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헌재 졸속” 비판하며 탄핵 기각 주장
“당이 중도층과 멀다는 말 처음 들어”
정치 행보 주장엔 “해석은 자유”
“당이 중도층과 멀다는 말 처음 들어”
정치 행보 주장엔 “해석은 자유”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이 21일 국회에서 열린 국민안전점검 당정협의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왼쪽은 권성동 원내대표. 연합뉴스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은 21일 “감옥 가서 그렇게 고생한 분이 나와서 또 계엄이다? 그건 아닐 것 같다”고 밝혔다. 윤석열 대통령이 탄핵 기각 후 복귀해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복귀에 대한 국민 불안을 낮추려는 의도로 해석된다.
김 장관은 이날 국회에서 열린 국민안전점검 당정협의회에 참석한 후 기자들에게 ‘대통령이 직무에 복귀하면 제2의 비상계엄을 할 것이란 우려가 있다’는 질문을 받고 이같이 답했다. 그는 “계엄 한 번 선포하고 저렇게 고생하는데, 온갖 욕을 먹고”라며 “자기 평생에 이런 고생 해본 적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나는 감옥가는 걸 그렇게 어렵게 생각 안합니다만”이라고도 덧붙였다. 과거 민주화운동과 노동운동을 하며 여러차례 투옥됐던 자신과 대비해 설명한 것이다.
김 장관은 윤 대통령 탄핵 인용에 대비한 ‘플랜B’를 대비해야 한다는 주장에 대해선 “대통령이 돌아오길 바라고 있다”며 “대통령이 돌아오셔서 국정이 빠른 시간 내에 안정을 찾고 정상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그는 헌법재판소가 윤 대통령 탄핵심판의 변론을 오는 25일 종결하기로 한 것을 두고 “졸속 재판”이라며 “자기들 편의에 따라 5000만 국민이 민주적 선거로 뽑은 대통령을 파면하고 그만두라고 하는 것은 국민 주권을 무시하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헌재를 비판하며 윤 대통령 탄핵이 기각돼 대통령직에 복귀해야 한다는 주장을 이어간 것이다.
헌재를 비판하는 과정에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형사 재판 속도와 비교하는 발언을 내놓기도 했다. 김 장관은 “반면에 이재명 재판은 몇 년째냐. 대장동 사건 등도 너무 안한다”면서 “재판 속도가 얼마나 늦어지는지 국민들이 느끼고 있다”고 주장했다. 현직 국무위원인 김 장관의 발언이 헌재의 탄핵 심판에 더해 야당 대표 재판 등 정치적 사안들로 점차 확장되는 모습이다
김 장관은 당이 윤 대통령과 거리를 두지 않아 중도층 이탈이 가속화한다는 지적에 대해선 “당이 중도층하고 거리가 멀다는 말은 처음 듣는다”며 “그렇다면 당 지지도가 이렇게 (높게) 나올 수 없는 것 아니냐”고 반박했다.
김 장관은 다만 “탄핵이 되든 안 되든 국론이 분열될 우려를 어떻게 잘 수습하고 통합하느냐는 부분에 대해 굉장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본다”고 말했다.
김 장관은 전날 여·야·정 대표가 모인 국정협의회 4자 회담에서 이 대표가 반도체특별법의 주52시간 노동 예외조항을 반대한 것과 관련해 “우리나라 산업의 초격차 유지, 주력 산업의 발전을 이야기할 자격이 없다”고 비판했다.
김 장관은 조기 대선을 염두에 두고 언론 접촉면을 넓히며 정치 행보에 나섰다는 해석에 대해선 “해석은 자유”라며 “국민을 만나는 심정으로 기자를 만나는 것”이라고 말했다. 여론조사상 여권 대선주자 1위를 달리고 있는 김 장관은 최근 들어 당정협의회, 대정부질문,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전체회의 등 참석을 위해 잇따라 국회를 찾으며 기자들의 질의에 답하고 있다. 정치적 중립 의무가 있는 국무위원이지만 정치적인 사안에도 거침없이 자신의 의견을 내고 있다. 김 장관이 현직 장관인 점을 자신의 정치 행보에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