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개 숙인 채 정면 응시' 구도
"불명예를 사법탄압으로 포장"
"불명예를 사법탄압으로 포장"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당선자의 제47대 대통령 공식 사진. 트럼프 인수위원회가 16일 공개한 사진이다.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자가 ‘대통령 공식 사진’으로 2023년 자신이 형사 기소됐을 당시 찍었던 ‘머그샷’(범죄인 인상착의 기록 사진)을 빼 닮은 사진을 선택했다. 해당 머그샷은 ‘미국 역사상 처음으로 형사 기소를 당한 전직 대통령’이라는 트럼프의 불명예를 상징하지만, 트럼프는 되레 이를 지지층 결집 수단으로 사용했다.
"전통적 공식 사진과 완전히 달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자가 2023년 8월 조지아주 풀턴카운티 구치소에서 머그샷(범죄인 인상착의 기록사진)을 찍고 있다. 조지아주 검찰이 공개한 사진이다. 연합뉴스
16일(현지시간) 미국 온라인매체 액시오스에 따르면 트럼프 인수위원회는 “오는 20일 도널드 트럼프가 제47대 미국 대통령으로 취임한다”며 공식 사진을 배포했다.
해당 사진은 트럼프 당선자가 2023년 조지아주(州)에서 기소됐을 당시 촬영했던 머그샷과 동일한 구도다. 당시 트럼프 당선자는 고개를 숙인 채 불만 가득한 표정으로 정면을 응시했는데, 이날 공개된 대통령 공식 사진도 같은 표정을 짓고 있다. 액시오스는 “균일한 조명 아래서 웃는 모습을 보여주는 전통적 공식 사진과는 완전히 다르다”며 “머그샷을 연상시킨다”고 지적했다.
해당 머그샷은 트럼프가 정치적 술수를 발휘해 자신의 불명예를 ‘저항의 상징’으로 탈바꿈한 대표적 사례 중 하나다. 당초 트럼프 당선자는 2020년 미국 대선 결과를 전복하려 했던 혐의로 2023년 8월 조지아 주검찰에 의해 기소돼 풀턴카운티 구치소에 수감됐었다. 당시 트럼프는 20분간 구치소에서 머물며 해당 머그샷을 찍은 뒤 보석금을 내고 풀려났다.
강인한 이미지 부각?
그러나 트럼프 측은 이 사진을 되레 사법 탄압 주장을 홍보하는 수단으로 적극 활용했다. 특히 해당 머그샷을 새긴 티셔츠 포스터 스티커 등을 만들어 온라인 판매에 나섰다. 이들 상품에는 ‘절대 굴복하지 않는다(never surrender)’ 등 문구가 새겨졌다. 사법 기소 저항을 ‘강인한 이미지’로 꾸며낸 셈이었다.
이날 머그샷과 유사한 대통령 공식 사진을 공개한 것 역시 ‘미국 팽창주의’로 나아가는 트럼프 당선자의 강경 기조와 맞물 려있다는 해석이 나온다. 트럼프 인수위 측은 대통령 공식 사진 취지를 두고 “열심히 일하겠다(go hard)는 것”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