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 ▶
윤 대통령은 어제 체포 명단의 존재를 부인하며 홍장원 전 차장이 자신의 격려 전화를 체포지시로 만들어냈다는 주장을 폈습니다.
계엄 당시 여인형 전 사령관이 홍 전 차장에게 불러준 명단은, 체포와는 관계 없는 단순한 위치 파악 목적이었다는 건데요.
맞는 얘기인지, 팩트체크 <알고보니>에서 그동안의 검찰 조사와 헌재 변론에서 드러난 사실들을 확인해 봤습니다.
이준범 기자입니다.
◀ 리포트 ▶
체포명단의 존재를 입증하는 홍장원 전 국정원 1차장의 메모는 비상 계엄 당시 여인형 전 사령관이 전화로 불러준 명단을 받아적은 겁니다.
어제 헌재 변론에서 윤 대통령은 여 전 사령관이 전달한 이름이 체포와는 관계 없는 단순한 위치 파악 목적이라고 주장했습니다.
[윤석열 대통령 (어제)]
"여인형은 경찰에다가 물어보니 경찰이 어렵다고 하니, 국정원은 뭐 미행이라도 하고 뭘 하니, 그거 뭐 위치 확인하는 데 좀 도움이 될까 해서 한 얘기를 이렇게 엮어가지고 대통령의 체포 지시로 이거를 만들어 냈다는 것이…"
하지만 이같은 주장은 이미 헌법재판소 변론 과정에서 부정된 내용입니다.
심판 증거로 채택된 여 전 사령관의 검찰 진술 조서에는 "솔직히 말씀드리겠다"며 비상계엄 직후 14명을 특정해 체포해야 한다는 지시를 받았다는 내용이 담겼습니다.
[장순욱/국회 측 대리인(9차 변론)]
"14명을 특정해서 체포하라는 지시는 계엄 선포 직후 김용현으로부터 들은 것이나, 대통령이 평소 비상조치를 언급하면서 이 사람들에 대한 조치를 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렇게 진술하고 있고…"
자신이 전파한 명단이 위치 확인용이 아니라 체포 목적이었다는 걸 당사자가 스스로 인정한 겁니다.
홍 전 차장 이외에도 명단을 전달 받은 다른 관련자들의 증언 역시 일관됩니다.
여 전 사령관이 15명 명단을 부르며 "이 사람들을 체포할 건데 위치파악을 해달라 했다"고 검찰에서 진술한 조지호 경찰청장.
어제 헌재에 출석해 이에 대한 직접 증언은 거부했지만, 당시 사실대로 말한 것이 맞다고 인정했습니다.
[조지호/경찰청장(어제)]
"<그리고 그때 질문에 사실대로 답변한 것은 맞아요?> 이건 각 조서별로 제가 그렇게 다 서명 날인했습니다."
김대우 전 방첩사 수사단장은 국정조사 청문회에서 여 전 사령관이 불러준 14명을 수첩에 받아적었고, 이는 체포 명단이었다고 발언했습니다.
[김대우/전 방첩사 수사단장(지난 6일)]
"정확하게 '체포'라는 말은 없었는데 '잡아서 수방사로 이송시켜라'라고…"
계엄 직후 이같은 명단을 여 전 사령관에게 내려보낸 김용현 전 국방장관은 지난달 헌재에 나와 "동정 파악용"이었다며 윤 대통령과 같은 주장을 펼쳤는데요.
재판관의 추궁이 거듭되자 결국 김 전 장관조차 체포 가능성을 시인했습니다.
[김용현/전 국방부장관 (4차 변론)]
"동정을 이제 확인하다 보면 어떤 위반 우려가 있고 하면 사전에 예방 차원에서 차단을 해야 될 것이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계속 하면 그거는 필요하면 체포가 이루어질 수밖에 없는 상황 아니겠습니까?"
홍 전 차장 메모의 신빙성을 흔들려던 윤 대통령의 주장은 이처럼 여러 증인과 증거들로 반박된다는 점에서, 오히려 체포명단의 실체만 더 확인해준 셈입니다.
알고보니 이준범입니다.
영상편집: 김지윤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email protected]
▷ 카카오톡 @mbc제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