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기업 6곳 제재·12개사 수출 통제
세계무역기구(WTO)에 추가 제소도
세계무역기구(WTO)에 추가 제소도
미국 도널드 트럼프 1기 행정부 당시인 2017년 11월 9일 중국을 찾은 트럼프(오른쪽) 당시 미국 대통령이 중국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열린 환영식에 참석해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대화하고 있다. 베이징=AP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무려 104%의 핵폭탄급 관세를 던지자 중국이 9일 미국산(産) 수입품에 50% 추가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맞불을 놓았다. 미국과 중국이 양보 없는 강대강 대치를 이어가면서 미중 무역전쟁이 극단으로 치닫는 모양새다.
이날 로이터통신 등에 따르면 중국 국무원 관세세칙위원회는 "오는 10일 낮 12시 1분(현지시간)을 기점으로 부과하는 모든 미국산 수입품에 대한 (추가) 관세율을 34%에서 84%로 인상한다"고 9일 발표했다.
각종 비(非)관세 조치도 연달아 내놨다. 중국 상무부는 쉴드 AI, 시에라 네바다 등 미국 군수기업 6곳을 '신뢰할 수 없는 기업' 명단에 추가했다. 이들 기업이 대만에 대한 무기 판매에 참여하거나 대만과 군사 기술 협력을 맺어 중국의 주권, 안보와 이익을 심각하게 훼손했다는 취지다. 아메리칸 포토닉스(렌즈 제조), 노보텍(바이오), 에코다인(드론) 등 미국 12곳 기업에 대해선 이중용도 물자 수출을 통제키로 했다. 이들 기업이 중국의 안보와 이익을 해칠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미국의 50% 추가 관세 조치를 세계무역기구(WTO)에 추가 제소한다는 방침도 밝혔다.
중국 국무원은 이날 홈페이지를 통해 "미국이 중국에 대한 관세를 인상하기로 한 것은 엄청난 실수"라며 "이는 중국의 합법적 권익을 심각하게 침해하고, 규칙에 기반한 다자간 무역 시스템을 심각하게 훼손한다"고 비판했다. 이어 "세계 경제 질서의 안정에 심각한 영향을 끼칠 것"이라며 미국의 행태를 두고 "일방주의, 보호주의, 경제적 괴롭힘의 전형적인 사례"라고 강조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의 보복관세 조치에 아랑곳하지 않는 듯 사회관계망서비스(SNS) 트루스소셜에서 "괜찮다. 모든 게 잘 될 것이다. 미국은 그 어느 때보다 더 크고 더 발전할 것"이라고 썼다. 중국의 보복관세 조치에 대해 스콧 베센트 미 재무장관은 유감을 표시했다. 그는 미 폭스 비즈니스와 인터뷰에서 "중국이 와서 협상하기를 원하지 않는 것 같아 안타깝다"며 "이는 그들이 국제 무역 시스템의 가장 악질적인 국가이기 때문"이라고 날을 세웠다. 그러면서 "중국은 현대 세계 역사상 가장 불균형적인 경제를 갖고 있으며, 이번 사태 악화는 그들에게 큰 손실"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