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자유한국당 의원들이 2019년 4월26일 저녁 고위공직자수사처 설치 입법안 등을 처리할 사법개혁특별위원회가 열릴 예정인 국회 회의실 앞을 점거하며 이상민 위원장 등 참석자 진입을 막고 있다. 강창광 기자 [email protected]

“의원님과 의회경호담당관실에 들어간 건 기억이 나는데, ‘빠루’(쇠 지렛대)를 같이 잡고 들어갔는지는….”

지난달 13일 서울남부지법 406호 대법정, 증인으로 선 당시 국회 경호 실무자는 기억을 더듬느라 진땀을 뺐다. 무려 6년 전인 2019년 4월 공직선거법 개정과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 신설 법안의 패스트트랙(신속처리안건) 지정을 두고 벌어진 국회 폭력 사태를 떠올려야 했던 탓이다. 전현직 국회의원이 다수 연루된 이 사건은 각종 ‘지연·방해 전략’ 속에 기소 이후 1심 재판만 5년 넘게 이어지고 있다.

10일 법조계 설명을 들어보면, 서울남부지법 형사합의11부(재판장 정도성)와 12부(재판장 당우증)는 각각 자유한국당(현 국민의힘)과 더불어민주당 패스트트랙 1심 재판만 2020년 1월부터 5년2개월째 진행 중이다. 이날 기준 한국당 쪽 35회, 민주당 쪽 33회 공판을 마쳤다. 박은정 조국혁신당 의원실이 대법원에서 받은 자료를 보면, 2020년 1월 공소장을 접수한 형사 공판 1심 처리 기간은 평균 5개월이었다.

재판에 넘겨진 의원과 보좌진, 당직자만 한국당 27명, 민주당 10명에 이른다. 한국당 쪽에선 황교안 전 대표와 나경원 의원 등이, 민주당 쪽에선 박범계 의원 등이 기소됐다. 특히 공동폭행 등 혐의만 적용된 민주당 쪽과 달리, 한국당 쪽 피고인들은 국회 회의를 방해한 혐의(국회법 위반)도 받는다. 혐의가 확정돼 500만원 이상 벌금형을 선고받으면 5년간 선거에 나갈 수 없다.

재판에서는 잦은 불출석, 증거 능력 물고 늘어지기 등 판결을 늦추려는 각종 ‘꼼수’가 등장한다. 한국당 패스트트랙 공판기일에 피고인이 모두 출석한 공판은 세번에 불과하다. 민주당 쪽 공판은 피고인 출석률은 높으나, 일곱차례 기일이 변경됐다.

지난해 11월엔 김성태 전 한국당 의원이 “건강검진으로 불출석하겠다”고 했다가, 재판부로부터 “다른 피고인들이 들으면 무슨 생각을 하겠느냐”는 지적을 들었다. 올해 1월에는 정갑윤 전 한국당 의원(현 한국교직원공제회 이사장)이 “오후에 결재할 서류가 있다”는 이유로 불출석하기도 했다. 지난 1월13일 공판 때도 현역 의원 6명(나경원·김정재·송언석·윤한홍·이만희·이철규)은 오전에 출석했다가, 오후에는 비공개 의원총회 참석을 이유로 자리를 떠났다.

증거 능력을 세세하게 물고 늘어지는 전략도 자주 등장한다. 한국당 쪽 변호인들은 검사가 제출한 증거인 당시 생중계 유튜브 영상을 두고 “내려받은 영상이라 편집되지 않았다는 걸 검찰이 증명해야 한다”(동일성)거나 “영장에 의해 압수수색한 뒤 법원에서 재생할 때까지 봉인해야 한다”(무결성)고 문제 삼았다. 국회 폐회로텔레비전(CCTV) 영상과 방송사 녹화영상 등을 두고도 비슷하게 다퉜다. 이들 동영상 증거는 인터넷방송사 관계자까지 증인으로 부르고 나서야 수개월 만에 채택됐다.

피선거권 박탈로 이어질 수 있는 판결이 무한정 늦춰지면서, 정치인 피고인들은 다음 선거에 출마해 당선하는 사례도 속출했다. 재판 지연 사이 치러진 두번의 총선과 한번의 지방선거에서 당선자는 양당 합쳐 현직 의원이 8명(나경원·김정재·송언석·윤한홍·이만희·이철규·박범계·박주민), 시·도지사가 2명(김태흠·이장우)이다. 사건 당시 한국당 원내대표였던 나경원 의원은 그 뒤 세차례 선거에 출마해 두차례 낙선 뒤 22대 총선에서 당선됐다.

