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성훈 대통령경호처 차장이 17일 오전 서울 서대문구 경찰 국가수사본부 특별수사단(특수단)에 출석하고 있다. 공동취재사진
김성훈 대통령경호처 차장이 세대의 휴대전화를 사용하고 있으면서도 경찰 출석 때 한대도 가지고 오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김 차장은 여러 대통령경호처 직원들이 윤석열 대통령이 체포영장 집행을 막으라는 지시를 직접 내렸다고 증언하고 있음에도 끝까지 이를 부인하고 있는 것으로도 나타났다. 이처럼 증거인멸의 우려가 큰데도 검찰은 경찰이 신청한 구속영장을 반려했다.
20일 한겨레가 경호처와 경찰 등을 취재한 결과 김 차장이 사용하는 휴대전화는 모두 세대인 것으로 확인됐다. 하지만 김 차장은 지난 17일 경찰 국가수사본부 비상계엄 특별수사단(특수단)에 출석할 당시 휴대전화를 하나도 가져오지 않았다고 한다. 이광우 대통령경호처 경호본부장과 김신 가족부장 역시 휴대전화 없이 경찰 조사에 임했다.
아울러 이른바 대통령경호처 내 ‘강경파’로 불리는 이들은 경찰 조사에서 ‘윤 대통령이 체포영장 집행을 막으라는 지시를 하지 않았다’라고 진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특수단은 여러 대통령경호처 관계자들로부터 윤 대통령이 총기 사용 검토까지 지시하며 체포영장 집행을 막으라고 했다는 진술을 확보한 상태다. 이런 이유로 특수단은 김 차장 등이 거짓 진술을 하고 있다고 판단하고 있다.
특수단은 김 차장이 휴대전화를 숨기고 허위 진술을 하는 등 증거인멸의 염려가 크다고 보고 특수공무집행방해 혐의를 적용해 지난 18일 서울서부지검에 구속영장을 신청했다. 하지만 검찰은 증거인멸의 우려가 없다고 판단해 김 차장의 구속영장을 반려했다. 지난 19일 풀려난 김 차장은 곧바로 윤 대통령이 수감된 서울구치소로 향해 경호 업무에 복귀했다.
이에 대해 서울서부지검 관계자는 한겨레에 “법과 절차에 따라 구속영장을 기각한 것”이라고 답변했다. 경찰은 이후 보강수사를 거쳐 김 차장 등에 대한 구속영장을 다시 신청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