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뉴스데스크]
◀ 앵커 ▶

윤석열 대통령이 잠시 후 헌법재판소에서 최후 진술을 시작할 예정입니다.

이와 관련해 법조팀 윤상문 기자와 얘기 나눠보겠습니다.

윤 기자, 대국민 사과 메시지나 국민 통합을 위한 메시지를 내놓을지 이 부분이 주목되는데, 어떻습니까?

◀ 기자 ▶

네 관심은 말씀하신 대로 사과와 통합이 언급될 것이냐는 점입니다.

윤 대통령은 지금까지 계엄에 대해 제대로 사과한 적이 없습니다.

지난해 12월 대국민담화에서 많이 놀라셨을 국민 여러분께 진심으로 사과드린다, 짧은 시간이지만 이번 계엄으로 놀라고 불안했을 국민 여러분께 다시 한번 사과한다고 했는데요.

두 차례 사과라는 단어를 쓰긴 했지만 계엄 선포 자체에 대한 사과가 아니라 불안과 놀라움을 준 데 대한 사과였을 뿐입니다.

윤석열 대통령의 최후진술은 아직까지 시작되지 않고 있습니다.

탄핵소추단장인 정청래 의원의 최후진술이 지금 진행되고 있는데요.

정 의원은 "대한민국 국민 누구도 헌법 위에 군림할 수 없다"며 30분 넘게 발언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윤 대통령은 모두 40분 가량 발언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윤 대통령은 평소와 달리 오늘은 재판 시작할 때까지도 헌재에 출석하지 않았는데요.

재판 시작 2시간 40분 만인 오후 4시 40분쯤 헌재에 도착했고요.

아직까지도 법정에 모습을 드러내지 않고 있습니다.

국회 측 발언은 듣지 않고 자기 할 말만 하고 갈 것으로 보입니다.

◀ 앵커 ▶

지난달 14일 첫 변론을 시작으로 오늘까지 모두 11번의 변론이 진행됐어요.

그러면 지금 선고만 남은 거죠?

◀ 기자 ▶

네, 헌법재판소는 오늘 윤 대통령이 최후 진술을 마친 뒤 변론을 종결합니다.

다만, 선고는 언제 할지 알 수 없습니다.

헌재는 보통 변론 종결 때 선고 기일을 정하지 않는데요.

재판관들이 머리를 맞대고 쟁점을 논의하는 평의 과정이 필요해 미리 정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노무현,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심판 때는 선고 2~3일 전에야 선고 날짜를 알려줬습니다.

재판관들은 이제 본격 평의에 돌입하게 되는데요.

노무현 전 대통령 탄핵 심판의 경우 변론 종결부터 선고까지 14일, 박근혜 전 대통령은 11일 걸렸거든요.

전례대로라면 3월 둘째 주나 셋째 주 선고가 예상됩니다.

◀ 앵커 ▶

다른 변수가 없다면 3월 초중순이면 결과가 나온다는 건데, 혹시 모를 변수가 예상되는 게 있습니까?

◀ 기자 ▶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이 마은혁 헌법재판관 후보자를 임명하지 않은 데 대해 우원식 국회의장이 낸 권한쟁의심판 사건 기억하실 겁니다.

헌재가 결론을 모레 27일 오전 10시에 내겠다고 했거든요.

이게 하나의 변수가 될 수 있습니다.

헌재가 각하하거나 기각하면 기존 일정대로 헌법재판소 8인 체제에서 윤 대통령 탄핵 관련 평의를 진행하면 됩니다.

그런데 인용 결정이 내려지면 최상목 권한대행이 마 후보자를 헌법재판관으로 새로 임명하게 되는 건데요.

그럼 9인 체제가 되면서 변론을 갱신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증거 조사 등을 처음부터 다시 해야 해 선고까지 시간이 지연될 수 있다는 겁니다.

일단 모레 있을 권한쟁의심판 선고 결과를 지켜봐야 할 것 같습니다.

◀ 앵커 ▶

네, 여기까지 듣겠습니다.

윤상문 기자 잘 들었습니다.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email protected]
▷ 카카오톡 @mbc제보

MBC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7526 8회 직접 출석, 68분 일장 연설···‘윤석열 탄핵심판’ 73일 총결산 new 랭크뉴스 2025.02.26
47525 기초연금 수급자 200만→650만명 급증…“저소득 노인 집중 지원해야” new 랭크뉴스 2025.02.26
47524 트럼프에게 할말 한 마크롱…간극 못좁혔지만 '성과' 평가 new 랭크뉴스 2025.02.26
47523 비트코인 급락 '가상자산 조정 오나?'‥'업비트'는 중징계 new 랭크뉴스 2025.02.26
47522 헌재, 27일 ‘마은혁 재판관 불임명 권한쟁의심판’ 선고 new 랭크뉴스 2025.02.26
47521 한국 민주주의의 위기 극복...선거구제 개혁이 돌파구다[한윤형이 소리내다] new 랭크뉴스 2025.02.26
47520 "계엄 후 84일, 삶에서 가장 힘든 날"…尹, 승복은 없었다 new 랭크뉴스 2025.02.26
47519 [전문] 윤석열 대통령 헌재 탄핵심판 최종의견 - 2(끝) new 랭크뉴스 2025.02.26
47518 [사설] 이제 헌재의 시간…“나라 위험한 상황, 어떤 결과도 존중해야” new 랭크뉴스 2025.02.26
47517 "체중 86㎏→63㎏으로"...'구독자 3억명' 유튜버가 고백한 '이 병' new 랭크뉴스 2025.02.26
47516 尹대통령 "직무 복귀하면 개헌에 집중…잔여임기 연연 안 해"(종합) new 랭크뉴스 2025.02.26
47515 "저를 질책하는 목소리도 들어" …국민통합 언급한 尹전략은 new 랭크뉴스 2025.02.26
47514 감귤 1개로 맥주 750캔 제조?…백종원 '빽햄' 이어 함량 논란 new 랭크뉴스 2025.02.26
47513 尹 최후진술 67분만 종료 "대통령 고뇌 생각해달라" new 랭크뉴스 2025.02.26
47512 尹 “거대야당이 대한민국 무너뜨려”… 67분간 적대감 표출 new 랭크뉴스 2025.02.26
47511 尹 최후진술에…與 "개헌 제안 높이 평가" 野 "후안무치한 변명" new 랭크뉴스 2025.02.25
47510 "상현이한테 한 번 더 얘기할게. 걔가 공관위원장이니까"‥尹-명태균 추가녹취 공개 new 랭크뉴스 2025.02.25
47509 “거대야당 국헌 문란에 계엄 결단”…윤석열, 끝내 반성은 없었다 new 랭크뉴스 2025.02.25
47508 尹 대통령 "직무 복귀하면 개헌에 집중‥잔여임기 연연 안 해" new 랭크뉴스 2025.02.25
47507 권성동, 윤석열 탄핵심판 최종변론에 "진솔한 대국민 사과‥본인 고뇌 나타나" new 랭크뉴스 2025.02.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