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작년 10년 차 이하 퇴직자 수
퇴사자 대부분 로스쿨에 진학
기획재정부 외경. 사진 제공=기재부

[서울경제]

정부 경제정책을 총괄하는 기획재정부에서 젊은 사무관의 이탈세가 가속화하고 있다.

19일 서울경제신문이 박수영 국민의힘 의원실로부터 입수한 ‘2020~2024년 기재부 퇴사자 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기재부를 떠난 10년 차 이하 행정 사무관은 8명으로 집계됐다.

시기별로 보면 △2020년 1명 △2021년 3명 △2022년 2명 △2023년 3명 등이다. 지난해 퇴사자는 역대 최대 규모다.

특히 지난해의 경우 5년 차 이하가 5명이나 그만뒀다. 1년 차 1명과 2년 차 2명, 3년 차 1명, 5년 차 1명 등이다. 이들은 대부분 법학전문대학원(로스쿨)에 진학한 것으로 알려졌다.

6급 행정주사와 7급 행정주사보의 퇴사도 빠른 속도로 늘고 있다. 별정직 공무원과 고위직 공무원을 제외한 10년 차 이하 기재부 퇴사자 공무원 현황을 분석하면 2020년 8명, 2021년 10명, 2022년 11명, 2023년 6명, 2024년 16명으로 4년 전 대비 퇴사자 규모가 2배나 증가했다.

저연차 직원들의 줄이탈은 업무 강도 대비 낮은 임금과 관직에 대한 인기 하락, 승진 적체, 입법부의 독주 등이 꼽힌다. 익명을 요구한 한 기재부의 한 사무관은 “야근 수당 등을 합치면 세후 400만 원 넘게 받지만 변호사가 되거나 대기업으로 간 대학 동기들은 2배 이상 받는 경우가 많아 상대적 박탈감을 많이 느낀다”며 “국감을 준비할 때면 밤을 새는 경우도 많고 매번 국회로 불려나가고 자료를 준비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 다른 사무관도 “주변 동기들이나 선배들이 퇴사를 너무 많이 해 ‘나도 나가야 하나’ 하는 동요가 심한 편”이라고 귀띔했다.

서울경제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36020 “계엄 땡큐”…극우 유튜버들 한달만에 ‘억’ 소리나게 돈 번 이유는 랭크뉴스 2025.01.20
36019 “美 틱톡 서비스 재개” 트럼프, 틱톡 50% 소유권 원해 랭크뉴스 2025.01.20
36018 [속보] 尹측 “오늘 오전 공수처 조사 응하기 어려워” 랭크뉴스 2025.01.20
36017 한국 정치 보는 미국의 세가지 시각 [문정인 칼럼] 랭크뉴스 2025.01.20
36016 더 강해진 트럼프, 거래의 기술로 본 시나리오[EDITOR's LETTER] 랭크뉴스 2025.01.20
36015 [속보] 尹대통령 측 "오전 10시 공수처 출석 어려워" 랭크뉴스 2025.01.20
36014 검경 “가담자 구속수사”…“관련 있으면 유튜버도 수사” 랭크뉴스 2025.01.20
36013 민주주의의 적들을 사면하지 않았더라면 [세계의 창] 랭크뉴스 2025.01.20
36012 중소기업 60% “설 임시공휴일 못 쉬어” 랭크뉴스 2025.01.20
36011 “4시간 전에 갔는데 빠듯”…인천공항에 무슨 일이? [잇슈 키워드] 랭크뉴스 2025.01.20
36010 서부지법 월담자 '훈방' 말한 윤상현 "민주당의 갈라치기" 반발 랭크뉴스 2025.01.20
36009 공정위 앞세워 유해 가습기 살균제 출시 25년 전 기사 삭제해달라는 옥시 랭크뉴스 2025.01.20
36008 다제약물 복용은 노쇠로 가는 지름길…한국인 노화의 취약 경로 랭크뉴스 2025.01.20
36007 [속보] 정당지지율 역전…국민의힘 46.5% vs 민주 39.0%[리얼미터] 랭크뉴스 2025.01.20
36006 윤석열 쪽 “헌재는 심판할 능력 없다” 고자세·무시 일관 랭크뉴스 2025.01.20
36005 김재원 "한남동 성전, 아스팔트 십자군" 논란되자 문구 삭제 랭크뉴스 2025.01.20
36004 김재원 “감옥 갇힌 윤석열이 괴수 이재명 끌어내릴 것” 랭크뉴스 2025.01.20
» »»»»» 업무강도 대비 박봉…기재부, MZ사무관 8명 퇴사 랭크뉴스 2025.01.20
36002 ‘비행기 타는 데 3시간’ 인천공항, 속도 빠른 보안검색기 새로 샀다더니 “오작동 잦아” 랭크뉴스 2025.01.20
36001 사법부 때리는 ‘내란 수괴 비서실’…국힘서도 “제 정신 아닌 듯” 랭크뉴스 2025.0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