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NH투자증권의 투자가 뒤늦게 논란이 되고 있다.

고려아연 경영권 분쟁에서 영풍 및 사모펀드 MBK 연합과 손을 잡은 것을 놓고, MBK가 투자한 홈플러스의 법정관리 사태의 피해자인 농민과 연결시켜 비판하는 논리가 등장한 것이다.

두개의 사안은 별개다. 하지만 이를 연결시켜 비판함으로써 NH의 도덕성에 흠집을 내고, MBK를 고립시키기 위한 전략이라는 분석이다. 아울러 자본시장에 대한 무지가 깔려 있는 비판이라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사건은 지난해 9월로 거슬러 올라간다. NH투자증권은 영풍그룹과 MBK의 고려아연 공개매수를 주관하며 1조1100억 규모의 자금을 빌려줬다. 정치권에서는 "NH투자증권이 투기자본과 결탁해 고려아연 경영권 탈취를 돕는다"는 비판이 나왔다.

그때까지만 해도 MBK가 '토종 사모펀드'의 대표주자 소리를 들을 때였고, 고려아연 경영진의 경영실책도 만만치 않아 크게 논란이 되지 않았다. 대형 딜에 대형 증권사가 참여한 것은 자연스런 일이었다. NH투자증권은 이 자금을 빌려주고 높은 수익을 챙기는 것이 목표이기 때문에 비판에 설득력이 떨어진다는 지적이 나왔다.

증권업계 관계자는 "IB 비즈니스는 네트워크와 타이밍이 생명인데, 이런 이유로 투자를 못하고 저런 이유로 투자를 못하다 보면 나중에 왜 그것밖에 이익을 내지 못하냐고 욕먹는 게 이 바닥의 생리다"라고 말했다.

문제는 홈플러스의 법정관리였다. 홈플러스가 법정관리에 들어간 것은 MBK의 무책임한 경영방식 때문이라는 게 중론이다. “회생을 위한 최대한의 노력은 기울이지 않고, 살점만 도려내 먹고 나머지는 버리는 전형적인 약탈형 사모펀드의 모습을 보였다”는 비판도 가해졌다. 여기에 최근 김병주 회장이 투자자 서한에서 "언론에 약간의 잡음을 일으켰다"고 밝혀 더욱 큰 원성을 샀다.

이는 MBK의 행태에 대한 비판이면 충분한 일이었다. 하지만 일부에선 홈플러스의 납품 대금 정산 지연으로 일선 농협, 영농조합, 유가공조합 등 농축산업계 전반에 피해가 확산하고 있다며 NH투자증권을 끌어들였다. 일부에서 “농업인을 위한 금융”을 표방하는 NH투자증권이 사회적 논란의 중심에 선 MBK의 차입매수를 지원한 건 부적절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금융권은 이 같은 주장을 자본시장 구조에 대한 몰이해로 보고 있다. 한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는 “고려아연 건에 자금을 댔다고 NH를 비난하는 건, 예전에 다른 회사에 대출해줬다는 이유로 지금의 피해까지 책임지라는 말과 같다”며 “이런 논리라면 어느 금융사도 정상적인 자금 공급을 할 수 없다”고 꼬집었다.

금융사의 수익 구조는 단순하다. 기업에 자금을 빌려주거나 거래를 주선하고, 그 대가로 수수료나 이자를 받는다. NH뿐 아니라, 고려아연 인수 자금에 참여한 메리츠·한국투자증권, 주관사로 나선 미래에셋·KB증권도 마찬가지 방식으로 수익을 올리고 있다.

문제는 이 구조적 역할을 무시한 채, 감정적 책임론이 자본시장의 근간을 흔들고 있다는 점이다.

“농민 돈으로 사모펀드를 돕는다”는 주장도 구조를 단순화한 비약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NH투자증권은 범농협 금융그룹의 일원으로, 영업 수익의 일부를 실제 농업·농촌 지원에 환원하고 있다. 2024년 기준으로 약 2400억원이 농촌 지원 활동에 쓰였으며, ESG 기반의 지속가능한 투자 확대도 병행 중이다.

업계 관계자는 “고려아연과 홈플러스, NH와 MBK는 겉으론 연결돼 보일 수 있지만, 실제 거래 구조나 맥락은 전혀 다르다”면서 “성격이 다른 딜을 하나로 묶어 책임을 묻는 시선은 자본시장의 기본 질서를 무시한 비판을 위한 비판에 가깝다”고 말했다.

한경비즈니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731 130명중 100명이 반수…몰락하는 '지방 로스쿨' 랭크뉴스 2025.04.10
46730 '정치 투쟁' 일삼는 고위 공직자, 이진숙은 뭘 노리나 랭크뉴스 2025.04.10
46729 美 3월 소비자물가 전년비 2.4% 상승… 예상 밑돌자 전문가 "다행" 랭크뉴스 2025.04.10
46728 尹, 내일 오후 5시 용산 떠난다…반려동물 11마리도 데려가 랭크뉴스 2025.04.10
46727 미중 관세 갈등에 한국 경제 ‘새우등’ 신세 랭크뉴스 2025.04.10
46726 "초봉 6000이지만 안 갈래요"…고스펙 취준생은 은행권 대신 '여기' 간다는데 랭크뉴스 2025.04.10
46725 백악관 “15개국과 관세 협상 중…여러 건 마무리 단계” 랭크뉴스 2025.04.10
46724 감사원 “‘잼버리 사태’ 여가부, 국무회의에 허위보고”…총체적 부실 판단 랭크뉴스 2025.04.10
46723 코스피·코스닥, 하루 만에 급반등‥유예됐다지만 협상은 '불안' 랭크뉴스 2025.04.10
46722 참모들도 몰랐던 90일 유예‥트럼프 움직인 건 미국 국채? 랭크뉴스 2025.04.10
46721 EU도 대미 보복관세 90일 보류하기로 “미국에 협상 기회 부여” 랭크뉴스 2025.04.10
46720 트럼프 “내 모발 다 적시려면 15분 서있어야”···미국 샤워기 수압제한 폐지 랭크뉴스 2025.04.10
46719 "스벅 일회용컵 60개 가져오면 음료 1잔 줍니다"…청주시, 재활용 나섰다 랭크뉴스 2025.04.10
46718 상호관세 변덕에…트럼프 장남 6000억원 벌었다 랭크뉴스 2025.04.10
46717 경호처, 尹 재판 때 지하 출입 요청… 법원, 내일 경비계획 발표 랭크뉴스 2025.04.10
46716 우원식, 한덕수 헌법재판관 지명 '권한쟁의심판 청구' 예정 랭크뉴스 2025.04.10
46715 6·25 직후 한국 와 71년간 사목 활동한 두봉 주교 선종···향년 96세 랭크뉴스 2025.04.10
46714 경호처 “尹 ‘내란 법정’ 출석시 지하로 출입하게 해달라” 랭크뉴스 2025.04.10
46713 만취 승객에 가짜 토사물 뿌리고 합의금 뜯은 택시기사... 피해자 160명 랭크뉴스 2025.04.10
46712 경호처, ‘재판시 尹 지하 출입’ 요청… 법원, 내일 경비계획 발표 랭크뉴스 2025.04.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