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북한군의 드론 대처 작전. 사진 우크라이나 특수전사령부 페이스북 캡처

우크라이나 전쟁에 파병된 북한군이 초기에는 시대에 뒤떨어진 전술을 선보였지만 '번개와 같은 속도'로 빠르게 현대전에 적응해 러시아군에 큰 자산이 됐다는 분석이 나왔다.

미국 일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러시아 쿠르스크 지역에서 북한군과 싸웠던 우크라이나 특수부대원 등 장병들과의 인터뷰와 전문가들의 의견을 토대로 파병 이후 점차 달라진 북한군의 모습을 8일(현지시간) 보도했다.

WSJ에 따르면 북한군이 지난해 12월 처음 전장에 대규모로 투입됐을 때는 무인기나 장갑차 등의 지원도 없어 쉽게 우크라이나군의 표적이 됐다. 전술 이해도가 낮은데 열정만 앞세운 모습이었다고 우크라이나군 병사들은 전했다.

하지만 올해 2월이 되자 북한군은 점차 두각을 나타내기 시작했다. 수적인 우세와 뛰어난 신체 지구력, 포화 속에서도 전진하려는 강한 의지와 함께 높아진 전술 이해도, 러시아의 장비 지원이 결합하면서다.

북한군은 초반에는 최전선에서 벗어나 참호를 파고 병참을 지원하는 임무를 맡았다가 러시아군의 손실이 불면서 차츰 전장에 배치됐다. 이때 북한군은 우크라이나군의 포화 속에서 끊임없이 돌진하는 모습을 보였다.

우크라이나군 제225연대 올레흐 시리아이에우 대위는 WSJ에 "북한군은 계속해 전진하고 전진했다"면서 "그들이 피로 대가를 치른 경험은 헛되진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우크라이나 특수작전군 제8연대의 한 병사는 지난해 12월 중순 북한군과의 전투에 대해 "마치 2차 세계대전의 한 장면 같았다"며 "그들은 그저 돌진하며 한국어로 소리쳤는데 함성이 엄청났다"고 전하기도 했다.

우크라이나군에 생포된 북한군. 사진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 엑스 캡처



드론 뭔지도 몰랐던 북한군, 이내 날아다녔다

우크라이나군은 북한군이 무전기도 쓰지 않고 모든 명령을 육성으로 전달했다는 것을 알아냈다. 이는 북한군의 소재를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됐다.

우크라이나군은 북한군을 포로로 잡은 뒤 이들의 머리카락 등을 채취해 검사하고, 압수한 서류를 한국에 보내 번역도 부탁했다. 검사 결과 북한군 다수는 괴혈병에 걸린 것으로 나타났다. 괴혈병은 비타민C가 부족할 때 걸리는 병이다.

우크라이나군이 확보한 북한군 문서들에는 선제공격과 인명피해 최소화를 위해 우크라이나군의 드론 발사장이나 포병 진지에 관한 러시아군의 정보가 필요하다는 내용도 담겼다.

지난해 12월 5일 자 메모에는 "어제 3중대 3소대 소속 병사 한 명이 동물을 사람으로 오인해 사격했다"며 "오인사격을 막으려면 병사들을 교육하고 철저한 조사를 실시하며 적절한 임무 수행을 보장해야 한다"고 적혀 있었다.

북한군이 이후 드론에 가장 먼저 적응했다. 처음 전선에 배치됐을 땐 상공의 드론을 바라보기만 했을 뿐 위험이 된다는 사실을 알지 못했던 그들이었다. 하지만 이내 드론을 피하거나 파괴하는 전술을 익혔다. 한 병사를 미끼로 삼고 다른 병사들이 드론을 사격하는 식이었다.

장교로 추정되는 북한군이 드론 탐지기를 소지한 채 숨진 채로 발견되기도 했다. 러시아군이 우크라이나군의 드론을 감지하고 회피하는 데 사용한 탐지기였다.

