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주쿠바 한국 대사관이 17일(현지시간) 쿠바 수도 아바나에 문을 열었다. 지난해 2월 수교한 지 11개월 만이다. 초대 주쿠바 대사에는 통상 전문가로 꼽히는 이호열 주멕시코 한국 대사관 공사(전 보건복지부 국제협력관)가 내정됐는데, 쿠바와 경제 협력을 염두에 둔 인선으로 풀이된다.
17일(현지시간) 쿠바 아바나에서 열린 주쿠바 한국 대사관 개관식. 우리 정부를 대표하여 이주일 외교부 중남미국장이 참석했고, 쿠바 외교부 양자총국장 카를로스 페레이라(Carlos Pereira) 등 쿠바측 인사들도 참석했다. 외교부

17일(현지시간) 오전 아바나 미라마르에서 이주일 외교부 중남미국장과 카를로스 페레이라 쿠바 외교부 양자총국장이 각각 정부 대표로 참석한 가운데 개관식이 열렸다.

쿠바는 한국의 193번째 수교국이다. 한국은 쿠바와의 수교로 시리아 외에 모든 유엔 회원국과 수교를 이뤘다.

외교부는 "주쿠바 한국 대사관 개관을 통해 쿠바에 거주하거나 방문하는 국민에 영사 서비스 제공이 원활해지고, 재외국민 보호도 한층 강화되는 등 편익이 증가할 것"이라며 "이는 양국 국민 교류 확대에도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현재 쿠바에는 교민 약 30명이 거주하고 있다.

지난해 2월 쿠바 아바나 안토니오마세오 공원에 있는 쿠바 국기가 바람에 펄럭이고 있다. 연합뉴스

이날 개관식에는 이호열 주쿠바 대사 내정자도 참석했다. 이 내정자는 쿠바 정부로부터 아그레망(외교 사절에 대한 주재국 동의)을 이미 받아 조만간 정식 부임할 것으로 보인다.

이 내정자는 외교부에서 자유무역협정(FTA) 등 통상 업무를 다룬 경험이 풍부하고, 국제경제국 심의관을 지냈다. 초대 대사로 그를 발탁한 건 광물 자원이 풍부하고 한류가 널리 확산한 쿠바와의 경제 협력 잠재성을 고려한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앞서 서울에 부임한 클라우디오 라울 몬손 바에사 초대 주한 쿠바 대사는 지난 7일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에게 신임장을 제정했다. 쿠바 측은 올해 상반기에 주한 쿠바 대사관의 문을 열겠다는 계획이다.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지난 7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주한대사 신임장 제정식에서 클라우디오 라울 몬손 바에사 주한 쿠바 대사 로부터 신임장을 전달받은 뒤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대통령실사진기자단

최근 한국과 쿠바가 빠르게 상호 대사관 개설에 속도를 내고 초대 대사가 부임·내정하는 상황을 쿠바의 오랜 '형제국'인 북한은 강하게 경계할 것으로 보인다. 다만 외교부 당국자는 지난 13일 기자들과 만나 "(최근 한·쿠바 관계 관련 북한의 부정적 반응을) 접수하거나 알고 있는 바는 없다"고 설명했다.

지난해 2월 한국과 쿠바가 극비리에 물밑 접촉을 이어온 끝에 "대사급 외교관계 수립에 합의했다"고 전격 발표하자 북한은 적잖이 당황했다. 한·쿠바 수교 이후 관영 매체 보도에서 쿠바에 대한 언급을 의도적으로 피하거나 축소하는 식으로 줄곧 불편한 기색을 이어왔다. 일례로 지난 1일 조선중앙통신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미겔 디아스카넬 쿠바 대통령에게 새해 축전을 보냈다고 보도했는데, 축전 분량은 한 문장에 불과했고 "형제적 쿠바 인민" 등 양국 관계를 치켜세우는 수사는 이전과 비교해 모두 사라졌다.

