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 재무부 청사 앞에 모인 시위대가 일론 머스크 정부효율부(DOGE) 수장이 주도하는 연방정부 구조조정에 반대하는 시위를 하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가 ‘자발적 퇴직’ 제안을 수용하지 않은 연방부처 공무원들에 대해 해고 등 구조조정 작업을 광범위하게 벌일 것이라고 CNN 등 미 언론들이 4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신청 마감 이틀을 앞둔 이날까지 자진해서 그만두기로 선택한 연방공무원은 전체 1%인 약 2만명에 이르는 것으로 추산됐다. 트럼프 대통령이 ‘점진적 폐지’를 언급한 미 국제개발처(USAID) 직원 약 1만명의 경우 이번주 내로 강제 휴직 처리될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미 인사관리처(OPM)는 지난주 연방 공무원들에게 자진 퇴직할 경우 9월30일까지는 업무를 하지 않아도 급여 등 혜택을 받을 수 있다면서 6일까지 신청을 받는다고 안내했다.
현재까지 약 2만명이 신청했는데, 이는 전체 약 230만명인 연방 공무원의 약 1%이다. 신청 시한까지 자발적 퇴직을 선택하는 공무원들은 더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고 미 언론들은 전했다.
불과 열흘 정도 안에 퇴직 여부를 결정해야 하는 처지가 된 연방 공무원들은 술렁이고 있다. 한 국무부 직원은 WP에 “(자발적 퇴직) 제안을 수용하지 않을 경우 다음 또는 그 다음에 (해고) 대상이 되어 아무것도 갖지 않게 될까 두렵다”고 말했다. 연방공무원 노동조합은 9월까지 연방정부가 급여를 지급할 것으로 보장하기 어렵고, 의회 승인이 필요하다는 이유로 직원들에게도 이를 거부할 것을 촉구하고 있다.
자발적 퇴직을 신청한 공무원 비중이 백악관이 구조조정 목표치로 제시한 5~10%에는 미치지 못할 것으로 보여 결국 대량 해고가 잇따를 것이라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퇴직안에 서명한 공무원들 가운데는 원래 은퇴할 계획이었던 이들도 상당수 포함됐을 가능성도 있다. 지난 10년간 연평균 은퇴하는 연방 공무원은 6만2000명에 달했다. 워싱턴포스트(WP)는 한 총무청(GSA) 간부가 직원들에게 해고 작업이 일어날 수 있다고 예고하는 이메일을 보냈다고 보도했다.
한편 미국의 해외 개발원조를 전담하는 기관인 USAID 소속 전 직원은 7일부터 강제 휴직 처리된다고 트럼프 행정부가 USAID 홈페이지 공지를 통해 밝혔다. 미국과 해외 각국에서 근무하는 USAID 직원은 약 1만명이다. 해당 공지는 “중요한 임무 기능, 핵심 리더십이나 특별히 지정된 프로그램을 담당하는 지정된 인원”을 제외하고는 모두 휴직에 들어가게 됐다고 밝혔다.
취임 첫 날 해외원조 일시 중지 명령을 내린 트럼프 대통령은 독립 기관인 USAID를 국무부 산하로 통폐합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오후 백악관 오벌오피스에서 열린 행정명령 서명식에서 ‘USAID를 점진적으로 폐지할 것인지’를 묻는 취재진의 질문에 “그렇게 생각한다”고 답했다.
USAID 홈페이지에 올라온 전 직원 휴직 통보 안내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