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헌재 변론 종결에 “졸속” 기각 주장
“당이 중도과 멀다는 말 처음 들어”
대선용 언론 접촉 ‘정치 행보’ 묻자
“국민 만나는 심정으로 기자 만나”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이 21일 국회에서 열린 국민안전점검 당정협의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왼쪽은 권성동 원내대표. 연합뉴스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은 21일 “감옥 가서 그렇게 고생한 분이 나와서 또 계엄이다? 그건 아닐 것 같다”고 밝혔다. 윤석열 대통령이 탄핵 기각 후 복귀해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복귀에 대한 국민 불안을 낮추려는 의도로 해석된다.

김 장관은 이날 국회에서 열린 국민안전점검 당정협의회에 참석한 후 기자들에게 ‘대통령이 직무에 복귀하면 제2의 비상계엄을 할 것이란 우려가 있다’는 질문을 받고 이같이 답했다. 그는 “계엄 한 번 선포하고 저렇게 고생하는데, 온갖 욕을 먹고”라며 “자기 평생에 이런 고생 해본 적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나는 감옥가는 걸 그렇게 어렵게 생각 안합니다만”이라고도 덧붙였다. 과거 민주화운동과 노동운동을 하며 여러차례 투옥됐던 자신과 대비해 설명한 것이다.

김 장관은 윤 대통령 탄핵 인용에 대비한 ‘플랜B’를 대비해야 한다는 주장에 대해선 “대통령이 돌아오길 바라고 있다”며 “대통령이 돌아오셔서 국정이 빠른 시간 내에 안정을 찾고 정상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그는 헌법재판소가 윤 대통령 탄핵심판의 변론을 오는 25일 종결하기로 한 것을 두고 “졸속 재판”이라며 “자기들 편의에 따라 5000만 국민이 민주적 선거로 뽑은 대통령을 파면하고 그만두라고 하는 것은 국민 주권을 무시하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헌재를 비판하며 윤 대통령 탄핵이 기각돼 대통령직에 복귀해야 한다는 주장을 이어간 것이다.

헌재를 비판하는 과정에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형사 재판 속도와 비교하는 발언을 내놓기도 했다. 김 장관은 “반면에 이재명 재판은 몇 년째냐. 대장동 사건 등도 너무 안한다”면서 “재판 속도가 얼마나 늦어지는지 국민들이 느끼고 있다”고 주장했다. 현직 국무위원인 김 장관의 발언이 헌재의 탄핵 심판에 더해 야당 대표 재판 등 정치적 사안들로 점차 확장되는 모습이다

김 장관은 당이 윤 대통령과 거리를 두지 않아 중도층 이탈이 가속화한다는 지적에 대해선 “당이 중도층하고 거리가 멀다는 말은 처음 듣는다”며 “그렇다면 당 지지도가 이렇게 (높게) 나올 수 없는 것 아니냐”고 반박했다.

김 장관은 다만 “탄핵이 되든 안 되든 국론이 분열될 우려를 어떻게 잘 수습하고 통합하느냐는 부분에 대해 굉장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본다”고 말했다.

김 장관은 전날 여·야·정 대표가 모인 국정협의회 4자 회담에서 이 대표가 반도체특별법의 주52시간 노동 예외조항을 반대한 것과 관련해 “우리나라 산업의 초격차 유지, 주력 산업의 발전을 이야기할 자격이 없다”고 비판했다.

김 장관은 조기 대선을 염두에 두고 언론 접촉면을 넓히며 정치 행보에 나섰다는 해석에 대해선 “해석은 자유”라며 “국민을 만나는 심정으로 기자를 만나는 것”이라고 말했다. 여론조사상 여권 대선주자 1위를 달리고 있는 김 장관은 최근 들어 당정협의회, 대정부질문,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전체회의 등 참석을 위해 잇따라 국회를 찾으며 기자들의 질의에 답하고 있다. 정치적 중립 의무가 있는 국무위원이지만 정치적인 사안에도 거침없이 자신의 의견을 내고 있다. 김 장관이 현직 장관인 점을 자신의 정치 행보에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경향신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5648 머스크 “미국 정부 금괴 보관소 비리 투어를 실시하겠습니다” 공무원 때리기 2탄 돌입 [이런뉴스] 랭크뉴스 2025.02.21
45647 한동훈 “국정원에 친구 없다”…윤석열 쪽 주장 ‘홍장원 보좌관 친구설’ 부인 랭크뉴스 2025.02.21
45646 방미 최태원 회장 “양국 첨단기술·미래가치 선도하는 파트너십 도약해야” 랭크뉴스 2025.02.21
45645 20여년전 김해 뒤집은 공포의 '성폭행 목사'…22년 만기출소 랭크뉴스 2025.02.21
45644 트럼프가 145년 된 대통령 책상 교체한 이유 랭크뉴스 2025.02.21
45643 국방부, 3,300여 명 사직 전공의 올해부터 4년간 분산 입영 랭크뉴스 2025.02.21
45642 "평범한 일상도 비난"... 김새론 사망 전에도, 후에도 언론은 잔인했다 랭크뉴스 2025.02.21
45641 오세훈 “이재명 대선 출마 안 돼…대선 유리해 개헌에 침묵” 시정질문서 공세 랭크뉴스 2025.02.21
45640 尹탄핵 찬성 60%·반대 34%…중도층서 69%가 찬성[한국갤럽](종합2보) 랭크뉴스 2025.02.21
45639 고려아연 경영권 분쟁, 내달 정기주총서 판가름…美도 향방에 촉각 랭크뉴스 2025.02.21
45638 오세훈 '중증외상센터 예산 삭감' 주장에‥박주민 "허위발언, 국회 차원 대응" 랭크뉴스 2025.02.21
45637 ‘23명 사망 아리셀 화재’ 박순관 대표 보석 석방 랭크뉴스 2025.02.21
45636 당정, 선원들에게 구명조끼 무상 지급하기로 랭크뉴스 2025.02.21
45635 "韓, 대미 투자액 1600억 달러 …연봉 10만 달러 이상 일자리 80만개 창출" 랭크뉴스 2025.02.21
45634 윤 대통령의 청문회 불출석 사유서에는…“의무 없어” [지금뉴스] 랭크뉴스 2025.02.21
45633 전공의 ‘입대 러시’에 국방부 “최대 4년 기다려!”… 3300여명 분산 배치 계획 랭크뉴스 2025.02.21
45632 [단독]국제금융 요동치는데…최상목, 'G20재무회의'도 못간다 랭크뉴스 2025.02.21
45631 "역시 큰 정치인" "다 털고 가자"‥이재명-박용진 만남 보니 [현장영상] 랭크뉴스 2025.02.21
» »»»»» 김문수 “윤, 그 고생하고 또 계엄 하겠나…난 감옥가는 걸 어렵게 생각 안해” 랭크뉴스 2025.02.21
45629 이지아 "친일파 후손으로서 사죄… 재산은 환수해야" 랭크뉴스 2025.0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