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내란 우두머리 혐의로 체포된 윤석열 대통령의 구속 전 피의자심문(영장실질심사)이 종료된 18일 밤 서울 마포구 공덕역 인근에서 윤 대통령 지지자들이 집회를 열고 있다.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구속심사가 열린 지난 18일 낮 서울서부지법 인근에서 경찰관을 폭행한 혐의 등으로 체포된 5명 중 2명이 구속됐다.

20일 서부지법 신한미 영장전담 부장판사는 공무집행방해 혐의를 받는 5명에 대해 구속 전 피의자 심문(영장실질심사)을 진행한 뒤, 이 중 2명에 대해 "도주 우려가 있다"며 구속영장을 발부했다.

반면 3명의 영장은 기각됐다. 기각 사유로는 증거인멸 염려 없는 점, 주거 일정, 폭행정도가 비교적 경미한 점 등을 들며 "구속사유와 필요성을 인정하기 어렵다"고 설명했다.

이들 5명은 18일 서부지법 도로 앞에서 경찰의 도로를 정리할 때 이에 응하지 않고 경찰을 폭행한 혐의를 받는다. 19일 서부지법 난동 사태와는 무관한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서울경찰청은 전날 언론공지를 통해 서울서부지법과 헌법재판소에서 발생한 난동 사태로 총 90명을 체포했으며, 이들 중 66명에 대한 구속영장을 순차적으로 신청하고 있다고 밝혔다.

46명은 서부지법 내부에 침입한 혐의, 10명은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 차량을 막으며 공무집행을 방해한 혐의, 10명은 서부지법 담을 넘거나 경찰관을 폭행한 공무집행 방해 혐의 등을 받는다.

현행범으로 체포된 90명은 10대에서 70대까지 연령대가 다양했으며, 20·30대가 51%(46명)로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또 서부지법 내부에 침입한 46명 중 유튜버도 3명 포함됐다고 경찰은 전했다.

경찰 관계자는 "휴대전화, 채증 자료, 유튜브 동영상 등을 철저히 분석해 불법 행위자 및 불법행위 교사·방조자 등을 끝까지 확인해 엄정하게 처벌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31869 강제구인도 거부 공수처 '패싱'…尹 "헌재 매기일 출석" 랭크뉴스 2025.01.21
31868 [트럼프 취임] 불공정 무역관행 조사 지시할 듯…첫날 관세부과는 보류 랭크뉴스 2025.01.21
31867 선관위, '계엄군 中간첩 99명 체포' 보도 언론사 고발 랭크뉴스 2025.01.21
31866 "윤상현, 강남서장에 전화해 '연행자 잘 부탁한다' 선처 부탁" 랭크뉴스 2025.01.21
31865 대구 서구에 멧돼지 출몰…30여분 만에 사살 랭크뉴스 2025.01.21
31864 가담자 처벌 어떻게?…“소요죄 적용 가능성” 랭크뉴스 2025.01.21
31863 6대 은행장 부른 이재명…여 “벌써 대통령 됐나” 랭크뉴스 2025.01.21
31862 떠나는 바이든, 트럼프 '표적' 된 前합참의장 등 선제적 사면 랭크뉴스 2025.01.21
31861 취임식 가는 트럼프 일가…현장에 제네시스 'GV80' 깜짝 등장 랭크뉴스 2025.01.21
» »»»»» 서부지법 인근서 경찰 폭행한 2명 구속…'폭행 경미' 3명은 기각 랭크뉴스 2025.01.21
31859 "동무들 용기백배 싸워라"…북한군 유류품서 '김정은 서명 편지' 랭크뉴스 2025.01.21
31858 ‘서부지법 난동’ 피의자 2명 구속…3명은 영장 기각 랭크뉴스 2025.01.21
31857 최상목, 헌재에 '재판관 임명은 권한대행 실질적 권한' 답변 랭크뉴스 2025.01.21
31856 대법관회의 “영장판사 방 의도적 파손”…야 “윤상현, 폭동의 시작” 랭크뉴스 2025.01.20
31855 LA 대형 산불 피했는데 끝이 아니었다?…29억 주택, 갑자가 '두 동강' 무슨 일? 랭크뉴스 2025.01.20
31854 [속보] '서부지법 난동' 5명 중 2명 구속…'폭행 경미' 3명은 기각 랭크뉴스 2025.01.20
31853 '경찰관 폭행' 尹지지자 2명 구속…폭행 경미 3명은 영장 기각 랭크뉴스 2025.01.20
31852 트럼프, '대통령의 교회' 예배로 취임식 첫 일정 시작[막 오른 슈퍼 MAGA] 랭크뉴스 2025.01.20
31851 尹, 내일 탄핵심판 출석한다…尹측 "가능하면 헌재 다 갈 것" 랭크뉴스 2025.01.20
31850 윤 대통령, 21일 헌재 탄핵심판 출석…‘12·3 비상계엄’ 당위성 주장할 듯 랭크뉴스 2025.0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