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멕시코 케레타로 공장에서 직원들이 제품을 생산하고 있다./삼성전자 제공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한국 기업들이 생산 거점을 확대해 온 캐나다와 멕시코에 관세 부과를 강행하면서 가전업계와 반도체 업계도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1일(현지시각) 트럼프 대통령은 캐나다와 멕시코에 25%, 중국에 추가로 10%의 보편적 관세를 각각 부과하기로 확정했다.
멕시코는 인건비가 저렴하고 미국-멕시코-캐나다 자유무역협정(USMCA) 혜택을 받을 수 있어 국내 기업들도 주요 생산 기지로 활용하고 있다. 현재 삼성전자와 LG전자가 가전과 TV 등의 공장을 운영한다.
하지만 미국 정부가 25% 고율 관세를 매기기로 하면서 멕시코를 주요 생산 기지로 활용해 온 국내 가전업계도 사업 전략을 수정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LG전자의 경우 세탁기와 건조기를 생산하는 미국 테네시 공장에서 냉장고와 TV 등도 만드는 방안을 검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앞서 LG전자는 2018년 미국이 세이프가드를 발동해 세탁기에 고율 관세를 물린 이후 세탁기 현지 생산 체제를 갖추고 미국 시장에서 존재감을 나타내고 있다.
최근 실적 콘퍼런스콜에서 김창태 LG전자 최고재무책임자(CFO) 부사장은 “만일 관세 인상 수준이 본질적인 공급망 변화를 해야 하면 생산시설 이전 및 기존 캐파(생산능력) 조절 등 적극적인 생산지 변화도 고려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삼성전자 역시 세이프가드 발동을 계기로 미국 사우스캐롤라이나 세탁기 공장 준공 일정을 앞당겨 현지 생산 체제를 구축했다.
박순철 삼성전자 CFO도 “미국 대선뿐만 아니라 다양한 지정학적 환경 변화에 따른 기회와 리스크에 대해 다양한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분석하고 대비해 왔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반도체, 철강, 알루미늄, 석유, 가스, 의약품 등에 대한 부문별 관세 부과 방침도 예고했다.
국내 반도체 업계 역시 미국 정부가 추가 관세를 매기면 타격을 받을 가능성이 있다. 관세 부과로 한국산 반도체의 가격이 오르면 가격 경쟁력이 떨어져 반도체 주요 고객인 미국 빅테크 기업들의 수요가 감소할 수 있다는 것이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미국에 대규모 반도체 생산 공장을 짓고 있다.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공장 투자 보조금을 지급하는 반도체법(칩스법)에 비판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