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이 권리당원 투표와 일반 국민 여론조사를 병행하는 국민참여경선 방식으로 대선 후보를 선출하기로 결정했습니다.
민주당 대선특별당규준비위원회는 오늘(12일) 언론 브리핑을 통해 '권리당원 50%와 국민 여론조사 50%로 21대 대선 후보를 선출하는 내용의 특별당규를 제정하기로 했다고 밝혔습니다.
당원은 12개월 전에 가입해 6개월 이상 당비를 낸 권리당원 약 110만 명을 대상으로 하고, 여론조사는 안심번호를 통해 각 50만 명씩 두 차례 진행합니다.
민주당은 권리당원 투표를 위해 충청권, 경상권, 호남권, 수도권 등 4개 권역에 걸쳐 순회 경선을 실시하기로 했으며 시기는 아직 결정되지 않았습니다.
이번 권리당원 투표에는 사상 처음으로 만 16~18세 당원도 참여합니다.
일반국민여론조사는 안심번호로 추출한 표본 100만 명을 여론조사 기관 2곳에 50만 명씩 나눠 실시한 뒤 결과를 합산하게 됩니다.
지난 대선 경선에 적용한 선거인단 투표가 아닌 일반 여론조사를 국민 여론 수렴 방식으로 채택한 건 선거인단 모집의 경우 외부 세력이 개입해 조직적인 '역선택'을 할 가능성이 있다는 당내 우려가 제기됐기 때문입니다.
당원의 권리를 강화하는 측면과 짧은 기간 치러지는 조기 대선인 만큼 선거인단 모집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이자는 점도 고려됐습니다.
이춘석 특별당규준비위원장은 "2012년 완전 국민경선을 시작한 뒤 13년의 세월이 흘렀고 그 사이 11만 명이던 권리당원이 지금은 120만 명에 육박한다"며 "당원의 후보 선출 권리를 강화하는 게 당원 주권을 강화하는 가장 확실한 방법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습니다.
역선택 우려에 대해서는 "어떤 제도든 간에 역선택을 원천적으로 배제할 수 있는 방법은 없다"면서도 "지금 제도 내에서 쓸 수 있는 방법 중 가장 효율적인 방법이라고 판단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일부 비명계 주자들이 경선 규칙 결정에 반발하고 나서는 데 대해선 "후보나 후보 측 대리인에게 입장을 들었고 서면으로도 제출받아 논의 과정에 반영했다"며 "시대적 소명과 시간적 급박성을 고려해 지금의 경선 방식을 도출했다"고 강조했습니다.
박지혜 특별당규위원은 "룰 변경이 특정 후보를 염두에 둔 게 아니라 당을 위한 결정이기 때문에 그런 차원에서 이해해 줄 거로 생각한다"고 말했습니다.
갈상돈 위원도 "우리 당원들의 마음을 얻지 않고는 이번 대선에서 이길 수 없다는 데 중심을 뒀으면 한다"며 "국민경선에서 역선택 방지를 고민하면, 국민참여경선으로 갈 수밖에 없다는 게 현재로선 최선의 대안"이라고 평가했습니다.
민주당은 내일 전당원 투표와 모레 중앙위원회 온라인 투표를 거쳐 특별당규를 확정하게 됩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email protected]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네이버, 유튜브에서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민주당 대선특별당규준비위원회는 오늘(12일) 언론 브리핑을 통해 '권리당원 50%와 국민 여론조사 50%로 21대 대선 후보를 선출하는 내용의 특별당규를 제정하기로 했다고 밝혔습니다.
당원은 12개월 전에 가입해 6개월 이상 당비를 낸 권리당원 약 110만 명을 대상으로 하고, 여론조사는 안심번호를 통해 각 50만 명씩 두 차례 진행합니다.
민주당은 권리당원 투표를 위해 충청권, 경상권, 호남권, 수도권 등 4개 권역에 걸쳐 순회 경선을 실시하기로 했으며 시기는 아직 결정되지 않았습니다.
이번 권리당원 투표에는 사상 처음으로 만 16~18세 당원도 참여합니다.
일반국민여론조사는 안심번호로 추출한 표본 100만 명을 여론조사 기관 2곳에 50만 명씩 나눠 실시한 뒤 결과를 합산하게 됩니다.
지난 대선 경선에 적용한 선거인단 투표가 아닌 일반 여론조사를 국민 여론 수렴 방식으로 채택한 건 선거인단 모집의 경우 외부 세력이 개입해 조직적인 '역선택'을 할 가능성이 있다는 당내 우려가 제기됐기 때문입니다.
당원의 권리를 강화하는 측면과 짧은 기간 치러지는 조기 대선인 만큼 선거인단 모집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이자는 점도 고려됐습니다.
이춘석 특별당규준비위원장은 "2012년 완전 국민경선을 시작한 뒤 13년의 세월이 흘렀고 그 사이 11만 명이던 권리당원이 지금은 120만 명에 육박한다"며 "당원의 후보 선출 권리를 강화하는 게 당원 주권을 강화하는 가장 확실한 방법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습니다.
역선택 우려에 대해서는 "어떤 제도든 간에 역선택을 원천적으로 배제할 수 있는 방법은 없다"면서도 "지금 제도 내에서 쓸 수 있는 방법 중 가장 효율적인 방법이라고 판단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일부 비명계 주자들이 경선 규칙 결정에 반발하고 나서는 데 대해선 "후보나 후보 측 대리인에게 입장을 들었고 서면으로도 제출받아 논의 과정에 반영했다"며 "시대적 소명과 시간적 급박성을 고려해 지금의 경선 방식을 도출했다"고 강조했습니다.
박지혜 특별당규위원은 "룰 변경이 특정 후보를 염두에 둔 게 아니라 당을 위한 결정이기 때문에 그런 차원에서 이해해 줄 거로 생각한다"고 말했습니다.
갈상돈 위원도 "우리 당원들의 마음을 얻지 않고는 이번 대선에서 이길 수 없다는 데 중심을 뒀으면 한다"며 "국민경선에서 역선택 방지를 고민하면, 국민참여경선으로 갈 수밖에 없다는 게 현재로선 최선의 대안"이라고 평가했습니다.
민주당은 내일 전당원 투표와 모레 중앙위원회 온라인 투표를 거쳐 특별당규를 확정하게 됩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email protected]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네이버, 유튜브에서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