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생 살해 교사 지난 6일도 난동
장학사 당일 오전 분리 권고했지만
관리 소홀로 몇시간 뒤 참사 발생
장학사 당일 오전 분리 권고했지만
관리 소홀로 몇시간 뒤 참사 발생
한 학부모와 어린 자녀가 11일 대전 서구의 초등학교에서 숨진 김하늘양을 추모하고 있다. 앞에는 김양을 추모하기 위한 국화 등이 놓여 있다. 범행을 저지른 40대 여교사는 평소에도 이상행동을 보여 범행 당일 교육지원청이 학교에 현장 조사까지 한 것으로 확인됐지만 즉각적인 분리 조치가 이뤄지지 않았고, 결국 몇 시간 만에 돌이킬 수 없는 상황이 벌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연합뉴스
학교에서 8살 김하늘양을 살해한 40대 여교사 A씨는 평소에도 동료 교사에게 신체적 위해를 가하는 등 이상행동을 보여 범행 당일 교육지원청이 학교에 현장 조사까지 한 것으로 확인됐다. 하지만 연가·병가 등 즉각적인 분리 조치가 이뤄지지 않았고, 결국 불과 몇 시간 만에 돌이킬 수 없는 상황이 벌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11일 대전시교육청에 따르면 지난 6일 A씨의 동료 교사인 B씨는 퇴근시간 불 꺼진 교실에서 A씨가 혼자 서성거리는 모습을 발견했다. A씨는 전날 컴퓨터가 업무 포털에 빠르게 접속이 되지 않는다는 이유로 컴퓨터 일부를 파손했다고 한다.
B씨는 교실 문을 열고 들어가 함께 퇴근을 할지, 혹은 대화를 할 것인지 물으며 그에게 말을 걸었다. 그러자 A씨는 느닷없이 B씨의 손을 강하게 붙잡고 헤드록을 거는 등 신체적 폭력을 가했다.
상황을 확인한 학교는 A씨에게 주의를 준 뒤 충격을 호소하는 B씨에게 사과하도록 지시했다. 사건 당일인 10일 오전에는 장학사 2명이 학교를 방문해 관련 사정을 청취하고는 분리 조치 시행 등을 학교 관리자에게 권고했다. 학교는 A씨가 교감 옆에서 근무하도록 조치했다.
하지만 즉각적인 분리 조치가 이뤄지지 않았던 탓에 그는 불과 몇 시간 뒤 돌봄교실이 끝나 학원으로 가려던 김양을 무참히 살해했다. 우발적인 상황을 대비해 빠른 조치가 이뤄졌다면 발생하지 않았을 사건이었던 셈이다. 시교육청은 학교 측의 분리 조치 시도가 있었는지를 아직까지 확인하지 못했다고 설명했다.
최재모 시교육청 교육국장은 이날 브리핑에서 “교육지원청이 상황을 파악하고 학교 관리자에게 ‘A씨에 대한 조치를 내릴 필요가 있다’는 내용을 전달했다”며 “학교가 분리 조치를 시도했는지는 학교 관리자가 빈소에 가 있어서 아직 파악하지 못했다. 상황이 안정되면 여러 사항을 구체적으로 파악해 재발방지 대책을 수립하겠다”고 말했다.
교원의 정신건강에 대한 교육 당국의 무관심한 태도 역시 도마에 오를 전망이다. 시교육청 측은 “여교사는 피해 학생과 전혀 관계 없었고, 지난주 난동 이후 교감 옆자리에서 업무를 하도록 하는 등 모니터링을 강화한 상태였다”며 “심각한 정신질환을 앓아왔다는 것도 지난해 휴직을 계기로 파악된 것으로 자세한 원인 등은 경찰 조사 결과를 봐야 한다”고 밝혔다.
유족들은 학교 책임도 강하게 주장하고 있다. 돌봄교실과 범행이 발생한 시청각실은 20m 거리밖에 되지 않았지만 실종 신고 후 학교 측에선 1시간 동안 시청각실을 찾아보지 않았다고 한다. 김양과 A씨를 최초로 발견한 사람은 학교 측 인사나 경찰이 아닌 김양 친할머니였다. 경찰은 “학교 안에 김양이 없다”는 학교 관계자들의 진술도 수색에 걸림돌이 됐다고 전했다. 또 사용 여부에 상관없이 마음대로 시청각실 문 열쇠를 가지고 올 수 있었던 것도 문제점으로 꼽힌다. 경찰은 유족과 상의해 A씨의 신상 정보를 공개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