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 대통령 탄핵심판 마지막 증인신문]
"홍장원, 통화를 체포 지시와 연결해 내란 공작"
정치인 등 체포·위치 추적엔 "잘못됐다" 선긋기
탄핵 반대 지지층에 "복귀해 대한민국 이끌겠다"
"홍장원, 통화를 체포 지시와 연결해 내란 공작"
정치인 등 체포·위치 추적엔 "잘못됐다" 선긋기
탄핵 반대 지지층에 "복귀해 대한민국 이끌겠다"
윤석열 대통령이 20일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 대심판정에서 열린 탄핵심판 10차 변론기일에 출석해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윤석열 대통령은 탄핵심판 마지막 증인신문에서도 '내란 공작'을 주장하며 대통령직에 복귀할 것이라고 밝혔다. '체포 대상 메모'와 관련한 홍장원 전 국가정보원 1차장 진술에 대해선 "내란과 탄핵 공작"이라고 규정했으며, 지지자들을 향해선 "빨리 직무에 복귀해 대한민국을 이끌어가겠다"고 했다.
윤 대통령은 20일 탄핵심판 10차 변론기일에 출석해 홍 전 차장의 증인신문 뒤 발언 기회를 얻어 "(홍 전 차장이) 저와 통화한 걸 가지고 대통령의 체포 지시라는 것과 연결해 내란과 탄핵 공작을 했다는 게 문제"라며 목소리를 높였다.
홍 전 차장이 여인형 전 국군방첩사령관으로부터 들었다는 '체포 명단'에 대해선 "뭘 잘 모르는 사람의 부탁을 받아서 '에이, 미친X 말도 안 되는 소리를 하네'라고 했다면서 그 메모를 만들어 갖고 있다가 (지난해) 12월 5일 사표 내고, 6일 해임되니까 대통령의 체포 지시라고 엮어낸 게 이 메모의 핵심"이라고 주장했다. 자신은 계엄 당일 홍 전 차장에게 간첩 검거와 관련해 방첩사 지원을 지시했을 뿐이라는 것이다.윤 대통령은 정치인 등 주요 인물 체포와 위치추적 지시는 여 전 사령관이 수사 개념을 잘 몰라 자체적으로 벌인 일인 듯 설명했다. 윤 대통령은 지난해 12월 4일쯤 여 전 사령관이 조지호 경찰청장에게 위치확인 및 체포를 부탁했다는 기사를 보고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에게 "어떻게 된 거냐"고 물어봤다고 했다. 자신은 사전에 이를 인지하지 못했다는 취지다. 윤 대통령은 "
김 전 장관이 (말하길) 여인형 사령관은 작전통이어서 수사 개념 체계가 없다 보니 동향 파악을 위해 위치 확인을 했는데, 경찰에서 그것은 현재 사용하는 휴대폰을 알지 않는 한 어렵다며 딱 잘랐다고 이야기를 했다"며 "저도 그런 부분에 대해선 정말 불필요한 일이고 잘못됐다고 생각한다"고 선을 그었다.
지난해 비상계엄 전후로 김건희 여사가 조태용 국가정보원장과 문자메시지를 주고받은 사실을 두고는 본인도 내용이 궁금하다는 해명을 내놨다. 윤 대통령은 "처와 국정원장 간의 휴대폰 문자를 주고받은 것에 대해 저도 알 수 없다"며 "휴대폰을 바꾸고 원래 폰을 없애서 통화내역이 어떤 것인지 궁금하다"고 말했다. 혈액암 투병 중인 조 청장이 증인신문을 마친 뒤엔 "건강 빨리 회복하시길 바란다"고 말하기도 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증인신문이 끝난 뒤 대통령직에 복귀하겠다는 메시지를 공개하기도 했다. 윤 대통령은 석동현 변호사를 통해 자신을 지지하고 탄핵에 반대하는 '대통령 국민변호인단'에게
"어른세대, 기성세대, 청년세대가 함께 세대 통합을 통해 더 나은 미래를 만들어가는 데 힘을 써달라. 그렇게 하면 내가 빨리 직무 복귀를 해서 세대통합의 힘으로 대한민국을 이끌어가겠다"는 메시지를 남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