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연합뉴스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 유진 파마 시카고대 교수가 10년 안에 비트코인의 가치가 소멸할 가능성이 크다는 전망을 내놨다.
2일(현지 시각) 가상화폐 전문 매체 크립토뉴스에 따르면 파마 교수는 지난달 30일 팟캐스트 ‘캐피털리즌트(Capitalisn’t)’에서 “가상화폐는 교환 매체로서의 모든 규칙을 위반하고 있다”며 “비트코인이 거의 100%의 확률로 10년 내에 가치가 0일 될 것”이라고 예측했다.
파마 교수는 “비트코인의 특성상 공급을 제한하고 있기 때문에 가격은 전적으로 수요에 의해 결정된다”며 “고정된 공급과 변동하는 수요가 결합되면 가격 변동성이 발생해 통화로서 적합하지 않다”고 말했다.
이어 “안정적인 실질 가치가 없고, 매우 가변적인 실질 가치를 가지고 있다”며 “교환 매체로 살아남을 수 없다”고 부연했다.
파마 교수는 블록체인 기술에 대해서도 의문을 제기했다. 그는 ‘51% 공격(majority attack)’을 지적하며 “물론 이러한 공격을 하기 위해선 비용이 많이 들겠지만, 검증 및 누가 규칙을 시행하는지 여부에 대한 문제에 직면해 있다”고 꼬집었다. 51% 공격이란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특정 세력이 51% 이상의 채굴량을 장악할 때 거래를 조작하거나 네트워크를 통제할 수 있는 것을 말한다.
파마 교수는 전통적 통화 이론으로 가상화폐를 설명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그는 “비트코인이 붕괴되기를 바란다”며 “그렇지 않으면 화폐 이론을 처음부터 다시 시작해야 할 것”이라고 했다.
다만 그는 자신의 전망에 “틀릴 가능성도 인정한다”며 열린 태도를 보였다.
효율적 시장 이론을 펼쳐온 파마 교수는 ‘시장의 모든 정보가 자산 가격에 즉각 반영된다’는 명제로 지수 추종형 펀드의 논리적 틀을 제공한 학자로 평가된다. 2013년에는 그 공로를 인정받아 로버트 실러 예일대 교수, 라스 피터 핸슨 시카고대 교수와 함께 노벨 경제학상을 공동 수상했다. 현재 경제학 전문 웹사이트인 경제학 연구논문(RePEc)이 선정하는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경제학자’ 10위에 이름을 올리고 있다.
한편 글로벌 가상자산 정보 플랫폼 코인마켓캡에 따르면 가상자산 시장 전체 시가총액은 1일 3조4500억달러에서 3일 3조1800억달러로 2700억달러가 감소했다. 미국발 관세 전쟁이 인플레이션을 유발하고, 금리 상승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3일 오전 10시 기준 비트코인의 가격은 9만6462달러로 전날대비 5% 하락했다.
유진 파마 시카고대 교수. 사진=시카고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