멕시코 정부가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멕시코산 제품 25% 관세 부과 방침에 대한 대응 방안을 3일(현지 시각) 발표한다.
클라우디아 셰인바움 멕시코 대통령은 2일 대국민 연설에서 “저는 내일(3일) 아침 정례 기자회견에서 미국의 관세 부과 조처에 대한 우리의 전략을 공개할 것”이라고 말했다. ‘보복 관세’에 대한 구체적인 계획을 밝히겠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셰인바움 대통령은 앞서 “’트럼프 관세’가 미국으로 수입되는 제품의 가격 상승으로 미국 소비자에 타격을 입힐 것”이라면서 행정명령 철회를 촉구했다. 전날에는 “경제부 장관에게 멕시코의 이익을 보호하기 위한 관세 및 비관세 조치를 포함해 플랜 B를 시행할 것을 지시했다”고 밝혔다.
멕시코는 그동안 미국과의 협상을 통해 관세 조처를 피해 가는 것을 주요 목표(플랜 A)로 삼았다. 그러나 미국의 관세 부과가 현실화되면서 세계무역기구(WTO) 제소를 비롯한 국제 분쟁화 등 단계별 대응 방침(플랜 B)을 본격화하고 있다고 현지 언론은 평가했다.
전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캐나다와 멕시코에서 미국으로 들어오는 모든 수입품에 25%의 관세를 부과하고, 중국산 제품에는 기존 관세의 세율을 추가로 10%포인트 올리는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다른 국가들도 미 정부의 정책에 일제히 반발하고 있다. 중국은 이날 미국의 관세 부과 조처에 대해 WTO에 제소하고, “상응한 반격(反制) 조치를 취해 권익을 굳게 수호할 것”이라고 밝혔다. 캐나다는 미국산 술과 과일, 의류에 25% 관세를 미국과 똑같이 적용하겠다면서 맞대응을 시사했다.
2일(현지 시각)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 로이터=연합뉴스
클라우디아 셰인바움 멕시코 대통령은 2일 대국민 연설에서 “저는 내일(3일) 아침 정례 기자회견에서 미국의 관세 부과 조처에 대한 우리의 전략을 공개할 것”이라고 말했다. ‘보복 관세’에 대한 구체적인 계획을 밝히겠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셰인바움 대통령은 앞서 “’트럼프 관세’가 미국으로 수입되는 제품의 가격 상승으로 미국 소비자에 타격을 입힐 것”이라면서 행정명령 철회를 촉구했다. 전날에는 “경제부 장관에게 멕시코의 이익을 보호하기 위한 관세 및 비관세 조치를 포함해 플랜 B를 시행할 것을 지시했다”고 밝혔다.
멕시코는 그동안 미국과의 협상을 통해 관세 조처를 피해 가는 것을 주요 목표(플랜 A)로 삼았다. 그러나 미국의 관세 부과가 현실화되면서 세계무역기구(WTO) 제소를 비롯한 국제 분쟁화 등 단계별 대응 방침(플랜 B)을 본격화하고 있다고 현지 언론은 평가했다.
전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캐나다와 멕시코에서 미국으로 들어오는 모든 수입품에 25%의 관세를 부과하고, 중국산 제품에는 기존 관세의 세율을 추가로 10%포인트 올리는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다른 국가들도 미 정부의 정책에 일제히 반발하고 있다. 중국은 이날 미국의 관세 부과 조처에 대해 WTO에 제소하고, “상응한 반격(反制) 조치를 취해 권익을 굳게 수호할 것”이라고 밝혔다. 캐나다는 미국산 술과 과일, 의류에 25% 관세를 미국과 똑같이 적용하겠다면서 맞대응을 시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