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51>"민주당은 진보 아닌 중도보수"
이재명 발언에 비명계 '월권' 지적 반발
국힘 극우 몰며···중도층 이어 보수 진격
당세 후퇴한 진보 정당 후방공격 부담덜어
좌우 넘나들며 국민대표 '캐치올파티’ 목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지난 20일 충남 아산시 현대자동차 아산공장을 방문한 뒤 방명록을 작성하고 있다. 연합뉴스

[서울경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민주당은 진보가 아닌 중도보수 포지션”이라며 당의 핵심 기조에 영향을 주는 발언을 해 논란이 커지고 있습니다. 비명계 인사들이 ‘월권(김부겸), 하루 아침에 바꿀 수 없다(김경수), 실용노선 넘어서는 것(임종석)’이라며 격하게 반발하고 있는데 중도성향 유권자 층에서 민주당과 국민의힘 지지율이 20%포인트로 벌어졌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나왔습니다.

12·3비상계엄사태에도 불구하고 국민의힘에 추월당했던 민주당 지지율이 다시 역전에 성공해 확연히 벌어지자 우(보수)로 진격하는 이 대표의 중도보수정당 선언이 통했다는 시각이 나오고 있습니다. 그동안 30%대 박스권 정체를 겪은 이 대표의 지지율도 당과 함께 동반 상승하며 조기대선에 주도권을 쥘 수 있을까요.

한국갤럽 데일리오피니언 제612호 2025년 2월3주(18~20일)여론조사. 한국갤럽이 지난 18~20일(2월 셋째 주) 전국 만 18세 이상 유권자 1002명을 대상으로 정당 지지도를 조사한 결과 국민의힘은 34%, 민주당은 40%로 집계됐다. 조국혁신당은 3%, 개혁신당은 2%, 진보당과 이외 정당·단체는 각각 1%의 지지율을 기록했다. 지지하는 정당이 없는 무당층은 18%다. 이번 여론조사는 무작위 추출된 무선전화 가상번호에 전화 조사원 인터뷰 방식으로 진행됐다. 응답률은 14.1%이며 표본오차는 95% 신뢰 수준에 ±3.1%포인트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또는 한국갤럽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자료=한국갤럽



우클릭에도 이재명 지지율 박스권



윤석열 대통령이 일으킨 12·3비상계엄 사태 이후 이 대표를 향해 언론은 ‘우클릭’행보를 시작했다고 분석했습니다. 반도체특별법주52시간 예외조항, 상속세 공제한도 등 이 대표의 경제 이슈가 그렇게 보였던 셈입니다. 신년 기자회견에서 ‘흑묘백묘론’을 띄우고 대선 비전으로 ‘잘사니즘’도 제시했습니다. 실용에 무게를 두고 성장을 외친 것인데 중도확장을 겨냥했다는 해석이 맞을 것입니다.

물론 이를 곱게 볼 리 없는 반대편은 ‘오락가락’행보라며 융단폭격을 가하고 있습니다. 성남시장, 경기지사와 지난 직전 대선에서도 ‘경제’를 최우선으로 내세운 후보라는 점을 기억하면 우클릭이라는 규정 자체가 들어 맞지는 않지만 이 대표의 전략적 발언 역시 부족했다는 점에서 지지율 정체로 이어졌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습니다.

지난 2022년 3월 이재명 당시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가 강원도 홍천군 홍천 꽃뫼공원 앞에서 열린 '태백산맥은 이재명이다!' 홍천 유세에서 지지를 호소하고 있다. 연합뉴스


최근 한국갤럽은 이 대표에 대한 선호도가 3개월째 30%를 웃돌며, 최고치는 지난해 12월 37%라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실제 한국갤럽이 윤 대통령이 비상계엄을 선포한 주간인 지난해 12월 1주차부터 ‘장래 정치 지도자 선호도’를 조사한 결과 이 대표의 지지율은 △12월 1주차 29%에서 상승해 12월 3주차 37%로 최고점을 기록했습니다.

