)은 68.8%로 전년 동월대비 0.1%포인트 상승했다. 청년층(15~29세) 고용률은 44.8%로 전년동월대비 1.5%포인트 하락했다. 이는 2021년 1월(-2.9%포인트) 이후 최대 낙폭이다.
지난달 실업률은 3.7%로 1년 전과 같았다. 같은 기간 청년층(15~29세) 실업률도 6.0%로 1년 전과 같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