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오른쪽)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신화, AFP 연합뉴스
중국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추가 관세 부과에 대한 대응으로 2020년 체결한 1단계 미·중 무역합의의 이행을 제안하려 한다고 2일(현지시각) 월스트리트저널이 보도했다.
월스트리트저널은 이날 사안에 정통한 양국 소식통을 인용해, 중국이 트럼프 행정부의 추가 관세 부과와 과학기술 규제를 막기 위해 미국과 무역협상을 바라고 있다며, 중국이 2020년 체결했으나 제대로 이행되지 않은 1단계 미·중 무역 합의를 복원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고 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일 마약성 물질인 펜타닐 유입 차단을 이유로 중국에 10%의 추가 관세를 부과하는 내용의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중국이 미국에 제안하려 한다는 1단계 미·중 무역합의는 트럼프 대통령 집권 1기 때인 2020년 1월 체결됐다. 중국은 향후 2년 동안 미국산 제품과 서비스를 2천억 달러어치 추가 구매하고, 미국은 중국산 수입품에 대한 추가 관세 부과를 중단하거나 일부 인하하기로 했다. 하지만 코로나19 사태 등의 영향으로 약속이 제대로 이행되지 않은 채 흐지부지됐다. 미 워싱턴 싱크탱크인 피터슨국제연구소(PIIE)는 중국이 구매 목표의 58%를 달성하는 데 그쳤다고 추산했다.
소식통은 중국이 미국에 전기차 배터리 공장 등 더 많이 투자하고, 미국의 농업, 에너지, 산업 제품을 더 많이 구입하겠다고 제안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중국은 미국이 반도체나 기타 기술 품목에 대한 대중국 수출규제를 풀어야 한다는 입장을 표명할 것으로 전해졌다.
소식통은 또 중국이 경쟁 우위를 확보하기 위해 위안화 평가절하를 하지 않고, 펜타닐 전구체의 수출을 줄이겠다고 약속할 것이라고 전했다. 미국과 긍정적 협상 분위기를 조성하기 위해 중국이 자국 동영상 공유 기업인 ‘틱톡’ 문제를 “상업적인 문제”로 취급할 계획으로 전해졌다.
중국의 이런 태도는 경기 침체로 압박을 받는 가운데 트럼프 대통령을 협상 분위기로 끌어오려는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관심을 반영한다고 월스트리트저널은 분석했다.
한편 미 백악관은 3일 “앞으로 며칠 안에” 트럼프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전화통화를 할 것이라고 밝혔다. 미국의 중국산 수입품 10% 추가 관세는 4일부터 부과된다.
베이징/최현준 특파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