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지난달 28일 김해국제공항에서 발생한 에어부산 여객기 화재 사고의 원인이 승객의 기내 선반 수화물로 추정되는 가운데 항공 업계가 불이 날 수 있는 보조 배터리 등을 선반에 두지 말고 직접 소지하라고 권고하고 있다.
3일 항공 업계에 따르면 에어부산은 지난달 31일부터 “보조 배터리와 전자 담배를 포함한 전자 기기는 선반에 보관할 경우 화재 (발생)의 위험이 크니 반드시 소지하시기를 바란다”라는 문구의 기내 안내 방송을 출발 전 두 차례 송출하고 있다. “휴대 전화 및 보조 배터리는 손님이 직접 소지하시기를 바란다”라고 했던 화재 사고 전 방송보다 어조가 강해졌다. 이 항공사는 또 탑승 전 승객을 대상으로 ‘보조 배터리를 지퍼형 비닐 팩에 소지해달라’라는 문자 메시지를 지난 주말부터 발송하고 있다.
제주항공은 기존에 “기내에서는 보조 배터리와 휴대용 라이터를 반드시 직접 소지하기를 바라며 보관 시 압착되지 않도록 유의해달라”라는 안내 방송을 해왔는데 에어부산 화재 사고 이후부터는 발권 카운터와 출국 게이트 앞에서도 “기내에 반입하는 보조 배터리는 선반에 보관하지 말고 반드시 몸에 소지하거나 눈에 보이는 곳에 보관해야 한다. 이는 화재나 연기 발생 시 즉각 대응하기 위한 조치이므로 안전한 비행을 위해 승객 여러분께 협조를 요청한다”라는 방송을 추가로 내보내고 있다.
대한항공과 진에어는 지난해 5월 31일부터 항공기 출발 5분 전 “보조 배터리나 라이터는 몸에 지니고 있어달라”라는 내용의 기내 안내 방송을 하고 있는데 에어부산 화재 사고가 벌어진 뒤부터는 탑승 수속 시에도 추가 안내를 하고 있다. 이처럼 항공사마다 각자 대책을 내놓고 있지만 강제성이 없는 데다 이를 인지하지 못한 승객도 많은 상황이다. 에어부산 화재 사고가 실제로 기내 선반에 있던 보조 배터리 때문이라는 조사 결과가 나온다면 정부 차원에서 특단의 조치를 내놔야 한다는 지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