세금도둑잡아라 공동대표인 하승수 변호사는 “헌법기관인 국회를 점거하고, 특수공무집행방해까지 한 중대한 사건 재판을 지연시켜 넘어갈 수 있다면 누가 법치주의를 믿을 수 있겠느냐”며 “피선거권이 박탈됐을 수도 있는 사람들이 당선돼 선거제도와 민주주의 또한 훼손하는 결과를 낳는다”고 짚었다. 그러면서 “법원이 집중심리를 해서라도 빨리 끝내지 않으면, 힘 있는 정치인은 죄를 저질러도 처벌받지 않는다는 나쁜 선례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법원은 매달 재판을 열어 하루 2명씩 증인신문을 마치면 연말에 결심(심리 종결)이 가능할 것으로 보지만, 피고인 불출석 등으로 2020년 이후 매달 재판이 이뤄진 해는 단 한번도 없었다. 올해 안에 선고가 이뤄질지도 미지수인 셈이다.

한겨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7673 美국무부 "北 완전한 비핵화 원칙 재확인…최상목 대행 신뢰" 랭크뉴스 2025.02.16
47672 “팔란티어 살 걸” 추락하는 테슬라··서학개미는 그래도 ‘더블’로 산다[경제뭔데] 랭크뉴스 2025.02.16
47671 “조민 못 지켜 미안”…교육감 출마한 前부산대 총장의 사과 랭크뉴스 2025.02.16
47670 오늘은 세계 고래의 날… 향유고래의 언어, '코다'를 들어보세요 랭크뉴스 2025.02.16
47669 의대 정시 등록포기, 서울권 전년보다 14%↓ 지방권은 143%↑ 랭크뉴스 2025.02.16
47668 동학개미들의 귀환...꿈틀대는 ‘국장’ 랭크뉴스 2025.02.16
47667 틀니 제작, 몇 번의 치과 방문이 필요할까 [김현종의 백세 건치] 랭크뉴스 2025.02.16
47666 “미국, 며칠 내 사우디서 우크라 종전 협상 시작” 랭크뉴스 2025.02.16
47665 고지진 굴착 조사는 재앙 막는 ‘과속 방지턱’ 랭크뉴스 2025.02.16
47664 "30분 안에 짐 싸서 나가" 트럼프 구조조정 칼바람… 저연차 공무원 1만명 '해고' 랭크뉴스 2025.02.16
47663 840억 세금 들어간 ‘전통시장 고객센터’… 손님엔 문 닫고 상인회가 차지해 랭크뉴스 2025.02.16
47662 “성인에게 유익한 간헐적 단식, 청소년에겐 악영향…혈당 조절 능력 악화” 랭크뉴스 2025.02.16
47661 “중대 결심” 발언에 尹 하야설, 법적 가능성은?[안현덕 전문기자의 LawStory] 랭크뉴스 2025.02.16
47660 CJ대한통운, 11년 연속 성장에도 여전히 배고픈[베스트 애널리스트 추천 종목] 랭크뉴스 2025.02.16
47659 미 국무부 “‘北 완전 비핵화’ 원칙 재확인…최상목 대행 신뢰” 랭크뉴스 2025.02.16
47658 홍준표, 김문수 겨냥 "김구 선생 국적 중국? 기상천외, 어이없는 일" 랭크뉴스 2025.02.16
47657 ‘식사 후 애사비 한 잔’에 꽂혀있는 당신에게···넷플릭스 ‘애플 사이다 비니거’[오마주] 랭크뉴스 2025.02.16
47656 [세종풍향계] 이창용式 한은-산업부·국토부 인사 교류, 소통·전문성 교환 창구됐다… “1년 연장” 랭크뉴스 2025.02.16
47655 男 148%ㆍ女 227% 부산구치소 "과밀 탓 진짜 구속 못했다" 랭크뉴스 2025.02.16
47654 목수 된 류호정 "'고생 모르는 철딱서니' 선입견 깨고 싶었다" 랭크뉴스 2025.02.16