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육아휴직 관련 일러스트. 경향신문 자료사진


지난해 육아휴직을 쓴 사람 중 남성 비율이 처음으로 30%를 넘은 것으로 나타났다.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제도 사용도 빠르게 늘고 있다.

고용노동부는 지난해 출산휴가, 육아휴직 등 일·육아지원 제도를 이용한 수가 25만6771명으로 전년보다 7.2%(1만7242명) 늘었다고 23일 밝혔다.

지난해 육아휴직자는 13만2535명으로 전년 대비 5.2%(6527명) 증가했다. 육아휴직을 쓴 남성은 4만1829명으로 전체 육아휴직 급여 수급자의 31.6%를 차지했다. 남성 육아휴직자 수는 2015년 4872명(5.6%)에 비해 9배가량 늘어 제도 시행 이래 처음으로 30%를 돌파했다.

그러나 남성 육아휴직자는 여전히 여성 육아휴직자 수(9만706명)의 절반에 못 미친다. 육아휴직 평균 사용 기간은 8.8개월로 여성은 9.4개월, 남성은 7.6개월을 썼다. 여성의 80%, 남성의 46.5%가 자녀가 생후 12개월 이내(0세)일 때 육아휴직을 사용했다.

노동부는 지난해 ‘부모함께 육아휴직제’ 대상이 확대된 것이 남성 육아휴직 비율이 상승에 영향을 미쳤다고 분석했다. 이 제도는 부모 모두 자녀 생후 18개월 이내 6개월 육아휴직을 쓰면 월 최대 450만원(부부 합산 최대 900만원)까지 육아휴직급여를 받도록 한 것이다. 지난해 5만1761명이 사용해 전년 대비 2배 이상 증가했다.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제도를 사용한 노동자 수도 2017년 이후 지속적으로 늘어나는 추세다. 지난해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급여를 받은 사람은 2만6627명으로 전년 대비 14.8% 늘었다. 300인 이상 기업(9358명·35.1%) 다음으로 10인 미만 소규모 기업(6380명·24%)에서 이 제도를 사용한 비율이 높았다.

한편 여성 노동자가 출산 전 직업교육이나 훈련을 받으면 출산 후 노동시장을 이탈하는 비율이 낮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한국노동연구원 ‘월간 노동리뷰’ 2월호에 담긴 ‘여성 취업자의 인적자본 투자와 경제활동 지속성’ 보고서를 보면, 여성들은 첫째 자녀를 출산하면 취업 가능성이 37.2%포인트 감소했다. 출산이 여성의 경력단절에 상당 부분 영향을 미친다고 해석된다.

그러나 출산 전 직업교육·훈련을 받은 여성들은 받지 않은 여성들보다 출산 후 취업 상태를 이어갈 가능성이 17.3%포인트 높았다. 자녀 출산은 여성의 주당 근로시간을 15.8시간 감소시켰지만 출산 전 교육·훈련을 받은 여성들은 주당 근로시간이 8.4시간 줄었다.

보고서는 “출산 전 직업 교육·훈련 참여는 경력단절 위험을 크게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청년 여성들이 취업 역량을 강화하고 본인의 인적자본 수준보다 하향 취업하지 않도록 컨설팅을 포함한 선제적 고용서비스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경향신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364 김민석 "이재명 1위 지지율, 시대 부응하는 리더십에 대한 평가" new 랭크뉴스 2025.02.23
46363 교황청 “교황, 여전히 병세 위중…한때 호흡곤란 겪어” new 랭크뉴스 2025.02.23
46362 올해 사라지는 초중고 ‘49곳’…입학생 없는 초등학교도 속출 new 랭크뉴스 2025.02.23
46361 [단독]민주당 “시·도당, 3월7일까지 지역 공약 보고하라” 대선 모드 돌입 new 랭크뉴스 2025.02.23
46360 전광훈 눌러놓은 캡 따버린 국힘…음모론 기획에 육사 출신 포함 new 랭크뉴스 2025.02.23
46359 '가짜 엄마' 시신에 분노 폭발…이스라엘, 인질 석방 전격 연기 new 랭크뉴스 2025.02.23
46358 中, 세계 TV 출하량 한국 제치고 선두… 매출 점유율도 추격 new 랭크뉴스 2025.02.23
46357 기준금리 내려도 대출금리 고공행진 왜?…당국, 산출 근거 직접 따진다 new 랭크뉴스 2025.02.23
» »»»»» 지난해 남성 육아휴직자 30% 넘었다지만···여성, 출산 후 취업 가능성 37.2%p ↓ new 랭크뉴스 2025.02.23
46355 머스크 “지난주에 뭐 했나, 이메일 회신 안 하면 사직 간주” 연방정부 직원들 압박 new 랭크뉴스 2025.02.23
46354 인명 수색 위해 문 강제로 열었다가…소방서 ‘800만원 배상’ 처지 new 랭크뉴스 2025.02.23
46353 노철학자도 대학생도 "대한민국 체제 수호"... 그들은 왜 尹을 옹호했나 [문지방] new 랭크뉴스 2025.02.23
46352 이재명에 힘 실어주는 김경수? “중도보수 발언, 제 말씀과 같은 취지” new 랭크뉴스 2025.02.23
46351 트럼프 "가자구상 강요안해"…아랍권 반발에 한발 물러나 new 랭크뉴스 2025.02.23
46350 대치동 제이미맘에 '긁'?…'거울치료 콘텐츠' 와글와글 new 랭크뉴스 2025.02.23
46349 베를린영화제 황금곰상에 ‘드림스’…홍상수 수상 불발 new 랭크뉴스 2025.02.23
46348 이재명 “민주당은 중도정당…與, 형식적 보수역할조차 포기” new 랭크뉴스 2025.02.23
46347 내 퇴직연금에 무슨일이…석달새 은행→증권사 4000억 '머니무브' new 랭크뉴스 2025.02.23
46346 수입 맥주값 또 오른다, 아사히 최대 20% 인상…소비자 ‘한숨’ new 랭크뉴스 2025.02.23
46345 기준금리 낮춰도 은행 ‘요지부동’···금감원 “대출금리 자료 가져와라” new 랭크뉴스 2025.02.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