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고환율·미 금리 인하 속도 조절 가능성에 3% 동결 결정
“정치 리스크로 성장 하방 위험”…2월 인하 가능성 커져
‘동결, 땅땅땅’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16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올해 첫 금융통화위원회에서 의사봉을 두드리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한국은행이 16일 12·3 비상계엄 여파에 따른 경기 하방을 우려하면서도 3회 연속 기준금리 인하 카드를 쓰지 않은 것은 달러당 1500원을 넘보는 고환율과 미국의 금리 인하 속도 조절 가능성을 고려한 결정으로 볼 수 있다. 계엄과 탄핵 정국 영향으로 원·달러 환율이 우리 경제의 기초체력에 비해 약 30원 더 올랐다는 게 한은의 분석이다. 국내외 정치 불확실성에 일단 ‘숨고르기’를 했지만 경기 부진 우려가 커지면서 2월 금리를 낮출 가능성은 높아졌다는 분석이 나온다.

한은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는 이날 금리 동결을 결정하면서 당장 환율이 ‘급한 불’이라고 봤다. 환율이 물가와 내수에 미치는 영향에 더 비중을 둔 것이다. 한은은 달러당 1470원대 환율이 유지된다면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기존 전망치(1.9%)보다 0.15%포인트 높은 2.05%가 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미국의 금리 인하 속도 조절 가능성도 고려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는 올해 들어 기준금리 인하 속도를 늦춰 최대 2번 낮추거나 아예 금리를 인하하지 않을 수 있다는 가능성까지 거론되고 있다. 한국이 경기 부양을 위해 금리를 낮춰야 하는 상황에서 미국이 금리 인하를 멈춘다면 한·미 간 금리 격차가 더 벌어져 자본 유출도 우려된다. 지난달 국내 주식·채권 시장에선 5조7000억원에 달하는 외국인 자금이 이탈했다.

이창용 한은 총재는 특히 ‘정치적 변수’를 여러 번 강조했다. 그는 “계엄 전 환율이 달러당 1400원, 지금은 1470원으로, 이 중 50원은 전 세계 공통적인 달러 강세에 따른 것이고, (시장 안정화 정책에 따른 하락 효과가 없었다면) 계엄과 탄핵 등 정치적 이유로 오른 게 30원 정도”라며 “우리 펀더멘털에 비해 많이 오른 것”이라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환율 안정을 위해 빠른 국정 안정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 총재는 “헌법재판소를 통한 정치적 프로세스가 어떻게 자리 잡고, 우리 경제 정책이 어떻게 운영될지에 달려 있다”고 했다.

이달 금리는 동결했지만 부진한 경기 상황을 고려하면 다음달 금리 인하 가능성은 더 커졌다. 당장 경제지표들도 좋지 않다. 계엄의 여파가 생각보다 크다는 것이다. 이 총재는 “지난해 4분기 성장률 전망치가 0.2% 또는 더 밑으로 내려갈 가능성이 있다”고 했다. 당초 4분기 전망치는 0.5%였다. 4분기 성장률이 0.2%까지 떨어지면 지난해 성장률은 2.0%에 ‘턱걸이’할 가능성이 높다. 올해 성장률도 전망치인 1.9%에서 1.7% 안팎으로 떨어질 수 있다는 우려까지 나온다.

금통위는 통화정책방향 의결문에서 “성장의 하방 리스크가 완화될 수 있도록 기준금리 추가 인하 시기 및 속도 등을 결정해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이날 금통위에서는 0.25%포인트 인하를 주장하는 소수 의견(신성환 위원)이 나왔고, 총재를 제외한 금통위원 6명 모두 3개월 뒤 금리 인하 가능성을 열어뒀다.

주원 현대경제연구원 경제연구실장은 “올해 연준이 많아야 두 번 내린다면 한은도 2월에 인하하고, 한 번 더 인하하는 정도일 것”이라며 “올해 성장률 전망도 1.7% 정도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이날 금통위는 중소기업의 한시 특별지원을 현재 9조원에서 14조원으로 확대 운용키로 했다.

경향신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30055 “이제 속이 시원하냐”… 댓글 테러당한 아이유 랭크뉴스 2025.01.16
30054 특전사 “계엄해제 후 출동한 9공수 차량 실탄 아닌 방한피복 수송” 랭크뉴스 2025.01.16
30053 비둘기적 동결 택한 한은, 계엄 쇼크에도 환율 불안에 숨고르기 랭크뉴스 2025.01.16
30052 "이제 속 시원하냐" 尹 지지자들, 아이유 SNS에 '악플 분풀이' 랭크뉴스 2025.01.16
30051 공수처 인근 분신 50대 "이재명은 안 하고 대통령만 체포해 화났다" 랭크뉴스 2025.01.16
30050 박지원 “최상목과 헌법재판관 임명 협상” 주장에, 최상목 “朴과 접촉 없었다” 랭크뉴스 2025.01.16
30049 "쓰시마불상 이르면 24일 日측에 소유권 인도…이송은 5월" 랭크뉴스 2025.01.16
30048 ‘윤석열 방탄 안건’ 철회 요구하자…김용원 “좌파 집단 하수인” 랭크뉴스 2025.01.16
30047 윤 대통령 체포적부심 심사 종료…이 시각 서울중앙지법 랭크뉴스 2025.01.16
30046 공수처 앞 분신 남성, 한남동에서도 시도…“대통령 체포 화 난다” 랭크뉴스 2025.01.16
30045 李, 삼전·SK하이닉스 불러 ‘주52시간 예외’ 토론 랭크뉴스 2025.01.16
30044 이재명 직격한 이창용 "전국민 25만원 바람직 않다" 랭크뉴스 2025.01.16
30043 尹측 1시간 '부정선거·국가비상' 주장에 헌재 "10분 내로" 랭크뉴스 2025.01.16
30042 ‘체포적부심 불출석’ 두문불출…구치소 구금 이틀째 랭크뉴스 2025.01.16
» »»»»» “비상계엄이 환율 30원 올려”…급한 ‘불’부터 잡으려는 한은 랭크뉴스 2025.01.16
30040 경호구역 지정땐 권한 충돌…경호처는 구치소 외부까지만 랭크뉴스 2025.01.16
30039 이상민 전 장관, ‘윤 탄핵소추안’ 가결 이튿날 퇴직급여 신청 랭크뉴스 2025.01.16
30038 휴전 합의후 날벼락…"이스라엘, 가자지구 공습 최소 73명 사망" 랭크뉴스 2025.01.16
30037 공수처 인근 분신 50대 "이재명은 안 하고 왜 尹은 체포하냐"(종합) 랭크뉴스 2025.01.16
30036 '대통령님'과 '피의자' 사이 적당한 예우는? 랭크뉴스 2025.0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