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기존 연 2.65∼3.95%에서 연 2.85∼4.15%
지방 '준공 후 미분양' 주택에는 0.2%p 인하
21일 오후 서울 중구 남산을 찾은 관광객이 아파트 단지를 바라보고 있다. 뉴스1


정부가 내달 24일부터 무주택자를 대상으로 한 주택구입(디딤돌)·전세자금(버팀목) 정책대출 금리를
수도권에 한정해 0.2%포인트 올린다
. 지난해 8월 디딤돌·버팀목 대출 금리를 최대 0.4%포인트 인상한 뒤 7개월 만의 추가 인상이다.

국토교통부는 3월 24일부터 디딤돌·버팀목 대출금리를 지역 간 차등화하기로 했다고 23일 밝혔다. 국토부는 "안정적인 기금 운용 및 대출쏠림 방지를 위해 시중 대비 일정 금리 차(1%포인트 이내)를 유지해야 하나, 최근 2~3년 사이에 금리차가 커져 이를 조정할 필요가 있었다"고 배경을 설명했다.

무주택자 주택구입 기금대출인 디딤돌 대출의 경우 부부합산 연 소득 8,500만 원 이하만 받을 수 있고 소득이 높을수록 적용 금리도 올라간다. 이번 조정으로 디딤돌 대출 금리가 0.2%포인트 높아지면서 이 대출로 수도권 주택을
살 때
리는 기존 연 2.65∼3.95%에서 2.85∼4.15%로 바뀐다.


지역별로 주택 시장 여건이 다른 점을 고려해 지방은 디딤돌 대출금리를 인상하지 않고 현행 연 2.65∼3.95%로 유지한다. 특히
지방의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을 구입하는 경우에는 금리를 0.2%포인트 깎아준다
.

부부합산 연 소득 5,000만 원 이하 무주택자에게 전세자금을 빌려주는 버팀목 대출 금리도 인상한다. 디딤돌 대출과 마찬가지로 지방을 제외하고
수도권에서만 0.2%포인트 높인 연 2.5∼3.5%로 조정
될 예정이다.

10여 종의 우대금리 항목에도 제한이 생긴다.
우대금리를 0.5%포인트까지만 인정하고, 적용 기한도 자금별로 4~5년으로 한정
된다. 현재는 생애최초 주택구입자와 장애인가구, 다문화가구, 신혼가구에 연 0.2%포인트씩 우대 금리를 주고, △청약저축(최대 0.5%포인트) △부동산 전자계약(0.1%포인트) △자녀 출산(최대 0.7%포인트) 등 추가 우대 항목도 있다. 국토부 관계자는 "우대금리로 최저 1%포인트대까지 금리가 낮아져 시중금리와 차이가 너무 커진 점을 고려한 조치"라고 설명했다.

금리방식은 다양해진다. 기존에는 ①만기 고정형, ②5년 단위 변동형(주기형), ③순수 변동형 금리 중에서 선택할 수 있었지만, 내달 24일부터는 ④혼합형 금리(10년 고정 후 변동)도 추가된다. 방식별로 적용 금리도 차등화하는데, △만기 고정형은 +0.3%포인트 △혼합형(10년 고정 후 변동)은 +0.2%포인트 △5년 단위 변동형은 +0.1%포인트 가산된다. 금리 구조 개편은 유예기간을 거쳐 3월 24일 이후 신청분부터 적용된다.

청년 주택드림 청약 대출도 구상 중



국토부는 '청년 주택드림 청약통장' 대출 상품도 내달 말 출시할 예정이다. 해당 통장에 1년 이상, 1,000만 원 이상 납입하고 이 통장으로 신규 분양을 받은 청년들의 잔금 부담을 덜어주기 위한 제도다. 청년 주택드림 대출은 청년 주택드림 청약통장으로 청약이 당첨된 무주택 세대주가 대상이다. 분양가 6억 원, 전용면적 85㎡ 이하 주택에 대해 최저 2.2%대로 많게는 3억 원을 대출받을 수 있다.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374 동료 육아휴직, 내 통장에 50만원 꽂혔다…'갓부영' 이어 '갓두산' new 랭크뉴스 2025.02.23
46373 "분양가 오르는 이유 있었네"…빌트인가구 입찰 또 '짬짜미' new 랭크뉴스 2025.02.23
46372 "가상화폐 싸게 판다" 거래하는 척 현금 2억 4천만 원 들고 달아난 외국인 추적 new 랭크뉴스 2025.02.23
» »»»»» 내달 24일부터 수도권 디딤돌·버팀목 대출금리 0.2%p 인상 new 랭크뉴스 2025.02.23
46370 “北, 美 ‘글로벌호크’ 모방한 대형 무인기 시험 중” new 랭크뉴스 2025.02.23
46369 권성동 "이재명 '우클릭', 與 극우몰이 하려는 편가르기" new 랭크뉴스 2025.02.23
46368 하늘양 유족, 6억 배상 받을듯…가해교사에 구상권 청구 예상 new 랭크뉴스 2025.02.23
46367 안철수, 윤·이 때리며 대권 도전 시사... "검찰권력 집권 3년, 정치·민생 망가져" new 랭크뉴스 2025.02.23
46366 이재명 "與, 아직도 초부자감세 미련 있나"…세제개편 토론 제안 new 랭크뉴스 2025.02.23
46365 ‘동반 적자’ 배터리 3사, 신기술·신제품·신개념으로 돌파구 찾는다 new 랭크뉴스 2025.02.23
46364 김민석 "이재명 1위 지지율, 시대 부응하는 리더십에 대한 평가" new 랭크뉴스 2025.02.23
46363 교황청 “교황, 여전히 병세 위중…한때 호흡곤란 겪어” new 랭크뉴스 2025.02.23
46362 올해 사라지는 초중고 ‘49곳’…입학생 없는 초등학교도 속출 new 랭크뉴스 2025.02.23
46361 [단독]민주당 “시·도당, 3월7일까지 지역 공약 보고하라” 대선 모드 돌입 new 랭크뉴스 2025.02.23
46360 전광훈 눌러놓은 캡 따버린 국힘…음모론 기획에 육사 출신 포함 new 랭크뉴스 2025.02.23
46359 '가짜 엄마' 시신에 분노 폭발…이스라엘, 인질 석방 전격 연기 new 랭크뉴스 2025.02.23
46358 中, 세계 TV 출하량 한국 제치고 선두… 매출 점유율도 추격 new 랭크뉴스 2025.02.23
46357 기준금리 내려도 대출금리 고공행진 왜?…당국, 산출 근거 직접 따진다 new 랭크뉴스 2025.02.23
46356 지난해 남성 육아휴직자 30% 넘었다지만···여성, 출산 후 취업 가능성 37.2%p ↓ new 랭크뉴스 2025.02.23
46355 머스크 “지난주에 뭐 했나, 이메일 회신 안 하면 사직 간주” 연방정부 직원들 압박 new 랭크뉴스 2025.02.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