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낙연(오른쪽)·김부겸 전 국무총리가 3일 서울 여의도의 한 식당에서 전 국회의장·국무총리·당대표로 구성된 ‘나라를 걱정하는 원로모임’ 3차 간담회에 참석하며 인사하고 있다. [뉴스1]
여야 정치 원로들이 여야정 협의체에 헌법 개정을 촉구하기로 했다. 전직 국회의장과 국무총리, 정당 대표로 구성된 ‘나라를 걱정하는 원로모임’은 3일 서울 여의도 한 식당에서 3차 간담회를 갖고 이렇게 뜻을 모았다. 모임에는 정대철 헌정회장, 김원기·김진표·박병석 전 국회의장, 김부겸·이낙연·정운찬 전 국무총리, 김무성·손학규 전 당 대표가 참석했다.
원로들은 우원식 국회의장에게 이른 시일 내에 여야정 협의체에 분권형 권력구조 개헌 과제를 상정해 논의할 것을 촉구하기로 했다. 정대철 회장은 통화에서 “이번 주 중에 우 의장을 만날 예정”이라며 “개헌을 압박한다는 차원”이라고 설명했다.
원로들이 행동에 나서기로 한 건 ‘말’만으로는 개헌이 힘들 것이라고 봐서다. 정운찬 전 총리는 간담회가 비공개로 전환된 뒤 “우리가 나토(NATO) 같다. No Action, Talk Only(행동 없이 말만)라는 측면에서 그렇다”고 지적도 했다고 한다. 국민서명운동, 전국 강연회 등의 아이디어도 나왔다.
원로모임은 개헌 국민투표를 차기 대선과 동시에 실시해야 한다는 데에도 뜻을 모았다고 헌정회 관계자는 전했다. 개헌의 방향은 4년 중임 분권형 대통령제 또는 내각제로 잡았다.
다만 손학규 전 대표는 “현실적으로 (조기 대선이 치러질 경우) 대선 전 개헌은 불가능하다. 아주 냉정한 현실”이라고 말했다. 비공개 간담회에선 “유력 대선 후보인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개헌에 반대하는데 개헌이 되겠느냐”는 회의론도 나왔다고 한다.
한편 여당도 개헌과 관련해 바삐 움직였다. 우선 국민의힘 최다선(6선)인 주호영 국회 부의장이 곧 발족할 당 개헌특별위원회(개헌특위) 위원장에 내정됐다.
국민의힘 고위관계자는 이날 중앙일보 통화에서 “판사 출신인 주 부의장이 헌법에 대한 이해도가 높은 데다, 과거 특임장관과 국회 정치개혁특별위원장을 맡으며 개헌 관련 고민을 많이 해온 것으로 안다”며 “개헌은 정치권의 협의가 중요한 만큼 여야 정치인과 두루 잘 지내는 그의 원만한 성품도 고려됐다”고 말했다.
안철수 국민의힘 의원도 이날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2026년 6월 지방선거와 함께 개헌을 위한 국민투표를 약속하자”며 “국정 안정과 연속성을 위해 권한 축소형 대통령 4년 중임제가 바람직하다”고 주장했다. 김태흠 충남지사도 페이스북에 “대한민국의 국격과 경제, 미래를 위해서 정치복원이 시급하다”며 “당장 여야가 머리를 맞대고 개헌을 준비해야 한다”고 적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