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사 시행사 포스코이앤씨 컨소시엄 넥스트레인의 최초 사고 상황 보고서에는 '4월 10일 오후 9시 50분 투아치(2arch) 터널 중앙 기둥 파손'이라는 문구와 사진이 담겼던 것으로 드러났다. 붕괴 사고가 발생하기 17시간 전 보고된 내용이다. 사진 문진석 의원실
경기 광명시 신안산선 지하터널 공사 현장에서 붕괴한 터널의 가운데 기둥(버팀목)에 처음 이상이 감지됐을 당시 단순 균열이 아닌 파손 상태로 보고된 것으로 나타났다.
12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문진석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국토교통부를 통해 입수한 공사 시행사 포스코이앤씨 컨소시엄 넥스트레인의 최초 상황보고서에는 '4월 10일 오후 9시 50분 투아치(2arch) 터널 중앙 기둥 파손'이라는 내용이 기재됐다. 첨부된 사진에는 아치형 구조의 터널 중앙부를 떠받치는 콘크리트 기둥 여러 개가 손상된 모습도 담겼다.
당초 중앙 기둥에 균열이 간 정도로 알려졌으나, 현장 공사 관계자들이 이상 징후를 알아차린 당시 이미 붕괴 위험이 큰 상태라 더욱 빠른 대처가 필요했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 기둥은 처음 이상이 감지된 시점부터 약 17시간 만에 무너졌다.
공사 관계자들은 지난 10일 기둥 파손을 인지한 이후 작업을 중단한 채 근로자 17명을 모두 대피시켰으며, 관할 지방자치단체인 광명시에는 자정쯤이 돼서야 신고했다. 이후 현장에서는 11일 오전 7시부터 보강 공사 및 안전 진단 작업이 진행됐고, 작업 도중인 같은 날 오후 3시 13분쯤 지하터널과 상부 도로가 함께 붕괴해 작업자 2명이 고립·실종되는 사고로 이어졌다.
고립됐던 20대 굴착기 기사는 12일 오전 4시 31분쯤 구조됐지만, 포스코이앤씨 소속 50대 근로자는 붕괴 발생 후 28시간이 넘게 소재와 생사가 확인되지 않고 있다. 현재 사고 현장에는 비가 내리면서 추가 붕괴의 위험성이 있어 소방 당국은 붕괴한 하부 공간 수색 작업을 일시 중단한 상태다.
문진석 의원은 "최초 신고 시점부터 터널 중앙 기둥의 파손 상태가 심각했던 것으로 보인다"며 "현장 점검 이후 붕괴할 때까지 국토부 등의 후속 조치가 적절하게 이루어졌는지 국회에서 조사하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