다만 이제 막 첫발을 뗀 한·쿠바 관계가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과 함께 출렁일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쿠바는 트럼프 1기 시절 강도 높은 제재와 코로나19 봉쇄로 인해 극심한 경제난을 겪었다. 게다가 트럼프 2기 신임 국무장관으로 내정된 마코 루비오 상원의원은 쿠바의 공산주의에 강한 반감을 느끼고 미국으로 온 이민자의 아들이다. 그는 지난해 2월 한·쿠바 수교에 대해 미국의소리(VOA)에 "한국이 북한의 공격을 오랫동안 도와 온 쿠바의 범죄 정권과 외교관계를 맺은 것이 매우 우려스럽다"고 말하기도 했다.

앞서 쿠바가 북한과의 '의리' 대신 한국과 수교라는 '실리'를 택한 이유도 향후 미국과 관계 개선을 위한 협상에서 미국의 핵심 동맹인 한국의 지원을 염두에 둔 행보라는 해석이 나왔다. 그러나 트럼프 2기 행정부가 이미 쿠바에 대한 고강도 제재를 예고하면서 한국과 쿠바의 협력 역시 일정 부분 제약을 받을 가능성이 커졌다. 다만 제재에 저촉받지 않는 관광 산업이나 기후변화 대응 등에선 양국이 협력할 여지가 상당하다는 분석이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35133 "저한테 오빠가 있다고요?"…아빠가 호적에 올려준 친구 아들, 상속 절차는 랭크뉴스 2025.01.18
35132 비트코인, '트럼프 행정명령' 기대에 랠리…10만4천달러선 회복 랭크뉴스 2025.01.18
35131 ‘불륜’ 김민희, 64세 홍상수 아이 가졌다… 임신 6개월 랭크뉴스 2025.01.18
35130 5만원에도 안 팔리던 尹 시계… “30만원에 팔아요” 랭크뉴스 2025.01.18
35129 윤 대통령 구치소에서 ‘서신 정치’…“뜨거운 애국심에 감사” 랭크뉴스 2025.01.18
35128 폐렴으로 입원했던 EU 집행위원장, 2주만에 업무 복귀 랭크뉴스 2025.01.18
35127 박찬대 "특검법 재협상 없을듯"…권성동 "주고받기식 흥정 안해" 랭크뉴스 2025.01.18
» »»»»» 주쿠바 한국 대사관 개관…초대 대사에 '통상 전문가' 랭크뉴스 2025.01.18
35125 콜롬비아 '내전' 재격화…반군 충돌에 "최소 23명 사망" 랭크뉴스 2025.01.18
35124 "맨몸으로 어딜"…위험천만 '황소 길들이기' 대회서 7명 사망·400명 부상 랭크뉴스 2025.01.18
35123 [속보]외환 뺀 ‘내란 특검법’ 수정안 본회의 통과···국힘 안철수만 찬성표 랭크뉴스 2025.01.18
35122 설악산서 수백명 인명 구했다…'털보 산장지기' 유창서씨 별세 랭크뉴스 2025.01.18
35121 내란특검법 수정안 국회 본회의 통과…국민의힘 “최상목, 재의요구권 행사해야” 랭크뉴스 2025.01.18
35120 트럼프 “시진핑과 무역·틱톡 등 논의… 많은 문제 해결 기대” 랭크뉴스 2025.01.18
35119 [단독] 공수처, 윤석열 영장에 ‘확신범’ 지칭…“재범 위험 있다” 랭크뉴스 2025.01.18
35118 러·이란 포괄적전략적동반자조약 체결…가스·원전 협력(종합) 랭크뉴스 2025.01.18
35117 뉴욕증시, 트럼프 취임 앞두고 강세… 반등 출발 랭크뉴스 2025.01.18
35116 하루 600대 트럭반입·조립식 진료소…유엔, 가자지구 구호채비 랭크뉴스 2025.01.18
35115 권성동 “최상목, 野 일방처리 특검법에 재의요구권 행사해야” 랭크뉴스 2025.01.18
35114 [속보] 트럼프 "취임연설 의회내부서 진행 지시…혹한 때문" 랭크뉴스 2025.0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