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트럼프, 국가·업종 단위 관세 확대
상호관세, 또 다른 뇌관으로 떠올라
최상목은 “기회 요인도 존재” 밝혀
11일 현대자동차 울산공장 수출 선적 부두와 야적장에 완성차들이 대기하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10일(현지시간) 철강·알루미늄에 25%의 관세를 부과한다는 내용의 행정명령에 서명한 데 이어 자동차·반도체 등으로 관세 부과 대상 확대를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0일(현지시간) 철강·알루미늄에 대한 업종별 관세 카드를 공식화하면서 한국도 미국의 관세 폭격 사정권에 들어갔다. 미국이 ‘관세 균형’을 맞추기 위해 부과하기로 한 상호관세에 따른 영향도 배제할 수 없다. 전방위적으로 조여오는 미국의 관세 그물망에 한국의 입지가 줄어들 것이란 우려가 커지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이 이날 모든 철강·알루미늄 수입 제품에 25%의 관세를 부과한다는 내용의 포고문에 서명하면서 한국도 미국 시장에서 고율의 관세 부담을 안고 경쟁을 해야 하는 처지에 놓였다. 트럼프 1기인 2018년 철강·알루미늄에 대한 업종별 관세 도입 당시 한국이 얻었던 무관세 쿼터(263만t)도 무효화됐다. 특히 포고문에서 한국·아르헨티나 등과의 기존 무관세 합의가 효과적이지 못했다고 명시하면서 향후 비슷한 방식의 합의도 힘들어졌다. 최석영 법무법인 광장 고문은 “일절 예외가 없다는 백악관의 발언을 보면 기존처럼 무관세 쿼터를 확보하기는 쉽지 않은 상황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다음 타깃으로 꼽힌 자동차·반도체 업종의 관세 부과가 현실화할 경우 한국에 전해질 충격파는 더욱 커진다. 지난해 한국의 대미 자동차 수출액과 반도체 수출액은 각각 343억 달러, 103억 달러에 달했다. 합치면 같은 해 철강 업종 수출액(29억 달러)의 15배가 넘는다.


현재 트럼프 대통령은 후보 시절 거론했던 전 지역·업종 차원의 보편관세 대신 국가·업종 단위의 단계적 관세 확대를 추진하고 있다. 김종덕 대외경제정책연구원 무역통상안보실장은 “결국 취임한 후에는 인플레이션 압박 등 경제적인 부담을 고려해 예의주시하면서 정책을 펼치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공언한 상호관세도 ‘관세 전쟁’의 또 다른 뇌관이다. 상호관세란 미국의 관세율을 상대국이 부과하는 관세율과 동일하게 맞추는 조치다. 이날도 트럼프 대통령은 상호관세 조치를 11~12일 중 발표하고, 즉시 발효하겠다고 재확인했다. 미국산 자동차에 10%의 관세를 적용하는 등 상대적으로 높은 관세 장벽을 구축한 유럽연합(EU)을 겨냥한 조치로 풀이된다.

전문가들은 일단 상호관세는 한국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할 것으로 내다봤다. 기존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을 통해 상대국 상품의 98% 이상에 대해 관세를 면제하고 있기 때문이다. 다만 안심하긴 이르다는 의견도 있다. 최 고문은 “농산물 등 일부 분야에 여전히 관세가 남은 만큼 구체적인 적용 방향을 살펴봐야 한다”고 말했다.

정부는 미국의 이날 발표와 관련해 우려와 기회가 모두 존재한다고 평가했다.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는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대외경제현안간담회를 주재하고 “업계의 수익성 악화가 우려되지만 동등한 경쟁 조건으로 기회 요인도 존재한다”면서 “조치 발효일인 3월 12일까지 시간이 있는 만큼 우리 이익이 최대한 반영되는 방향으로 대미 협의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국민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5810 [Today’s PICK] 현금결제 유도, 탈루 의혹…스드메에 칼 빼든 국세청 new 랭크뉴스 2025.02.12
45809 가해 교사 “수업 못하게 해 짜증…어떤 아이든 상관없었다” new 랭크뉴스 2025.02.12
45808 미국 '윤리적 AI 개발 공동 선언' 결국 불참… "중국 견제 목적" 해석 new 랭크뉴스 2025.02.12
45807 장성규 "故오요안나·김가영 이간질? 유족이 적극적 해명 권유" new 랭크뉴스 2025.02.12
45806 트럼프, 요르단 국왕과 정상회담…'가자 구상' 수용 압박 new 랭크뉴스 2025.02.12
45805 "픽사 램프가 실사로?"…물잔 내미는 애플 '가정용 로봇' 뭐길래 new 랭크뉴스 2025.02.12
45804 [속보] 네타냐후 "15일 정오까지 인질 석방 안되면 교전 재개" new 랭크뉴스 2025.02.12
45803 EU수장, 美부통령에 "협력 기대"…철강관세 협상 의지(종합2보) new 랭크뉴스 2025.02.12
45802 이수정 "스트레스 휴직 교사, 복직 때 위험 행동 평가 받아야" new 랭크뉴스 2025.02.12
45801 한국인 사망 원인 1위 암… ‘이 음식’이 쥐약이랍니다 new 랭크뉴스 2025.02.12
45800 美재무, 조만간 우크라 방문…'지원 대신 희토류 확보'방안 논의 new 랭크뉴스 2025.02.12
45799 "커피 마시면 한숨도 못 자요" 이런 사람들 많더니…커피업계 '대박' 난 이유 new 랭크뉴스 2025.02.12
45798 트럼프 관세 폭탄 여파에 파월 등판까지…뉴욕증시, 보합 출발 new 랭크뉴스 2025.02.12
45797 선거인 명부 놓고 “해킹 가능” “불가”…선관위 보안 공방 new 랭크뉴스 2025.02.12
45796 "변기 뚜껑 꼭 닫아야겠네"…백신도 없다는 '이 바이러스' 10년 내 최고 유행 new 랭크뉴스 2025.02.12
45795 트럼프 “3월12일부터 철강·알루미늄에 25% 관세…한국 면세쿼터 폐기” new 랭크뉴스 2025.02.12
45794 힘들게 이겨낸 암…운동하고 '이 음식' 끊어야 사망률 낮아진다 new 랭크뉴스 2025.02.12
45793 마약 굴레 갇힌 영화 '추격자' 실존 인물... 필로폰 팔다 징역 3년 6개월 new 랭크뉴스 2025.02.12
45792 집 있으면 ‘로또 청약’ 못 넣는다 new 랭크뉴스 2025.02.12
45791 좌우로 핸들 꺾는 이재명… 탈이념 유연성인가 오락가락인가 new 랭크뉴스 2025.02.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