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정 국정협의회 첫 회의가 20일 오후 국회 사랑재에서 열려 참석자들이 기념사진을 찍은 뒤 자리로 이동하고 있다. 왼쪽부터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권영세 국민의힘 비대위원장·우원식 국회의장. 김성룡 기자
여·야·정 대표가 20일 국정협의회 ‘4자 회담’을 개최했지만 추가경정예산(추경)과 반도체특별법의 ‘주52시간 근로 특례’·연금개혁 등 쟁점 현안에서 구체적인 합의점을 도출하지 못했다.
다만 추경 편성 필요성에 대해서는 공감대가 확인돼 추후 실무협의를 통해 논의를 이어가기로 했다. 반도체법과 연금개혁도 실무협의에서 추가 논의하기로 했다.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우원식 국회의장·권영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이날 오후 국회 사랑재에서 116분간 회담을 진행했다.
4자 대표가 격론을 벌였지만 쟁점 현안에서 결과물을 도출하지 못하면서 이날 공동 합의문은 나오지 않았다.
권 위원장은 회담 뒤 기자들과 만나 추경 합의가 이뤄지지 않았다며 “추경 필요성에 대해 계속 논의한다고 돼 있고 나중에 그 발표가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반도체특별법에 대해선 “그것은 아쉽게도 좀 미뤄졌다”고 했다.
박태서 국회 공보수석은 “추경의 필요성에 공감했다”며 “추경은 민생 지원·AI(인공지능) 등 미래산업 지원·통상 지원 등 3가지 원칙에 입각해 시기와 규모 등 세부 내용은 실무협의에서 추가 논의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또 “연금특위와 연금개혁은 실무협의회에서 추가 논의하기로 했다”며 “반도체법에 대해 깊이 있는 논의를 진행했고 추후 실무 협의에서 추가 논의하기로 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