다만 민주당 주도로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탄핵소추안이 가결된 이후 다시 하락세를 기록한 뒤 30%박스권에 머물고 있는 형편입니다. 이러다 보니 일부 언론에선 이 대표의 우클릭을 ‘그다지 큰 재미를 보지 못했다’고 규정하고 나선 상태입니다. 그러면서 2017년 대선에서 문재인 대통령이 거둔 득표율 41.08%를 언급하며 이 대표의 30%대 박스권 지지율로는 대선 승리를 장담할 수 없다는 평가도 내놓고 있습니다.



2017년 2월 문재인 32%·안희정 21%·이재명 8%



그럼 잠시 건국 이래 첫 대통령 보궐선거를 치러야했던 2017년으로 돌아가보겠습니다. 헌법재판소의 탄핵 선고와 보궐선거 일정 등을 고려하면 당시와 현재 거의 유사한 일정이라는 점에서 한국갤럽 2017년 2월 4주차(2월 21~23일)여론조사 결과를 인용합니다. 각 정당의 후보가 결정되지 않은 시점의 자유응답을 통해 나온 결과 문재인 31%, 안희정 21%, 황교안 8%, 안철수 8%, 이재명 8%, 유승민 2% 순이었습니다.

이번엔 한국갤럽 2025년 2월 3주차(2월 18~20일)여론조사 결과를 살펴보겠습니다. 이재명 34%, 김문수 9%, 홍준표 5%, 한동훈 4%, 오세훈 4%, 조국·이준석 2%, 안철수·유승민 1%입니다.

당시 문재인 후보가 현재 이 대표 지지율보다 낮은 형편입니다. 즉 이 대표의 대선 승리가 불안하다면 30%박스권 지지율 보다는 안희정, 이재명 후보 같은 야권 인물이 안보인다는 이유가 더 타당해 보입니다. 2017년 야권의 단순 합산 지지율은 60%, 2025년엔 37%입니다. 37%에서 심지어 2%는 구속된 조국 전 조국혁신당 대표 지지율을 합친 것입니다. 눈을 씻고 봐도 이 대표의 중도보수 언급에 반발하는 김부겸, 김경수, 김동연, 임종석 이른바 야권 대선 잠룡이라는 인물들의 이름은 찾을 수가 없습니다.

서울경제DB



野잠룡 깨우며 ‘캐치올파티’ 전략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20일 오후 국회 사랑재에서 열린 여야정 국정협의회 첫 회의에서 발언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대권을 꿈꾸지만 1%지지율도 나오지 않는 야권 인사들도 답답할 만 합니다. 국회에 군대를 동원해 유리창을 깨고 본회의장에 들어가려던 12·3비상계엄사태를 ‘계몽령’이라며 윤석열 대통령 탄핵을 반대하는 국민의힘 일각의 인사들 만도 못한 지지율에 화살은 이 대표를 향하고 있습니다.

1극체제를 반성하고, 화합과 포용을 해야한다 주장하며, 팬덤을 질타합니다. 본인들이 무엇을 하겠다는 자기 말은 없는 형편입니다. 이를 이 대표도 모를 리 없습니다. 지난 대선 당시 경선 후의 부작용도 뼈저리게 알고 있을 것입니다.

결국 이 대표의 중도보수 발언은 경선 이후의 상황관리와 캐치올파티(특정한 계급을 대표하는 것이 아니라 국민 전체를 대표하고자 하는 정당) 전략이 동시에 맞아떨어진 것으로 보입니다. 1% 지지율도 나오지 않는 대선주자들과 경선을 해봐야 컨벤션효과를 일으키지도 못할 상황인데다 경선흥행 참패가 본선에 장애가 될 수도 있다고 판단한 셈입니다. 중도보수 발언 이후 야권 대선주자들이 앞다퉈 정체성 논란에 뛰어들며 한 번이라도 언론에 이름이 오르고 있는 현실 자체가 ‘이재명이 이재명 하고있다’고 해석이 나옵니다. 특히 빠르게 극우화되는 국민의힘이 오른쪽을 비워주면서 보수 진격이 가능해진 정치 포지션의 여유도 이 대표의 부담을 줄어주고 있습니다. 좌쪽의 진보 진영의 깃발로 언제든 공격을 받을 수 있었던 정의당의 당세가 예전같지 않은 것도 후방을 염려하지 않게 된 이유입니다.

