野 불참 국방위 긴급 현안질의
“기자회견 ‘의원 끌어내라’ 답변
해명 차원 표현 잘못 전달된 것”
“기자회견 ‘의원 끌어내라’ 답변
해명 차원 표현 잘못 전달된 것”
김현태 육군특수전사령부 707특수임무단장이 17일 국회 국방위원회 전체회의에서 국민의힘 소속 위원들의 질의에 답하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등 야당 의원들은 이날 회의에 불참했다. 왼쪽은 김선호 국방부 장관 직무대행. 이병주 기자
김현태 육군특수전사령부 707특수임무단장이 12·3 비상계엄 당시 윤석열 대통령이 아닌 곽종근 전 특전사령관에게서 ‘국회 단전 지시’를 받았다고 밝혔다. 김 단장은 지난해 12월 기자회견에서 ‘국회의원을 끌어내라는 지시를 받았다’는 취지로 답했던 것에 대해서도 “잘못 전달된 것”이라고 주장했다.
김 단장은 17일 국회 국방위원회 현안질의에서 ‘단전에 대한 대통령 지시가 있었느냐’는 국민의힘 소속 성일종 국방위원장의 질문에 “아니다”고 답변했다. 그러면서 “단전은 곽 전 사령관이 대통령 전화를 받고 스스로 무언가를 하기 위해 생각해낸 여러 가지 중 한 가지”라고 덧붙였다.
앞서 전날 민주당 국조특위 위원들은 CCTV 영상을 근거로 국회 일부에 약 5분간 단전이 이뤄졌고, 이는 윤 대통령이 계엄 해제 의결을 저지하려 했다는 주요 증거라고 주장했다.
이날 현안질의는 김 단장이 국조특위 증인으로 채택되지 않은 데 대한 항의 성격이 짙었다. 야당의 곽 전 사령관 회유 의혹을 부각하기 위한 의도도 있었다. 민주당 허영·부승찬 의원은 항의 발언을 한 뒤 곧바로 퇴장했고, 현안질의는 여당 단독으로 진행됐다. 김 단장은 증인이 아닌 참고인 자격으로 출석했다.
김 단장은 “지난해 12월 10일 민주당 전문위원이라는 사람이 (특전)사령관과 한참 이야기를 했다. ‘이미 대세는 기울었다. 민주당이 지켜줄 것이다’ 이런 말을 많이 했고, 이후 민주당 박범계·부승찬 의원이 왔다”며 회유한 정황이 있다고 주장했다.
김 단장은 지난해 12월 9일 용산 전쟁기념관에서 열었던 기자회견 당시 ‘국회의원 끌어내라는데 가능하겠느냐’는 곽 전 사령관의 전화를 받았다고 한 발언에 대해서도 해명했다. 그는 “기자들에게 해명 차원에서 중간에 들었던 뉴스를 종합해 표현했는데 이런 것들이 좀 잘못 전달됐다”며 “군검찰 조사에서 상세히 답변했다”고 말했다.
또 “곽 전 사령관의 (검찰) 자수서 내용을 확인해봤는데, ‘의사당 안에 있는 사람들 빨리 데리고 나와라’고 적혀 있었다”며 “‘국회의원’이나 ‘본회의장’ ‘끌어내라’는 단어는 없었다”고 말했다.
김선호 국방부 장관 직무대행은 이날 ‘반쪽 현안질의’에 대해 “여야 위원들이 다 있는 상태에서 국방위가 진행될 수 있도록 정중히 건의드린다”고 발언했다. 김 단장은 마지막 발언 기회를 얻자 “지난해 12월 4일 복귀했을 때 제가 받고 싶은 전화는 딱 하나였다”며 “그러나 부대원들 괜찮은지, 다친 사람은 없는지 아무도 전화하지 않았다”고 토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