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가 17일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체포 시한이 9시까지”라면서 “이날 재소환은 현실적으로 어려울 것 같다”고 밝혔다. 윤 대통령은 이날 오전 10시로 예정된 공수처 조사에 불출석했다.
공수처 관계자는 이날 경기 과천시 공수처 청사에서 기자들과 만나 이렇게 말했다. 앞서 윤 대통령 측 변호인은 석동현 변호사는 “첫날 공수처에 충분히 기본 입장을 밝혔다”면서 “일문일답식 신문에 답할 이유나 필요성이 없다”고 기자들에게 밝힌 바 있다.
공수처는 윤 대통령이 소환에 불응한 이유에 대해 “대통령 측에서 불출석 관련 통보받지 않아 말씀드리기 어렵다”고 답했다. ‘구속영장이 발부되고 나서도 조사에 불응할 경우, 구치소로 가는 방안도 고려 중이냐’는 취재진 질문에는 “영장 발부 이후 검토해 봐야 한다”고 했다.
공수처는 이날 윤 대통령에 대한 추가 조사 없이 구속영장을 청구할 전망이다. 공수처 관계자는 “구속영장 청구 준비가 거의 마무리가 됐다”면서 “이날 체포 시한인 오후 9시쯤 전까지 영장을 청구한 뒤 언론 공지를 하겠다”고 밝혔다.
또 공수처는 이날 검찰로부터 내란 중요임무 종사 혐의로 구속 기소된 박안수 육군참모총장, 곽종근 특수전사령관, 여인형 국군방첩사령관, 문상호 정보사령관, 이진우 수도방위사령관 등 5명의 피의자 신문조서를 전달 받았다고 밝혔다.
내란 우두머리 혐의로 체포된 윤석열 대통령이 15일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의 수사를 마친 후 경기도 의왕시 서울구치소에 도착하고 있다./뉴스1
공수처 관계자는 이날 경기 과천시 공수처 청사에서 기자들과 만나 이렇게 말했다. 앞서 윤 대통령 측 변호인은 석동현 변호사는 “첫날 공수처에 충분히 기본 입장을 밝혔다”면서 “일문일답식 신문에 답할 이유나 필요성이 없다”고 기자들에게 밝힌 바 있다.
공수처는 윤 대통령이 소환에 불응한 이유에 대해 “대통령 측에서 불출석 관련 통보받지 않아 말씀드리기 어렵다”고 답했다. ‘구속영장이 발부되고 나서도 조사에 불응할 경우, 구치소로 가는 방안도 고려 중이냐’는 취재진 질문에는 “영장 발부 이후 검토해 봐야 한다”고 했다.
공수처는 이날 윤 대통령에 대한 추가 조사 없이 구속영장을 청구할 전망이다. 공수처 관계자는 “구속영장 청구 준비가 거의 마무리가 됐다”면서 “이날 체포 시한인 오후 9시쯤 전까지 영장을 청구한 뒤 언론 공지를 하겠다”고 밝혔다.
또 공수처는 이날 검찰로부터 내란 중요임무 종사 혐의로 구속 기소된 박안수 육군참모총장, 곽종근 특수전사령관, 여인형 국군방첩사령관, 문상호 정보사령관, 이진우 수도방위사령관 등 5명의 피의자 신문조서를 전달 받았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