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1일(현지시간) 미국 플로리다주로 이동하는 대통령 전용기 에어포스원 기내에서 백악관 출입기자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AP·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11일(현지시간) 중국을 제외한 다른 나라에 국가별 상호관세를 90일간 유예하고 개별 협상에 돌입한 것과 관련해 상호관세의 기본 세율인 10%가 국가별 상호관세의 하한선 수준이라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플로리다주로 이동하는 대통령 전용기 에어포스원 기내에서 진행한 브리핑에서 국가별 관세 10%가 하한이냐는 질문에 대해 “(그것에) 매우 가깝다”라면서 “분명한 이유로 몇가지 예외가 있을 수 있으나 나는 10%가 하한이라고 말하고 싶다”고 답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많은 나라와 관세 협상을 하고 있다면서 “우리는 매우 좋은 위치에 있다”고 말했다. 관세를 무기로 각국에 대미 무역적자를 줄이는 양보안을 받아내겠다는 것으로 풀이된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4일 전 세계에 10% 이상의 상호관세 부과 계획을 발표했고, 지난 5일부터 10%의 기본 관세를 적용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한국을 이른바 ‘최악 국가’로 분류하면서 25%의 상호관세율을 9일부터 매기기로 했다. 그러나 시행 직후 중국을 제외한 다른 나라에 대해서는 상호관세 적용을 90일간 유예했다.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부 장관은 지난 9일 개별 국가에 대한 관세와 관련해 지난 2일 발표한 국가별 상호관세율이 ‘상한’이고 기본 관세율인 10%가 ‘하한’이라고 언급한 바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중국의 보복관세 조치와 관련, 시진핑 국가주석과 자신이 항상 잘 지낸다면서 “긍정적인 결과가 나올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 부과 계획 발표 직후 미국 국채 금리가 오른 데 대해서 “잠깐 (문제가 된) 순간이 있었지만 내가 그 문제를 빨리 해결했다”라면서 “채권시장은 잘되고 있다”고 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채권 시장 문제가 중국을 제외한 다른 나라에 대한 국가별 상호관세를 90일간 유예키로 한 결정의 배경이 됐느냐’는 질문에 대해 그렇지 않다고 답했다고 백악관 풀 기자단이 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 달러에 대해 “사람들이 우리가 하는 일을 이해하면 달러 가치는 올라갈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우리는 기축 통화이며 항상 그럴 것”이라고 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란과 12일 오만에서 핵협상을 하기로 한 데 대해 “나는 이란이 훌륭하고 행복한 나라가 되길 바란다”면서 “그러나 그들은 핵무기를 가질 수 없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