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13일 정부세종청사 교육부 대회의실에서 의대 총장들과 영상 간담회를 열고 있다. 연합뉴스

다음 달 전국 의과대학 개강을 앞두고 정부가 각 대학에 “수업에 불참하는 학생들은 학칙에 따라 엄격히 조치해달라”고 당부했다. 기존 재학생뿐만 아니라 올해 입학하는 신입생까지 수업 거부에 동참할 것이라는 예상에 선제 대응에 나섰다는 분석이다.



“1학년 휴학, 명분 없다”…강경 발언 이어간 李 부총리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13일 오전 정부세종청사에서 전국 의대 총장들과 영상 회의를 열고 각 대학의 학생 복귀, 교육 준비 상황을 논의했다. 이날 이 부총리는 올해 입학하는 1학년에 대한 학사 관리를 강조했다. 이 부총리는 “2025학년도 신입생이 반드시 수업에 참여하도록 하고 불참 시에는 학칙에 따라 엄격히 조치해주시기 바란다”고 했다.
의대 정원 2000명 증원에 반발한 전국 의대생들의 휴학이 해를 넘겨 2년째 계속되고 있는 가운데 5일 오후 대전의 한 의과대학 전용 강의실이 인적없이 썰렁하다. [프리랜서 김성태] 2025.02.05.
그는 대학 총장들에게 “작년에 이어 올해도 학생들이 복귀하지 않는다면 향후 학생들이 복귀를 희망한다고 하더라도 원하는 시점에 복귀가 어려울 것이라는 점을 학생, 학부모에게 명확하게 인지시켜 주시기를 바란다”고 덧붙였다.

복수의 참석자에 따르면 이 부총리는 이 자리에서 “25학번은 증원 사실을 알고 입학했기 때문에 휴학할 명분이 없고 용납할 수 없다”, “신입생 중심으로 학사 관리를 엄정하게 해야 한다” 등 엄격한 학사 관리를 당부했다. 이에 일부 대학 총장은 “신입생 교육 시 정부의 방침을 확실히 전달하겠다”며 호응했다.

이날 정부가 ‘원칙’을 거론하며 의대생 복귀를 압박하는 이유는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의대생들이 수업 거부 움직임을 보이기 때문이다.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학생협회(의대협) 등 의료계에 따르면 건국대, 전북대, 한양대, 순천향대, 한림대, 아주대, 고신대 등 7개 의대 학생 95% 이상이 1학기 휴학을 이어가겠다고 했다.

교육부가 신입생 학사관리를 강조하는 건 학칙상 휴학이 허용되지 않는 학년이기 때문이다. 휴학 승인 없이 수업에 들어가지 않으면 출석일수 부족으로 유급을 받는다. 아울러 올해 신입생은 의대 정원의 확대되는 해 입학해 기존 재학생과 달리 수업 거부의 명분이 약하다고 보고 있다.



의대생은 요지부동, 의정 대화도 지지부진
정부의 의대 정원 증원 발표로 촉발된 의정 갈등이 꼭 1년을 맞은 6일 서울의 한 대학병원에서 의료진이 오가고 있다. 뉴스1

교육부와 강경숙 조국혁신당 의원실에 따르면 서울대·건양대를 제외한 대부분 의대는 신입생의 휴학을 허용하고 있지 않다. 원광·한양대는 올해 학칙 개정을 통해 신입생 휴학을 허용하면서 “2024학번에만 해당한다”는 전제 조건을 달았다. 고신대는 2025학번까지 적용한다.

교육부 관계자는 “올해도 학생들이 수업을 건너뛴다면 내년에 (1학년 과정) 수업을 들을 학생이 1만명이 넘는다”며 “이럴 경우 내년엔 제대로 된 의학교육을 장담할 수 없다”고 했다. 2학년 이상의 학생들의 집단 유급도 우려되는 건 마찬가지다. 강경숙 의원실에 따르면 전국 40개 의대 중 경북·동국·부산·한양·차의과대 등 5곳을 제외한 의대는 모두 3학기 연속 휴학을 학칙상 허용하지 않고 있다.