결국 이 대표의 중도보수 발언은 8년 전 19대 대선 민주당 경선과정에서 문재인 당시 후보 외에 자신이 보다 더 선명성을 가진 후보로 시너지를 일으켰던 그 순간을 재연하기 위한 포석입니다. 왼쪽을 맡는 장수들을 믿고 이 대표가 오른쪽 적진으로 깊이 들어가고 있는 중인데 승리할지 지켜볼 일입니다.

민주당의 창당
1955년 9월18일 창당 주역들은 광화문 네거리에 있는 민국당 사무실에서 중앙집행위원회를 열고 당의 해체와 신당에 거당적 참여를 결의했다. 호헌동지회라는 반독재투쟁의 연합체에서 보수세력의 집결체인 단일야당 민주당으로 출범을 다짐하는 역사적 순간이었다. [더불어민주당 60년사]p.44


*2025년 2월22일부터 [송종호의 여쏙야쏙] 시즌2가 시작됩니다. 시즌1은 2020년 9월 30일부터 여·야의 속사정을 ‘쏙쏙’ 알기 쉽게 전달하겠다는 취지로 시작해 2년 동안 총 50건의 기사를 작성했습니다. 이후 외교·통일을 포함한 경제관련 이슈까지를 포괄하는 시즌2를 약속했지만 3년 가까이 지났습니다. 시간이 늦어진 만큼 더욱 자주 독자들을 찾아갈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서울경제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5964 오세훈 측 "명태균 주장 새빨간 거짓말…정치장사꾼" 랭크뉴스 2025.02.22
45963 '최연소' 15살에 의대 2곳 합격한 소년… "의과학자 될래요" 랭크뉴스 2025.02.22
45962 "모두가 놀랐다"...'자산 2조' 방시혁, 달라진 모습 화제 랭크뉴스 2025.02.22
45961 "농가 돕겠다더니" 이번엔 '브라질산 닭'…백종원, '원산지 논란' 휩싸였다 랭크뉴스 2025.02.22
» »»»»» “이재명이 이재명하고 있다”…중도보수의 함의[송종호의 여쏙야쏙] 랭크뉴스 2025.02.22
45959 조영남 "난 재미 추구자…'웃게 하는 미술' 죽을 때까지 한다" 랭크뉴스 2025.02.22
45958 “빵점이 없어 1점 줍니다”…K-자부심 인천공항이 어쩌다 랭크뉴스 2025.02.22
45957 "농가 돕겠다더니" 이번엔 '브라질산 닭'…백종원, 이번엔 '원산지 논란' 랭크뉴스 2025.02.22
45956 2월 마지막 주말, 전국 춥고 건조…최저 -15도에 강한 바람 랭크뉴스 2025.02.22
45955 [속보] AP "트럼프, 찰스 브라운 합참의장 전격 해임" 랭크뉴스 2025.02.22
45954 고사리, 먹어도 문제없쥬?[음담패설 飮啖稗說] 랭크뉴스 2025.02.22
45953 '보수vs진보', 유튜브·포털에 누가 더 혐오댓글 많이 달까? 랭크뉴스 2025.02.22
45952 [김윤수의 퀀텀점프] 이제 한국도 쓴다…양자컴 제대로 알기 <1> 랭크뉴스 2025.02.22
45951 [속보] 트럼프, 찰스 브라운 합참의장 전격 해임 랭크뉴스 2025.02.22
45950 “제 직업이요? 청각 장애도 문제없죠” [강홍민의 굿잡] 랭크뉴스 2025.02.22
45949 경찰, 고양 살인 용의자 50대 여성 특정‥"제 3자 없었다" 랭크뉴스 2025.02.22
45948 48년 만에 생겼는데… 3년 만에 사라진 회계업계 최초 노동조합, 이유는 랭크뉴스 2025.02.22
45947 중도층 이탈… 국민의힘 지지율 하락 랭크뉴스 2025.02.22
45946 유튜브보다 포털뉴스 댓글에 무례·혐오 언어 많아(종합) 랭크뉴스 2025.02.22
45945 추위 속 전국적인 강풍 예상… 경기 북·동부엔 한파특보, 충청권 눈 랭크뉴스 2025.0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