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물산-제일모직 부당 합병 혐의에 대한 항소심에서 무죄 선고를 받은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3일 오후 서울 서초구 서울고법에서 나오고 있다. 김영원 기자 [email protected]
재계에서는 이번 항소심 판결로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의 경영 능력이 본격 시험대에 오르게 됐다는 평가가 나온다. 2심에서도 무죄 판단이 유지되며 사법 리스크가 사실상 해소됐다는 시각이 많은 만큼, 이제는 경영 일선에서 적극적으로 성과를 내야 할 때라는 것이다. 다만 이 회장이 경영권을 잡은 뒤 삼성전자 수익성이 추세적으로 나빠지고 지난해엔 위기설마저 대두되는 등 이 회장이 마주한 현실은 녹록지 않다.
3일 삼성전자 실적 자료를 분석하면, 지난해 회사의 영업이익률은 10.9%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반도체 혹한기’였던 2023년(2.5%)을 제외하면 2011년(9.8%) 이후 13년 만에 가장 낮은 수치다. 경쟁사인 에스케이(SK)하이닉스와 대만 티에스엠시(TSMC)가 지난해 각각 35.5%, 49.0%를 기록한 것에 비하면 차이가 크다. 기술경쟁력 약화에 직면한 삼성전자가 지난해 반도체 업계에 분 ‘인공지능(AI)발 훈풍’에서 소외된 결과로 풀이된다.
악화하는 삼성전자의 수익성은 외부에서도 경각심을 일으키고 있다. 지난달 말 국제 신용평가사 무디스는 삼성전자의 신용등급 전망을 ‘안정적’에서 ‘부정적’으로 바꾸면서 그 이유로 기술경쟁력 부진과 낮은 영업이익률을 들었다. 일회성 요인 등을 제거하고 산출한 ‘조정 영업이익률’(AOM)이 13~14%를 밑도는 상태가 장기화할 경우 현재 ‘Aa2’인 신용등급을 강등할 수 있다고도 경고했다. 이 회장 앞에 놓인 과제가 만만찮다는 점을 보여주는 단면이다.
재계에서는 일단 대외적인 경영 활동에서 자취를 감춰온 이 회장이 이번 판결을 계기로 전면에 나설지 주목하고 있다. 삼성전자 반도체 위기설이 본격화한 지난 수개월간 이 회장은 대통령 순방 동행을 비롯한 일부 일정을 제외하고는 공개 행보에서 거리를 둬왔다. 반도체 사업의 부진으로 실적이 악화하기 시작했을 때도 전영현 반도체부문장(부회장)이 ‘반성문’을 냈을 뿐 이 회장의 모습은 찾아보기 어려웠다. 이 회장의 리더십이 약해진 것 아니냐는 평가가 나온 배경이다.
투자자를 비롯한 회사 안팎의 신뢰를 회복하는 것도 주된 과제로 거론된다. 시장에서는 이 회장을 중심으로 한 삼성전자의 불투명한 지배구조를 주가 저평가의 원인 중 하나로 지목해왔다. 이 회장뿐 아니라 ‘2인자’로 불리는 정현호 부회장도 미등기 임원 신분을 유지하고 있는 탓이다. 미등기 임원은 주주총회를 통해 선임되지 않고 회사의 법적 의사결정 기구인 이사회 구성원도 아니지만, 실질적으로는 더 많은 권한을 행사하는 경우가 있어 논란이 돼왔다. 등기 임원에 비해 법적 책임이 가벼워 권한과 책임이 불일치한다는 비판도 있다.
삼성전자 사정을 잘 아는 재계 관계자는 “3심이 남아 있긴 하지만, 1·2심에서 무죄 판단이 유지됐기 때문에 회사 내부에서도 사법 리스크는 어느 정도 벗었다고 보는 분위기”라며 “다만 이걸 계기로 경영 일선에서 어떤 변화가 생길지는 좀 더 지켜봐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