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대형 부패 사건 경우 지시 여부 놓고 다퉈
尹 계엄선포·병력 투입 사실관계는 비교적 명확
공수처 수사권, 계엄 선포 정당성 놓고 주로 다툰 듯
내란 우두머리 혐의로 체포된 윤석열 대통령의 구속 전 피의자심문(영장실질심사)이 종료된 18일 서울 마포구 서울서부지법에서 윤 대통령측 윤갑근 변호사가 취재진의 질문을 받고 있다. 공동취재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사상 초유의 현직 대통령 구속 전 피의자심문(영장실질심사)이 4시간50분 만에 종료됐다. 상당한 시간 심사가 진행됐지만 8시간40분이 걸린 박근혜 전 대통령 등 다른 대형 부패 사건보다는 비교적 빨리 종료됐다. 윤 대통령의 경우 12‧3 비상계엄 선포 행위가 내란죄에 해당하는지가 쟁점으로 대형 부패·경제범죄 사건보다 비교적 지시 여부 등 사실관계가 간단한 점 등이 영향을 미쳤다는 평가가 나온다.

윤 대통령 영장심사는 서울서부지법 차은경 부장판사 심리로 18일 오후 2시8분 시작해 6시50분 종료됐다. 오후 5시20분쯤부터 20분간 휴정했다. 윤 대통령은 심사 중간 40분간 발언했고, 심사 종료 전 5분간 최종 발언을 한 것으로 전해졌다.

과거 검찰 수사 중 구속된 4명의 전직 대통령(전두환 노태우 박근혜 이명박) 중 영장심사에 참여했던 건 박 전 대통령뿐이다. 박 전 대통령은 국정농단 사태 관련 뇌물수수 혐의로 2017년 3월 30일 오전 10시30분부터 오후 7시11분까지 8시간40분간 서울중앙지법에서 영장심사를 받았다. 오후 1시쯤부터 1시간여 점심 식사를 위한 휴정과 오후 4시20분부터 15분간 휴정 시간을 가졌다. 뇌물 등 혐의로 구속영장이 청구된 이명박 전 대통령은 2018년 영장심사에 불출석했다.

영장심사 제도 도입 이후 역대 최장 기록은 2022년 12월 10시간 동안 열린 서훈 전 국가안보실장 영장심사다. 서 전 실장은 문재인정부 당시 서해 공무원 피격 사건의 첩보 삭제를 지시한 혐의 등으로 구속영장이 청구됐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지난 2023년 9월 백현동 개발 특혜 의혹, 쌍방울 대북송금 등 혐의로 구속영장이 청구돼 9시간17분 동안 영장심사를 받았다.

8~10시간 동안 진행된 다른 대형 사건에 비하면 윤 대통령 사건 영장심사는 현직 대통령 사건인 점 등을 고려할 때 비교적 빨리 종료됐다는 평가다. 법조계에서는 다른 경제·부패 범죄 사건의 경우 최종 책임자의 지시 및 관여 여부, 범행의 구체적인 사실관계 등을 놓고 심사에서 첨예하게 다투지만 윤 대통령 사건의 경우 사실관계는 비교적 명확한 점이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 나온다.

박 전 대통령 사건의 경우 삼성이 미르K스포츠재단에 출연한 돈이 뇌물에 해당하는지, 이 같은 돈이 삼성 경영권 승계를 위한 대가성인지를 놓고 영장심사에서 치열한 공방이 오갔다. 박 전 대통령은 승계를 도와달라는 청탁을 받았다는 사실관계 자체도 전면 부인했다. 이재명 대표 사건 심사에서도 이 대표는 대북송금을 보고 받았는지에 대한 사실관계부터 전면 부인했다.

하지만 12·3 비상계엄 사태의 경우 윤 대통령이 비상계엄을 선포하는 장면과 국회에 병력이 투입되는 장면 등이 생방송으로 모두 방영됐다. 윤 대통령 측도 비상계엄 포고령을 직접 검토하고,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에게 지시한 행위, 계엄을 선포한 행위 자체는 부정하지 않고 있다. 서초동의 한 변호사는 “부패 사건의 경우 최종 책임자가 관여했는지, 지시나 보고를 받았는지, 실제 뇌물수수 등 행위가 있었는지를 놓고 치열하게 다투고, 검찰도 많은 증거를 동원해 소명해야 하지만 윤 대통령 사건은 그럴 필요가 없다”며 “이번 비상계엄을 국헌 문란 목적의 폭동으로 볼 수 있는지 등 법리적 문제를 놓고 주로 다퉜을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법원은 이 같은 사실관계를 토대로 윤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 행위가 국헌 문란 목적에 해당하는지, 국회 병력 투입 등 행위를 폭동으로 볼 수 있는지와 함께 증거인멸 염려, 도주 우려 등을 종합적으로 따져 영장 발부 여부를 결정할 것으로 보인다.

국민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0023 법원 앞 '아수라장'‥경찰 밀치고 취재진 위협하고 랭크뉴스 2025.01.18
» »»»»» 尹 구속심사, 박근혜·이재명보다 빨리 끝난 이유는? 랭크뉴스 2025.01.18
40021 비상계엄 선포부터 구속 심사까지…‘46일의 기록’ 랭크뉴스 2025.01.18
40020 [단독] 쿠팡 택배기사 첫 정부 실태조사 입수…77% “3회전 배송” 랭크뉴스 2025.01.18
40019 “SOS 코리아!”…트럼프가 한국 조선에 손 내민 이유? 랭크뉴스 2025.01.18
40018 구속 심사 핵심 쟁점은?…“국헌문란 내란”-“통치행위” 랭크뉴스 2025.01.18
40017 [영상]"꺼져라" "죽여라"…공수처車 흔들고 법원 월담에 경찰폭행까지 '아수라장' 랭크뉴스 2025.01.18
40016 "유족 시간은 사고 전 멈춰"…사진 속 환한 표정에 눈물 왈칵 랭크뉴스 2025.01.18
40015 공수처 검사 탄 차 尹지지자들에 위협당해…"수사관 1명은 구타" 랭크뉴스 2025.01.18
40014 [속보] 尹 영장심사 4시간 50분 만에 종료... 이르면 밤 늦게 결과 랭크뉴스 2025.01.18
40013 尹, 4시간50분 만에 영장심사 종료...이재명은 9시간 17분 랭크뉴스 2025.01.18
40012 서울서부지법 앞 尹 지지자 4만명, 밤에도 해산 않고 “영장 기각하라” 랭크뉴스 2025.01.18
40011 '경호처 강경파' 김성훈 이어 이광우 체포‥구속영장 검토 랭크뉴스 2025.01.18
40010 구속심사 받은 尹, 다시 서울구치소로 랭크뉴스 2025.01.18
40009 "꺼져라" "죽여라"…공수처車 흔들고 월담에 경찰폭행까지 '아수라장' 랭크뉴스 2025.01.18
40008 尹 떠난 서부지법 에워싼 지지자들…공수처 차량 가로막기도 랭크뉴스 2025.01.18
40007 구속영장 청구서에 "윤 대통령 확신범‥재범 위험" 랭크뉴스 2025.01.18
40006 "국헌문란 내란"vs"대통령 통치행위"…尹 영장심사, 5시간만에 종료 랭크뉴스 2025.01.18
40005 [속보]윤석열 측 “2차 계엄은 말도 안돼…구속심사 좋은 결과 기대” 랭크뉴스 2025.01.18
40004 "오동운 죽이자" 공수처 차 부순 尹지지자…민간 차량도 덮쳤다 랭크뉴스 2025.0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