전투 초기 막대한 사상자가 발생한 북한군은 올해 1월 초 쿠르스크에서 철수했다가 한 달 후쯤 복귀했다. 쿠르스크 수복을 최우선 과제로 삼은 러시아는 베테랑 드론 조종수들을 배치하는 등 지원에 나섰다.

이때부터 북한군은 전장에서 러시아의 가장 귀중한 자산 중 하나가 됐다. 러시아군과의 통합 작전 능력이 향상됐고, 인내력과 전술 능력이 더해졌기 때문이라고 우크라이나군과 전문가들은 말했다.

우크라이나군 정보기관 당국자는 북한군 지휘관들이 러시아인들과 함께 앉아서 한국어로 지시를 내린다고 전했다. 현장에서 북한군은 기본적인 러시아어 단어들을 충분히 이해한다고 한다.

우크라이나군 225연대 시리아이에우 대위는 진격하는 북한군을 보며 이들에게는 전장에서 큰 이점이 있다는 걸 깨달았다고 한다. 그것은 이들이 러시아군보다도 더 인간 생명의 가치를 명백히 무시한다는 점이라고 그는 말했다.

시리아이에우 대위는 "북한군은 심리적으로, 신체적으로 더 잘 준비돼 있다"며 "그들은 쿠르스크에서의 임무를 완수했다"고 덧붙였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271 [단독] 윤석열 아크로비스타 돌아가도 보유세·종부세 면제‥이유는? 랭크뉴스 2025.04.10
46270 [사설] 양당 유력주자 출사표…‘실용·성장’과 법치 실천이 과제다 랭크뉴스 2025.04.10
46269 중, ‘관세폭탄’에도 자신감 보이지만…경제성장 전망은 ‘먹구름’ 랭크뉴스 2025.04.10
46268 미 “중국, 러시아 전쟁 지원 우려”···중국인 포로 생포에 입장 내놔 랭크뉴스 2025.04.10
46267 “우리 밭에 집 만드세요”…마늘밭 내어준 ‘통큰 선심’ 랭크뉴스 2025.04.10
46266 “한덕수의 재판관 지명, 위헌 확인해달라” 헌법소원 봇물 랭크뉴스 2025.04.10
46265 청년 실업률 7.5%…코로나 이후 4년만에 최고 랭크뉴스 2025.04.10
46264 EU, 15일부터 일부 미국산 수입품에 최고 25% 추가 관세… "협상 가능" 랭크뉴스 2025.04.10
46263 ‘녹아내린 안전모’ 진화장비에 ‘방염’ 없었다 랭크뉴스 2025.04.10
46262 함상훈 재판관 후보자, '2400원 횡령' 버스기사 해고판결 논란 랭크뉴스 2025.04.10
46261 상호관세 부과한 트럼프 "기업들, 美로 옮길 적기…관세 제로"(종합) 랭크뉴스 2025.04.10
46260 EU도 美에 15일부터 보복관세… 오토바이 등 수입품에 25% 랭크뉴스 2025.04.10
46259 "'2400원 횡령' 버스기사 해고"…함상훈 후보자 판결 재조명 랭크뉴스 2025.04.10
46258 계엄 수사 곳곳 구멍‥특검 막아선 한덕수 랭크뉴스 2025.04.10
46257 [사설] 막 오른 대미 관세 협상… ‘머니 머신’되지 말아야 랭크뉴스 2025.04.10
46256 “김건희 면박에 강아지 안고 웃기만”…윤석열 캠프 대변인 증언 랭크뉴스 2025.04.10
46255 중국, 백서 내고 트럼프 주장 반박 “미 무역 적자는 세계 경제 구조가 낳은 것” 랭크뉴스 2025.04.10
46254 ‘윤 파면 축하’ 치킨집 별점 테러에…“돈쭐 내주자” 응원 랭크뉴스 2025.04.10
46253 국회, 내주 내란·명태균 특검법 재표결 랭크뉴스 2025.04.10
46252 中, 트럼프 '104% 보복'에 맞불… "모든 미국산에 추가관세 34%→84%" 랭크뉴스 2025.04.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