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터연합뉴스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반도체법에 따라 미국 내 투자 기업에 지급하기로 한 보조금 재협상을 추진 중이며 일부 보조금 지급이 지연될 수 있다고 로이터통신이 13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소식통들은 트럼프 행정부가 기존 보조금 정책과 관련한 요건을 재검토하고 변경한 뒤 일부 계약을 재협상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변경 범위나 이미 체결된 계약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는 알려지지 않았다.
대만 실리콘 웨이퍼 제조업체 글로벌웨이퍼스는 “반도체법 프로그램 당국은 우리에게 트럼프 대통령의 행정명령 및 정책들과 일치하지 않는 특정 조건들이 현재 재검토 대상이라고 말했다”고 로이터에 밝혔다. 앞서 글로벌웨이퍼스는 미 텍사스주와 미주리주에 약 40억달러를 투자해 웨이퍼 제조 공장을 건설하기로 했다. 미 정부는 이 업체에 최고 4억600만달러(약 6600억원)를 지급하기로 결정했다.
트럼프 정부가 재검토하는 지급 조건에는 전임 조 바이든 행정부가 요구한 노조 가입 노동자 고용, 공장 노동자들에 대한 저렴한 자녀 보육 서비스 제공 등 조건이 포함된다고 로이터는 설명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 후 ‘다양성·평등·포용성(DEI)’ 정책 폐지를 추진하고 있다.
로이터는 소식통을 인용해 백악관이 반도체법 보조금을 받은 뒤 중국 등 다른 국가 진출 계획을 발표한 기업에 대해서도 불만을 표시하고 있다고 전했다. 예를 들어 인텔은 지난해 3월 반도체법에 따른 보조금을 확보한 후 같은해 10월 중국 내 조립·테스트 시설에 3억 달러를 투자한다고 발표했다.
매체는 보조금을 가장 많이 받은 인텔, TSMC,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주요 기업이 모두 중국에 대규모 제조 시설을 보유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이 내용대로라면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도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있다. 삼성전자는 370억달러(약 53조4300억원)를 들여 미국 텍사스주 테일러에 첨단 파운드리 공장과 연구개발(R&D) 시설을 구축하고, 텍사스주 오스틴의 기존 생산설비를 확장하기로 했다. 미 상무부에서 이를 지원하는 보조금 47억4500만달러(약 6조8500억원)를 받기로 계약했다.
SK하이닉스는 미국 인디애나주에 첨단 패키징 공장과 연구소를 건설하는데 38억7000만달러(약 5조5800억원)를 투자할 계획이다. 확정된 보조금은 4억5800만달러(약 6600억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