2026학년도 의대 정원 등을 놓고 의료계와 정부의 협의가 지지부진한 것도 이날 이 부총리 발언의 배경으로 거론된다. 지난달 10일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과 이 부총리, 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은 의정 갈등에 관련해 유감을 표명하고 의대 정원 등에 대해 ‘제로베이스’에서 협의를 시작하자고 의료계에 제안했다. 특히 이 부총리는 “2월까지는 의정 협상을 마무리 짓겠다”며 협상 시한을 제시했고 김택우 대한의사협회장과 비공개 회동을 하기도 했다.

하지만 이후 논의가 지지부진해지면서 정부 내 분위기도 다소 변화했다는 관측이 나온다. 이날 박민수 보건복지부 2차관은 의사 집단행동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에서 “정부는 의료 정상화를 위해 전공의 수련 특례, 병역특례 등 필요한 조치를 취해왔다”며 “그런데도 현재 의료계와 어떤 협의도 진행되고 있지 않아 유감”이라고 말했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2300 '가짜 수산업자'에 '대장동 비리'까지… '尹과 동고동락' 박영수의 몰락 랭크뉴스 2025.02.14
42299 "몸값 높을 때 나가자" 금융 전담 부장검사들 '릴레이 사직' 논란 랭크뉴스 2025.02.14
42298 본청 들어가 의원 끌어내라‥"분명히 들었다" 랭크뉴스 2025.02.14
42297 서천 빌라서 부패한 2세 아이 시신 발견…부모 긴급체포 랭크뉴스 2025.02.14
42296 김건희 여사 석사 논문 ‘표절’로 잠정 결론…남은 절차는? 랭크뉴스 2025.02.14
42295 트럼프, 국가별 상호관세 공식 발표···‘한국 위배’ 콕 집은 백악관 랭크뉴스 2025.02.14
42294 "백악관, 반도체법 보조금 재협상 추진"…삼전·SK 영향 주목 랭크뉴스 2025.02.14
42293 [단독] 노상원, 계엄 반발 때 ‘12·12 반란 연루’ 9사단·30사단 동원 계획 랭크뉴스 2025.02.14
42292 [Today’s PICK] 주택 거래도 ‘당근 시대’…직거래 실명인증 강화 랭크뉴스 2025.02.14
42291 트럼프 상호 관세, 4월부터 나라마다 차등 부과… 백악관 “한국도 미국 이용” 랭크뉴스 2025.02.14
» »»»»» "25학번 휴학 안돼"…의대 개강 앞두고 선제대응 나선 정부 랭크뉴스 2025.02.14
42289 미래 전쟁의 주역으로 자리 잡을 유무인복합운용체계 MUM-T[테크트렌드] 랭크뉴스 2025.02.14
42288 밸런타인데이 앞두고 초콜릿 원료 가격 폭등, 원인은 ‘기후 변화’ 랭크뉴스 2025.02.14
42287 美, 韓 콕 집어 “우리를 이용" 상호관세 영향권[이태규의 워싱턴 플레이북] 랭크뉴스 2025.02.14
42286 트럼프, 4월 1일 이후 상호관세 부과…”비관세 장벽도 고려” 랭크뉴스 2025.02.14
42285 "비관세 장벽도 고려"‥FTA 맺은 한국도 영향 랭크뉴스 2025.02.14
42284 [단독] ‘집안 가득 살충제 치익~’ 냄새 확인 온 주민 폭행 랭크뉴스 2025.02.14
42283 서천서 부패한 2세 여아 시신 발견…부모 긴급체포 랭크뉴스 2025.02.14
42282 바지에서 펑하고 불길…뒷주머니서 폭발한 휴대전화 [잇슈 SNS] 랭크뉴스 2025.02.14
42281 “개발하던 게임 들고 이직?”… 넥슨에 85억 물어주라는 ‘다크앤다커’ 판결 후폭풍 랭크뉴스 2025.02.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